목 차
Ⅰ. 서론------------------------------------------------------------1
1. 문제제기----------------------------------------------------------1
2. 연구방법 및 범위-----------------------------------------------2
Ⅱ. 근∙현대 부흥운동의 역사------------------------------------------3
1. 17세기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3
1)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3
2)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의 역사--------------------------------4
a) 스페너의 부흥운동----------------------------------------4
b) 프랑케의 부흥운동----------------------------------------5
c) 진젠도르프의 부흥운동-------------------------------------6
3)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에 대한 평가----------------------------7
2. 18세기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8
1)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8
2)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의 역사--------------------------------8
a) 웨슬레의 부흥운동----------------------------------------8
3)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의 평가-------------------------------14
3. 18-19세기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15
1) 미국 대각성 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15
2) 미국 대각성 운동의 역사-------------------------------------16
a) 조나단 에드워즈의 1차 대각성 부흥운동----------------------16
b) 조나단 에드워즈의 1차 대각성 부흥운동 이후의 문제점----------18
Ⅲ.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19
1.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이 나오게 된 배경-----------------------19
1) 사회적 타락-----------------------------------------------19
2) 독립전쟁이 남긴 평등사상-----------------------------------20
3) 칼빈주의를 버리고 알미니안주의를 선택한 미국------------------21
4) 19세기가 만든 인위적 부흥사 찰스 피니------------------------21
2.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22
1) 인간의 의지 강조-------------------------------------------22
2) 인위적인 기도 응답-----------------------------------------22
3) 인위적 방법으로 언제나 가능한 부흥?--------------------------23
3.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 방법들---------------------------------24
1) 부흥회----------------------------------------------------24
2) 믿음의 의사표시--------------------------------------------25
3) 질의자 집회-----------------------------------------------26
4.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이 미국교회에 미친 영향------------------26
1) 미국 장로교 교단 분리의 원인 제공----------------------------26
2) 교회의 세속화와 실용주의------------------------------------27
3) 체험주의--------------------------------------------------27
5. 찰스 피니 이후의 미국의 부흥운동--------------------------------28
1) 제3차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28
2) 확산되는 인위적 부흥관-------------------------------------29
3) 한국에 상륙한 인위적 부흥관---------------------------------29
6.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의 영향을 받은 한국교회------------------30
1) 1900-195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30
a) 1900년대초의 부흥운동------------------------------------30
b) 일제시대 부흥운동---------------------------------------31
2) 195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32
a) 시대적 상황---------------------------------------------32
b) 기도원 중심의 부흥운동-----------------------------------32
3) 196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33
a) 시대적 상황--------------------------------------------33
b) 부흥사, 부흥회 중심의 부흥운동----------------------------33
4) 197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34
a) 시대적 상황--------------------------------------------34
b) 대중 집회를 통한 부흥운동--------------------------------34
5) 1980년-현재 한국교회 부흥운동-------------------------------35
a) 시대적 상황--------------------------------------------35
b) 대형교회 중심의 부흥운동---------------------------------35
① 광림교회---------------------------------------------35
② 소망교회---------------------------------------------36
③ 영락교회---------------------------------------------36
④ 충현교회---------------------------------------------36
⑤ 여의도 순복음 교회------------------------------------37
c) 1980-현재 한국교회 부흥운동에 대한 평가--------------------37
Ⅳ. 변질된 현대교회의 부흥관-----------------------------------------38
1. 마케팅에 물든 한국교회 부흥관-----------------------------------38
1) 마케팅이란?-----------------------------------------------38
2) 교회 마케팅-----------------------------------------------38
3) 마케팅 교회의 문제점---------------------------------------39
a) 복음의 상품화-------------------------------------------39
b) 하나님의 도구화-----------------------------------------40
c) 이야기가 되어버린 설교-----------------------------------41
2. 심리학에 물든 한국교회 부흥관-----------------------------------41
1) 심리학이란?-----------------------------------------------41
2) 심리학의 한계----------------------------------------------42
3) 심리학의 교회 유입 배경-------------------------------------42
4) 기독교 심리학의 문제점--------------------------------------43
a) 반 하나님적인 시각---------------------------------------43
b) 자신을 사랑하라는 가르침----------------------------------43
c) 영적 성장의 장애물---------------------------------------44
3. 신비주의에 물든 한국교회 부흥관---------------------------------44
1) 신비주의의 뿌리--------------------------------------------44
2) 신비주의의 문제점------------------------------------------45
3) 가톨릭 신비주의 영성운동의 유입------------------------------45
4. 이머징교회운동에 물든 한국교회 부흥관----------------------------46
1) 이머징교회운동이란?----------------------------------------46
2) 이머징교회운동의 장점---------------------------------------46
3) 이머징교회운동의 문제점-------------------------------------47
Ⅴ. 성경적 부흥관---------------------------------------------------48
1. 사도행전 2장에 나타난 부흥-------------------------------------48
1)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 (행 2:1-13)----------------------------48
2) 베드로의 성령충만한 설교 (2:14-36)----------------------------48
3) 무리의 회심 (행2:37-42)--------------------------------------50
4) 초대교회에 나타난 부흥의 결과 (행2:42-46)----------------------52
5) 성경적 부흥관의 다섯가지 특징--------------------------------53
2. 조나단 에드워즈의 부흥관---------------------------------------54
1) 하나님 주권사상--------------------------------------------54
2) 말씀을 통한 부흥-------------------------------------------56
3) 계약사상--------------------------------------------------57
4) 감정과 이성의 조화-----------------------------------------58
5) 에드워즈의 부흥관 평가--------------------------------------59
3. 마틴 로이드 존스의 부흥관--------------------------------------60
1) 로이드 존스의 생애-----------------------------------------60
2) 로이드 존스의 신학적 배경-----------------------------------60
3) 로이드 존스의 부흥관----------------------------------------62
a) 부흥에 대한 정의----------------------------------------62
b) 진정한 부흥의 방편 ‘설교----------------------------------62
c) 그릇된 부흥의 방편 ‘대중전도집회’---------------------------63
4) 로이드 존스의 부흥관 평가-----------------------------------64
Ⅵ. 성경적 부흥관의 핵심---------------------------------------------65
1. 인위적 부흥관과 성경적 부흥관의 공통점과 차이점-------------------65
1) 공통점----------------------------------------------------65
2) 차이점----------------------------------------------------65
2. 진정 구원 받은 사람-------------------------------------------65
1) 죄에 대한 바른 이해----------------------------------------65
2) 진정한 회개-----------------------------------------------66
3) 넓은 의미에서의 회심---------------------------------------66
4) 새로운 피조물---------------------------------------------67
5) 구원 받은 자의 증거----------------------------------------68
3. 거짓 구원 받은 사람-------------------------------------------68
4. 교회의 사명--------------------------------------------------69
Ⅶ. 결론-----------------------------------------------------------70
서론
문제제기
‘가나안 성도’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 가나안 성도는 크리스천으로서의 정체성은 지니고 있지만 특정 교회를 정하지 않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을 찾아 다녔듯 새로운 교회를 찾아 떠도는 이들을 뜻한다. 가나안 성도의 규모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는다. 다만 주위에서 교회 이탈자들을 종종 볼 수 있는 만큼, 적지 않은 수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원규 감리교신학대 교수는 그의 저서 ‘한국교회의 위기와 희망’에서 2004년 한국갤럽의 조사를 분석, “1984년부터 20년간 개신교에서 다른 종교로 개종한 숫자가 198만명, 개신교인에서 무종교인이 된 숫자가 560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개신교인이었다가 교회를 떠난 인구가 무려 758만명에 이른다”며 “특히 교회를 이탈하는 사람들 가운데는 남성, 젊은 층, 높은 교육수준의 사람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또 2005년 ‘한국 교회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한미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기독교인 중 11.6%가 스스로 신자라고 여기면서도 교회에는 출석하지 않고 있다. 이 조사에서 성도들의 교회 이전 경험율은 57.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 많은 성도들이 예수님을 믿는다고 고백한 후 교회를 다니다가, 교회를 떠나 떠돌아다니게 되는 것일까? 그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목회자의 목회방침이나 설교가 맞지 않아서일 수도 있고, 성도들의 교제와 섬김에도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교회의 시스템이나 시설에도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런데 분명한 것은 성도가 교회를 다니는 것은 예수님을 믿고 그분께 예배드리기 위해 다니는 것이 아닌가? 예수님을 믿고 예배드리며, 천국 백성의 삶을 준비하기 위한 마음으로 교회에 출석하기 시작한 사람들이라면, 앞에서 열거한 부분들에 미비한 점들이나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교회를 떠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일까? 애초에 교회에게 기대했던 것들이 충족되지 못해서 그런 것은 아닐까? 마음의 평안과 삶 속에서의 축복, 여러 가지 편의와 만족을 기대하고 갔는데, 그러한 것들이 충족되지 못해서 교회를 떠나 자신의 기대를 충족시켜줄 교회를 찾아 떠돌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누구에게 문제가 있는 것일까? 애초에 교회에 기대하지 말아야 할 것을 기대한 떠돌이 성도들에게 문제가 있는 것일까? 아니다. 그들에게 인간에 대한 바른 이해와 복음에 대한 분명한 선포를 하지 않은 목회자와 성도들, 교회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현대교회들이 교회의 성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어떻게 하든지 사람들을 교회에 다니게만 하면, 회개와 믿음과 구원은 자동적으로 생길 줄 알고 무분별하게 인위적인 방법을 동원해 전도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해 놓고 교회가 성장하면, 그것을 부흥이라고 말하며 자랑한다.
‘부흥’이란 무엇인가? 어떤 이들은 부흥을 대규모 전도 집회나 떠돌이 성도를 끌어 모으기 위한 특별 집회와 동의어로 생각한다. 그렇다면 성경적 부흥관은 무엇인가? ‘부흥’이라는 단어는 하박국 3장 2절 “여호와여 내가 주께 대한 소문을 듣고 놀랐나이다. 여호와여 주의 일을 이 수년 내에 부흥케 하옵소서.”에 딱 한번 나온다. 부흥(hy:j;)의 뜻은 히브리어로 ‘살다’ ‘회복시키다’라는 뜻이다. 타락한 시대, 타락한 백성들의 영적 호흡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 바로 부흥인 것이다. 그러므로 부흥은 먼저 타락한 성도들의 영적 회복에서부터 시작되고, 성도들의 회복을 통해, 사회가 변혁되고 많은 수의 불신자들이 교회로 찾아와 성도가 되는 것이 진정한 성경적 부흥관인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교회들이 생각하는 부흥은 좀 다른 것 같다. 성도들의 영적 회복 보다, 불신자들이나 떠돌이 성도들을 교회에 채우기만 하면 부흥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불신자들이나 떠돌이 성도들에게 거슬리는 죄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고, 복음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평안과 축복만을 기대하고 모여든 사람으로 교회가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그들이 막상 교회를 다녀 보니 자신들이 기대했던 평안과 축복이 채워지지 않으니까 여러 교회를 떠돌아다니게 되는 것이다. 우리 주님은 분명 평안과 축복을 주는 분이시다. 그런데 왜 그들에게는 평안과 축복이 주어지지 않은 것일까? 그것은 그들이 바른 신앙의 출발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문을 통해 바른 신앙의 출발을 하게 하기 위한 성경적 부흥관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 방법은, 성경적 부흥관과 관련한 전문 서적들과 논문집, 간행물 등을 정독하고 참고하여 주장을 펼쳐 보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초대교회를 시점으로 해서 성경적 부흥관을 살펴보면 너무 광범위한 범위가 되기 때문에, 인위적 부흥관에 물들기 전의 대표적인 부흥인 17세기 독일의 경건주의 부흥운동에서부터 21세기 한국교회의 인위적 부흥관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모두 7장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먼저 제Ⅰ장은 서론으로서 연구를 하게 된 동기와 계기,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제Ⅱ장에서는 17세기 독일의 경건주의 부흥운동에서부터 18세기 영국의 복음주의 부흥운동, 18세기 미국 1차 대각성 운동 시의 시대적 배경과 부흥의 주도적 인물, 부흥의 결과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Ⅲ장에서는 미국 2차 대각성 운동의 주도적 인물인 찰스 피니가 만들어 낸 인위적 부흥관의 탄생 배경을 살펴보고, 인위적 부흥관에 대한 개념정리와 함께 인위적 부흥관의 방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이 미국교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 후, 피니 이후 인위적 부흥관에 의해 펼쳐지는 무디의 3차 대각성운동과 무디의 영향을 받고 들어 온 한국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된 한국교회의 인위적 부흥운동의 역사를 살펴보고, 20세기 인위적 부흥운동의 결과물인 한국의 대형교회의 현황과 특징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제Ⅳ장에서는 인위적 부흥관에 물든 한국교회가 21세기에는 어떤 인위적 방법들에 물들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 대표적인 것들로, 마케팅, 심리학, 신비주의, 이머징교회운동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Ⅴ장에서는 성경적 부흥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성경적 부흥관을 살펴봄에 있어 첫 번째로, 사도행전 2장에 나타난 오순절 성령강림을 통한 부흥을 살펴보면서 성경적 부흥의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 성경적 부흥관에 충실하면서 부흥을 경험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부흥관과 마틴 로이드 존스의 부흥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Ⅵ장에서는 성경적 부흥관과 인위적 부흥관의 핵심적 차이인, ‘구원 받은 자’를 누구로 볼 것인가에 대해 상세히 다뤄 보고자 한다.
끝으로 제Ⅶ장은 결론으로 성경적 부흥관과 인위적 부흥관을 요약 정리하면서, 성경적 부흥관에 집중할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근∙현대 부흥운동의 역사
17세기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
루터의 1517년 종교개혁 이후 가톨릭과 개신교는 크고 작은 전쟁을 했다. 그 결과 서로가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고 평화를 찾은 듯 했다. 그러나 한국전쟁 후 현재 북한과 남한의 긴장관계처럼, 언제 다시 갈등이 재현될지 모르는 위태위태한 상황이었다. 이런 배경 속에서 보헤미아 국왕이었던 가톨릭신자 페르디난드가 가톨릭 정책을 노골적으로 내세우자 개신교도들은 왕의 고문 두 명을 창밖으로 집어 던지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것을 역사학자들은 ‘프라하의 폭동’이라고 부르는데, 이 사건을 통해 30년 전쟁(Thirty years' War; 1618-1648)이 시작되게 된 것이다.
이 30년 전쟁이 결국 독일 경건주의 운동을 발생케 한 원인이 되었다. 30년 전쟁이 끝난 후 정치적 측면에서 볼 때 군주중심의 절대적인 통치권을 행사하고 있었음으로 교회법 제정과 성직자 임명의 절대적 권한을 군주가 행사하고 있었다. 그리고 독일 궁궐생활은 백성을 돌아보지 않고 프랑스의 화려한 생활에 못지않을 정도로 생활하는 정치적 부재(不在)의 상태였다. 경제적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인데, 경제력이 심히 약화되어, 어떤 곳에서는 돈의 가치가 떨어져 경제가 물물교환으로까지 감축되었고, 학교는 문을 닫았으며 교회는 불타버리고, 음식창고는 바닥이 남으로 집 없는 무리들은 이리저리 구걸하러 몰려다니면서 남의 것을 강탈하고 닥치는 대로 파괴하였다. 이때의 경제적 심각성을 혹자는 “농민들이 동물처럼 살았다.”고 표현했다. 이와 같은 경제적 손실은 국민의 도덕적 가치관의 타락을 가져왔다. 교회적 측면에서도 국가가 교회를 통제하고, 목회자들은 국가의 관리가 되어 국가에 종속된 채 교회는 정치의 노예가 되었다. 이러한 스콜라적 기독교는 고립된 엄격한 교리해석을 전제로 하여 누구나가 다 여기에 순종할 것을 요구하고, 성례에 참석할 것을 요청하면서 그것이 마치 기독교의 생활 전부인 것처럼 교인들을 우민화시키고 있었다. 즉 ‘사멸된 정통’의 종교만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통주의에 반발하여 종교적 정열과 내면적 생활을 중시하고 그리스도인의 삶을 건설해 나가야 한다는 운동이 독일 경건주의 운동이다. 이와 같은 경건주의 운동의 태동은 복잡한 정치, 종교적 전쟁이 빚어낸 경제적 불황으로 인한 사회와 도덕의 타락, 그리고 정치권력과 타협함으로써 오게 된 교회의 세속주의화와 이 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갖지 못했던 성직자들의 타락과 무의미한 신학논쟁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의 역사
스페너의 부흥운동
17세기 독일 경건주의 운동의 창시자는 야곱 스페너(Philip Jacob Spener, 1663-1705)이다. 그는 철저한 루터교 신앙을 지켜가고 있었던 알사스 지방의 귀족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트라스버그 대학의 석사학위 논문에서 창조주 하나님을 닮을 것을 강조하여 경건주의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다. 1666년에 그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목사가 되어 1670년에 자기 집에서 “Collegia Pietatis”(경건한 모임)라는 모임을 정기적으로 열어 성경을 연구하고 기독교 고전을 읽고 토론하며 신앙의 내면화를 이루고자 했다. 여기서 교회 내의 소교회를 조직하여 신자의 정신생활을 깊게 하였다. 그러나 이 모임은 비판을 받게 되고 못마땅하게 여긴 자들이 “pietist”(경건주의자)라는 이름을 붙여 비웃었다. 그 후 스페너는 1675년 아른트의 설교집 서문이었던 “Pia desideria”(경건한 열망)을 보고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 “Pia desideria”는 두 부분으로 나눠지는데 첫 번째 부분은, 당대의 도덕적 타락, 미온적 신앙생활 및 자질구레한 신학논쟁, 정치인들의 부도덕한 생활, 특히 성직자들의 잘못을 매우 신랄히 비판하면서 목사들이 도덕적 순결을 잃고 목회에 전념하기 보다는 비생산적인 부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 부분은 교회개혁운동을 계속하기 위한 6가지 제의를 내세웠다. 즉 성경연구, 신자의 영적 제사장직 활용, 기독교의 실천적 성격, 종교적 논쟁의 비유익성, 신학교육의 혁명, 설교의 개혁이다. 이러한 아른트의 사상을 지지한 것으로 인하여 스페너는 라이프지히와 죠오지Ⅲ세(GeorgeⅢ)의 요청으로 드레스덴의 궁목으로 있으면서 Saxony궁정의 음주와 퇴폐풍조 특히, 죠오지Ⅲ세의 음주벽을 책망하다 쫓겨나, 이단이라는 비평까지 받았다. 그 후 1691년 스페너는 프레데릭Ⅲ세(FrederikⅢ)의 초청을 받아들여 베를린으로 가서 1705년 죽을 때 까지 기쁘게 일하였다.
이제 그가 교회와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자. 첫째로, 평신도 운동에 불을 붙였다. 비록 사제중심의 제도에서 종교개혁 이후 많은 개혁이 따르긴 했으나, 만인제사장 교리에 입각하여 평신도들이 직접 교회 발전에 참여하는 일이 독일 경건주의운동에서 처음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게 된 것이다. 스페너는 그의 경험을 통해 소그룹 공부운동이 교회에 활력소가 되며, 교회 영적성장에 효과적이라고 제안했다. 둘째로, 이방인들을 위한 선교사업에 눈을 뜨게 하여 선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스페너가 내세운 기독교 공동체 및 연합의 이념은 종교개혁시대에 볼 수 있는 특수한 신앙고백이나 교회제도 또는 국가교회의 개념 위에서 세워지는 이념이 아니라, 지역적 또는 역사적 제한을 초월하여 중생의 체험을 가진 신자들이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하나님의 주권과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신 구속의 사역을 널리 선포하기 위하여 함께 이루는 연합이었던 것이다. 이 내적체험에 근거하는 자발적 연합이야말로 현대 개신교 선교와 연합운동을 일으킨 원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로 기독교의 실천적 사랑에 대한 동기를 부여했다. 여태껏 전통적인 설교가들은 하나님께서 신자들에게 단지 정확한 교리와 일반적인 사회규범에 맞는 도덕생활만을 요구하신다고 생각했으나 스페너의 영향으로 경건주의자들은 사회가 시민에게 요구하는 것과 하나님께서 신자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판이하게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안정을 누리고 있었던 교회들에게는 받아들이기 거북한 도전이었다.
프랑케의 부흥운동
스페너의 뒤를 이어 이 운동을 이끌고 간 지도자는 프랑케(August Hermann Francke, 1663-1727)였다. 한사동맹(Hanseatic league) 시 뤼백에서 태어났고, 법학박사인 아버지 밑에서 학구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라났다. 1684년 라이프찌히 대학으로 옮겨간 안톤, 샤데 등과 함께 ‘성경을 사랑하는 모임’(Collegium Philobiblicum)을 만들어 성경연구와 기도운동을 일으켰다. 1687년 요한복음 20장 31절의 말씀으로 설교하도록 부탁을 받고 준비를 하던 가운데 중생의 체험을 하였다. 이러한 체험 후에 성경연구에만 몰두하다가 그곳 교수들과 충돌하게 되었으며, 그들은 프랑케를 경멸하는 뜻으로 “Pietist"(경건주의자)라고 불렀다. 경건주의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아짐에 따라 프랑케는 그곳을 떠나 에르프르트의 어지스티너 끼르케의 목사가 되었다. 이러한 곤경에 처해 있을 때에 스페너의 도움으로 할레(Halle)대학으로 가게 되었다. 그 이후 10여년 동안 프랑케는 이 할레대학에서 놀라운 업적을 이룩하였다. 할레대학의 정책이 주로 스페너의 주장과 교육방침에 의하여 세워진 것이었다면 실제로 행정적인 면에서 이를 실천한 사람은 프랑케였다. 그는 1727년까지 할레대학에 교수로 재직하면서 할레대학을 경건주의운동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이제 그가 교회와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자. 첫째로, 사회사업에 손을 뻗어 고아원을 설립하여, 2,220명의 고아를 양육하였다. 사회사업을 확장하기 위하여 당시 이 방면에 크게 발전한 하인리히 뉴바우어를 보내어 견학케 한 후 극빈자를 위해 병원을 세우고 과부들을 수용하는 모자원을 세웠다. 뿐만 아니라 학교, 여자방, 교사 양성학원, 화학 실험실, 약국, 서점, 인쇄소, 무료숙박소, 빈민 수용소 등의 기관들을 세워 내지선교에 힘썼다. 이 영향은 다음 세대에 요한 빅커른에게 이어져 ‘내지 선교부’(Inner Mission)을 세우고 절름발이, 불구자, 소경, 간질환자, 사생아, 미혼모, 광인들을 돌보게 했다. 이러한 기관들은 프랑케의 정신을 표현하는 것이고, 그의 경건주의운동의 열매였다. 내지선교계획은 독일교회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었고, 또한 기독교로 하여금 생명이 없는 하나의 전통이 아니라 생명이 있는 실제의 종교가 되게 하였다. 둘째로, 문서선교에 눈을 돌려 성서보급을 위해 성서출판사를 만들고 실비로 성서와 종교서적을 출판, 보급하였다. 이 때 그는 헌금을 호소하지 않고, 심지어 헌금자의 이름도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 모든 사업을 위해 무명의 헌금이 흘러넘치도록 들어오는 것을 체험하였다. 셋째로, 외지 선교사업에 관심을 가지게 했고 이를 실천했다. 윌리엄 캐리(William Carey)보다 약 100년 전에 해외선교를 위해 이미 선교사들을 파송했다. 그의 문하생 지겐발그와 풀윗샤우를 덴마크의 프레드릭Ⅳ세(FredrickⅣ)의 요청에 의해 인도에 선교사로 파송했다. 계속하여 할레대학은 프랑케의 주도 하에 선교사들의 중심지가 되었고, 랍랜드(오늘날의 핀란드)와 그린랜드에 파송될 선교사들의 훈련소를 설립하였다. 넷째로, 교육사업에 공헌하였다. 교육은 경건주의의 본래 목적으로 개개인의 변화를 통한 세계의 변화를 기대케 했다. 프랑케는 이러한 신학사상과 취지로 할레대학이 창설된 지 반 세기도 못되어 약 6,000명 이상의 목사를 배출하여 독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 일꾼을 보냈다. 이들 가운데 미국으로 건너간 뮐렌버그(Henry Mekhior Muhlenberg)는 미국 루터교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진젠도르프의 부흥운동
진젠도르프(Count Nicolaus Ludwig von Zinzwndorf, 1700-1760)는 드레스덴에서 태어나 어렸을 때부터 외할머니에게서 경건훈련을 받으며 자라났다. 그는 할레대학의 산물이었다. 10세에 할레신학교에 들어가 17세까지 프랑케에게 교육을 받았다. 그때부터 동료들과 ‘겨자씨회’(Order of the Grain of Mustard Seed)를 조직하여 경건의 훈련과 더불어 세계복음화의 이상을 가졌다. 그러나 그의 가족들이 법관이 되기를 원해 1716년에서 1719년까지 법학공부를 하여 1721년에 드레스던의 관리가 되었다. 그러던 중 로마 가톨릭 교회와 국가 교회의 박해를 피해 온 ‘형제단’(The Unity of the Brethren)이라 불리우던 모라비안의 후스파의 개신교도들이 200여명이 넘자, 피난촌을 만들어 주었고 그 이름을 ‘Herrenhut’(주님의 망대)라 명명했다. 진젠도르프는 외할머니가 돌아가시자 공직을 떠나 이곳에 와서 이 공동체의 감독이 되어 일하였다. 그는 초대교회와 같은 공동사회를 이룩하여 1728년에는 청년 남녀들을 가정생활에서 끌어내어 엄격한 감시 하에 극기 근면의 생활을 시켰다. 어린이들은 마치 할레고아원과 같이 부모를 떠나게 하여 길렀다. 심지어 결혼까지도 규제하려고 하였다. 1734년 루터파의 목사로서 안수를 받았고, 프랑스 및 스칸디나비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를 여행하는 중에 선교의 비전을 넓히고 국제적인 선교를 위한 조직을 시도했다. 1736년에 평화를 교란시켰다는 이유로 삭손에서 추방된 진젠도르프는 유럽의 여러 나라와 영국, 미국에까지 건너가서 선교하였다. 1741년 뉴욕에 가서 학교를 설립하고 인디언 선교에 힘쓰고 귀국하여 슈핑겐 베르크를 보내어 감독을 시켰다. 1760년 죽기까지 30년간 자신을 이 운동에 바쳐 독일 경건주의운동이 발전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이제 그가 교회와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자. 첫째로, 선교의 열기를 세계 깊숙이 미치게 했다. 경건주의 각성이 불러일으킨 가장 주목할 만한 결과 중의 하나가 진젠도르프 백작의 지도하에 진행된 모라비안 형제단의 재형성일 것이다. 어디든지 그리스도를 섬기기 위해서 가겠노라고 하는 모라비안 교인들의 결의는 고귀한 선교정신을 세계교회에 불러 일으켰다. 개신교회 치고 이들 만큼 선교에 대한 사명감이 불탄 교회가 다시 없었다. 이 선교열정의 직접적인 동기는, 진젠도르프가 덴마크의 크리스찬Ⅵ세(ChristianⅥ)의 대관식에 참석하러 갔다가 서인도섬과 그린란드 주민을 만난 데 있다. 그는 선교열의에 불타 도버(Leonhard Doberr)와 나취만(David Nitschman)을 1732년 서인도섬에서 선교하게 했고, 그 다음 해 다비드(Christian David)와 그 외 여러 명을 그린란드에 선교사로 파송했다. 그 외 독일, 화란, 영국, 아일랜드, 덴마크, 노르웨이 그리고 북미대륙에 까지 그들의 종교적 이념을 정열적으로 전하였다. 둘째로, 모라비안을 교육시켜 세계선교를 보낸 열매 중, 두드러진 것으로 웨슬레와 전체 감리교 전통에 미친 영향을 들 수 있겠다. 1738년 5월 24일은 웨슬레의 생애를 변화시키는 계기를 맞게 한 날이다. 그것은 올더게이트(Aldersgate)에서 열린 모라비안파의 기도회에 참석했다가 루터의 로마서 서문을 읽을 때 홀연히 회심하는 큰 ‘영적체험’을 한 것으로, 이러한 ‘영적체험’을 한 웨슬레는 큰 생명력을 얻어 당시 도덕적, 종교적으로 침체되어 있는 영국에 복음주의 운동을 일으켜 국내, 국외적으로 많은 종교적 각성에 이바지 하였다. 이것이 바로 진젠도르프의 영향이 빚어낸 놀라운 결과인 것이다.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에 대한 평가
스페너, 프랑케, 진젠도르프는 17세기 독일 경건주의 운동을 이끌었다. 비록 그들이 주관적 체험주의, 극단적 금욕주의, 배타적 분파주의를 낳은 잘못도 있지만, 경건주의운동의 참 뜻은 그 초기부터 인도주의적 사업에 힘을 기울여 사회개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에르네스트 슈트플러(F. Ernest Stoeffler)교수는 독일경건주의운동이 교회와 국가에 미친 영향을 5가지 정도로 요약하였다. 첫째로, 현대선교운동에 동기를 부여했고, 실지로 각국에서 선교의 열매를 거두는 데 이바지했다. 둘째로, 설교는 쉽고 단순하며 신앙을 깨우쳐주고, 믿음의 열매가 맺혀져야 한다고 주장함으로 기존의 설교에 개혁을 가져왔고, 설교를 생동력 있게 함으로 목회를 활발하게 했다. 그리고 문답식 교리교육, 가정심방을 통한 교인들에게 영적, 도덕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유발시켰다. 셋째로, 교회가 사회적 관심을 가지고 사회개혁에 관여하며, 사회구원에 대한 새로운 안목을 갖게 했다. 넷째로, 찬송가에 큰 영향을 미쳐, 미국의 여러 교회에서 사용하는 찬송가 중에 그들의 가사를 뺀다면 남을 것이 별로 없을 정도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로, 경건서적을 산출하여 문서선교에 이바지 하였다.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의 패턴을 살펴보면, 설교자들이 변화하여 바른 설교를 하게 됨을 통하여, 개인의 내적인 변화에서부터 시작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내적 변화는 구제를 통한 사회적 변화로 연결되었고, 자연스럽게 선교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독일 경건주의 부흥운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성령이 역사하시는 진정한 부흥은, 말씀을 통한 성도 개개인의 내적변화가 전제되어야 하고, 그 내적 부흥은 구제와 섬김으로 연결되고, 그 결과 교회 내의 수적 부흥과 함께 선교를 통한 전 세계적 부흥이 동반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18세기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
17세기 말부터 영국 종교 상태는 로마가톨릭과 개신교가 다같이 제도, 의식, 신학사상의 경직에 빠져 정신적인 능력을 상실하고 도덕 실종상태를 맞이했다. 합리주의 영향은 민중에게 영향을 주어 종교에는 무관심하고 퇴폐적인 풍조에 빠지게 했으며, 심지어 종교사상가들까지 그 사상에 물들어 기독교라야 기껏 신의 재가를 받은 도덕체계로 밖에는 보지 않을 정도였다. 유명한 설교자들도 복음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잃고, 마치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강연을 하는 형편이었다. 이미 교회의 전도열기도 꺼져버려 불신자에 대한 전도는 아예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지경이었다. 하층 계급의 정신적 상태는 썩었고, 도덕적 상태는 퇴폐일색이었다. 오락은 향락으로 변해 갈 때까지 간 인상이었고, 점점 문맹자는 늘어가고, 법률은 있으나마나 하고, 감옥은 죄악의 소굴이었다. 영국 전체는 음주와 불법의 도가니였던 것이다. 영국교회와 사회는 도덕적, 정신적 파산상태에 직면하였다. 이 때 영국은 산업혁명이 일어나 농업국에서 공업국으로 변하고 있었다. 와트(J. Watt)의 증기기관차(1769)를 필두로 하여, 하그리브스(J. Hargreaves)는 다축방적기(1770)를 발명해 내었다. 영국의 산업계는 전례 없는 변화를 일으켰고, 이러한 영향이 종교생활에도 깊숙이 파고든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개선을 모색한 인물과 운동이 전혀 없었던 바는 아니었다. 이 때 사회혁신을 위해 활동한 자들로서는 선교사업에 바클레 감독, 성결한 생활을 전한 윌리엄 로우(William law), 경건한 찬송을 지은 와츠(J. Watts) 등이 있었다. 또한 종교적 체험과 봉사를 하는 단체들도 많이 일어났지만 이런 단체들은 1710년경에 점점 없어졌다. 이런 운동은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있었고, 민중들은 아직도 혼미한 상태에 빠져 있었다.
이런 민중들에게 등불과 같은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그들은 요한 웨슬레(John Wesley), 찰스 웨슬레(Charles Wesley), 휫필드(White field) 등이었다. 이들의 확신에 찬 설교는 민중들에게 정신적 중생을 맛보게 했던 것이다. 찰스 웨슬레와 휫필드의 동역을 통한 영향은 직, 간접적으로 요한 웨슬레가 사회와 교회에 미친 영향 속에 포함되어져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요한 웨슬레의 사역을 중심으로 영국 복음주의 복음운동을 다루고자 한다.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의 역사
웨슬레의 부흥운동
요한 웨슬레(John Wesley, 1703-1792)의 할아버지는 비국교파 목사였고, 부친 사무엘 웨슬레(Samuel Wesley)는 영국 국교회 목사로 1695년부터 엡워드 교구를 담임했지만, 열성에 비해 실행 능력이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 수잔나(Susanna)는 종교적 정열을 가진 여장부였는데, 자녀들은 이러한 어머니의 감화를 많이 받았다고 한다. 19남매 중 15번째인 웨슬레가 어려서부터 받은 이 경건훈련은 후에 그가 위대한 영국의 종교적 지도자가 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 17세 때에 옥스퍼드 대학 크라이스트 칼리지(College)에 장학생으로 입학하여 경건의 훈련과 더불어 학업에 전념하였고 23세 때에는 6년 동안 링컨 대학의 조교로 활약했으며, 그 후에는 아버지를 도와 2년 동안 목회를 하다가 옥스퍼드 대학의 강사로 초청 받았다. 웨슬레는 1729년 학교에 돌아온 후에는 그들의 지도자가 되어 성결한 생활을 실현하려고 노력하였다. 1730년부터는 감옥도 정기적으로 찾아가 위문하였다, 그는 여기서 ‘신성회’(Holy Club)을 만들어 경건훈련을 하였다. 찰스 웨슬레와 휫필드도 이 클럽의 회원이었다. 이 클럽은 내적으로는 경건연습과 영적수양을 목적으로 하는 동시에 외적으로는 복음운동에 전력을 기울였다. “Methodist”(감리회)라는 칭호도 이때에 이들의 철저한 규범적인 행동 때문에 얻게 된 것이다. 물론 이 때만 해도 후에 알려진 감리교의 모습이 갖춰지지는 못하고 있었다. 오히려 19세기의 앵글로 가톨릭운동과 비슷한 데가 많았다. 비록 그들은 열심을 내었지만 종교에 무관심했던 옥스퍼드 대학생들을 전도하는 데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럴 즈음에 이 단체로부터 북미 개척 선교사 선발 청원에 있어서 웨슬레 형제가 파견되게 되었다. 그리하여 1736년에 웨슬레 형제는 ‘복음 전도회’(The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파송을 받고 신대륙의 죠지아로 떠났다. 마침 그들이 타고 가는 배에는 모라비안파 선교사 26명이 감독 데이빗 니취만의 인도를 받아 역시 죠지아로 가고 있었다. 웨슬레는 그들에게서 독일어를 배우게 되었고, 또한 풍랑을 만나 위험에 처했을 때에 당황하지 않고 찬송을 부르며 평화롭고 침착하게 행동하는 모라비안들로부터 깊은 감명을 받았다. 여기서 웨슬레는 모라비안들로부터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죠지아에서의 웨슬레의 전도사업은 성공적인 것이 못되었다. 찰스 웨슬레는 병과 낙심으로 일 년 만에 귀국하고, 요한 웨슬레는 그대로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영어, 독일어, 불어, 이탈리아어로 설교하였다. 그는 너무 규칙적이고 엄격한 데다가 사교술이 어두워 상당히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죠지아에 있을 동안에도 스팡겐버그와 모라비안 교도들과 접촉하게 되어, 그들의 순전한 믿음과 개인적인 경건과 기쁨에 찬 마음을 보면서 자신과 대조해 보는 계기도 가질 수 있었다. 완드(J. W. C. Wand)는 “모라비안의 굳은 신념은 웨슬레로 하여금 자기의 신앙상태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게 하였다,”고 까지 했다.
사실 모라비안들이 가지고 있었던 구원의 확신은 웨슬레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웨슬레는 그 때까지 구원의 확신이 없었다. 그러던 중 1735년 5월 24일에 그의 생애를 변화시키는 계기를 맞게 되었다. 그것은 올더스게잇(Aldersgate)에서 열린 모라비안들의 기도회에 참석하여 루터의 로마서 서문을 읽다가 홀연히 회심하여 거듭나는 경험을 얻게 된 것이다. 이 올더스게잇 체험으로 웨슬레는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는다는 것과 자기의 죄가 사유함을 받고 구원을 얻게 됐음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러한 체험은 그의 신학사상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웨슬레는 올더스게잇 경험을 한지 3주일이 채 못 되어 모라비안교도들의 신앙을 좀 더 이해하고자 헤른후트를 방문하여 진젠도르프와 2주일을 지냈다. 그러나 웨슬레는 그곳에서 만족감을 얻지 못했다. 완드(J. W. C. Wand)는 “웨슬레는 그곳에서 모라비안들에게 마치 어린애와 같은 취급을 받았다”고 했다. 또한 진젠도르프에게는 신비주의적 요소가 있는 반면에 또한 너무 실제적이라고 웨슬레는 느꼈다. 이로 말미암아 웨슬레는 착잡한 감정을 갖게 되었는데, 그가 모라비안 형제단에 가입하지 않은 것이 이 때문이라고도 본다. 그러나 그는 헤른후트에서 2주일 동안 생활하면서 많은 감동을 받았다.
그 후 헤른후트를 떠나 영국에 돌아오면서부터 웨슬레는 그의 위대한 전도사역을 시작하였다. 그의 전도사역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50년간의 전도사역을 묵묵히 해 나갔다. 웨슬레는 비상한 조직가로서 감리교회 조직을 점진적으로 해 나갔다. 1740년 7월 23일에 ‘감리회’(Methodist United Society)를 조직하였다. 처음부터 웨슬레는 영국교회와 분리할 생각이 아니어서 영국교회 안에 교회를 세운 것이다. 웨슬레는 회원 자격이 있는 자에게는 회원권(Society Tickets)을 주고 삼개월 마다 새 것으로 바꾸어 주었다. 회원 자격이 없는 자에게도 학습 받도록 하였다. 브리스톨교회의 부채로 인하여, 1742년 2월 15일에 회원을 12인씩 나누어 속회(classes)를 만들고 속장을 두어 매 주일 기도회에 모일 때 마다 동전 한 푼씩을 가져오게 하였다. 같은 해 3월 25일에는 런던에서도 이 속회 제도를 세웠다. 이것이 감리교회의 특징인 속회의 시작이 되었다. 속회의 정신적인 이익은 곧 경제적인 효과보다 훨씬 더 커졌다. 처음에는 웨슬레 자신이 각 회를 순회하였으나 교회가 증가되어 1744년에는 교역자들을 런던에 모으고 제1차 연회를 열고 교회 일을 의논하였고 2년 후에는 전 교회를 순회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에 순회목사(감리사)를 두고 교회마다 담임자를 두었다. 1751년 웨슬레는 과부였던 메리 버자일(Mary Vazeille)과 결혼하였으나 불행하였다. 때문에 웨슬레는 교회 사업에만 더욱 정열을 바치게 되었다. 교회가 증가되었으나 안수 받은 교역자가 적어서 성찬식 거행이 문제였다. 웨슬레는 성찬식을 폐지할 수도 없어서 전도사에게 자기가 안수를 준 것으로 인해 자연히 국교회에서 갈라지게 되었다.
감리교는 1766년에 미국에도 전파되었다. 웨슬레는 1771년에 에스베리(Francis Asbury) 전도사를 미국으로 파송하였다. 웨슬레는 런던 감독에게 미국 교역자들의 안수를 교섭하였으나 실패하자 1784년 9월 1일 브리스톨에서 두 전도사를 미국으로 파송하고, 다음날 콕(Thomas Coke)을 미국 교회의 감리사로, 10일에는 에스베리도 감리사로 임명하였다. 이때부터 웨슬레는 스코틀랜드, 안티구아(중미 과테말라의 옛 도시명), 뉴펀들랜드(캐나다에 있는 섬), 영국의 목사들을 안수하였다. 1784년까지도 감리교회는 웨슬레가 주관하였으나, 그해 2월 28일부터 감리교회를 자치적으로 운영하도록 하였다. 웨슬레는 1792년 3월 2일 죽을 때까지 변함없는 맹활약을 하였다. 그는 영국 하류와 중류의 종교상태를 혁명시키고 미국의 종교에도 큰 각성과 부흥을 일으켰다.
이제 그가 교회와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자. 첫째로 교회를 갱신시키고 선교를 확장시켰다. 웨슬레의 대부흥운동은 퇴폐상태에 빠진 18세기 초엽 교회를 갱신시켰다. 영국의 참다운 종교적 각성은 비로소 웨슬레로부터 시작된 것이고, 웨슬레의 부흥운동이 영국의 양심을 깨웠다고 볼 수 있다. 웨슬레는 기독교의 부패를 지적하여 인본주의적인 복음해석과 “인간의 공로로 의롭다함을 받는다.”는 잘못된 교리에 대하여 통박하였다. 또한 계몽시대의 인본주의적 기독교에서는 그리스도인의 경험의 객관성이 거세되었다. 웨슬레는 그리스도인의 참된 객관성을 제시하는 일을 그의 신학의 중심과제로 삼았다. 웨슬레는 “이지력은 신앙을 지도하고 조정할 수 있으나 신앙을 산출하지는 못한다. 종교의 합리화는 종교를 죽이는 일이다. 종교의 본질을 규명하는 데는 합리적 설명이 용납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종교의 진리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최고의 조건은 그 실재성을 친히 경험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웨슬레는 경험의 종교만이 최고의 이성이라고 했다. 성령의 증거를 지성의 연역법으로 대처하려 든다면 끝내 실패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웨슬레는 종교의 이론적 문제와 종교에서의 산 경험 문제간의 명확한 구분을 지어주면서 인본주의적이며, 비생산적이고 이론화된 기독교에 반기를 드는 한편 예언자적 독창력을 가지고 진리를 선포함으로써 그 당시의 무종교적인 풍토를 쇄신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시의 영국교회는 구원받은 자의 권리만을 강조하여 방심과 나태와 외식적인 생활로 달려갔다. 그리하여 도덕폐기론에 빠지게 되었다. 성직자로부터 일반대중에 이르기까지 영력이 고갈되고 신앙과 생활이 천하고 속화되었다. 웨슬레는 중생이라는 일회적 사건으로 구원이 완성된 것이 아니라 성결을 향한 부단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하나님의 은총이 우리를 의롭다고 할 뿐 아니라 실제로 생활을 변화시키며, 우리가 성결의 누룩이 되었다면 우리가 있는 가정과 사회에 아울러 성결이 찾아와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런 가르침은 교회가 성결의 누룩이 되어 사회를 갱신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웨슬레의 부흥운동은 교회의 존재의미와 사명을 새롭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던 것이다. 웨슬레는 영국성공회의 성직자로서 성공회의 제도를 신봉하였다. 그러나 성공회의 제도가 성경과 꼭 일치하는 것이 아님을 알았고, 성경을 연구하는 가운데 제도는 변할 수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당시 성공회는 상류층 냄새를 풍기는 교회였으므로 가난하고 천대받는 사람들은 소외되어 있었다. 성직자들은 대중들을 교회로 들어오라고 기다리는 자세였고, 오지 않으면 방관하는 것이 고작 교회의 선교현황이었다. 여기에 비하여 웨슬레는 순회 전도자로서 잃은 양을 찾아 나서는 참된 복음 전도자였다. 웨슬레의 교회 갱신운동은 성령의 체험 아래 이루어진 것으로 제도화와 교리화, 개인구원과 사회참여의 양극을 피하고 선교를 위해서, 그리고 사람이 성령 안에서 거룩해지도록 교회구조를 새롭게 하는 운동이었다. 웨슬레의 부흥운동의 결과로서, 특히 회심의 축척된 결과는 모든 의구심과 침묵의 비판을 제거하였을 뿐만 아니라, 선교사업을 확장시킬 수 있는 동적인 통로를 마련하였다. 웨슬레는 하나님의 선교를 영국과 세계로까지 수행할 무수한 개종자들을 뒤에 남기게 되었다. 더욱이 전 세례를 향한 개신교 해외 선교운동을 크게 고취하였다. 1792년에 윌리엄 케리와 그의 동료들이 ‘침례교 선교회’(Baptist Missionary Society)를 세웠으며, 1799년에는 ‘교회 선교회’(Church Missionary Society), 그리고 같은해에 ‘종교서적 보급회’(Religious Tract Society)가 생기게 되어 수많은 종류의 성경번역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복음적인 선교회들은 개신교 해외운동을 배출시킨 고귀하고도 영웅적인 모체였는데 이것은 웨슬레의 복음적인 부흥운동의 영향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둘째로, 영국의 사회개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웨슬레의 종교적, 영적 개혁운동은 국민생활의 전반적인 풍조의 방향을 고치게 하였다. 웨슬레는 원래 사회개혁자는 아니었으나 그의 성화된 모습과 온전한 복음으로써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웨슬레의 부흥운동을 한낱 개인주의적인 것이나 타계주의적인 것이었다고 생각하는 일반적인 통념은 전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그의 부흥운동은 인간 상호간의 친교, 협동, 봉사들이 중심이 되어 계속적으로 추진되었던 것이다. 그러면 웨슬레의 부흥운동은 영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으며 그 결과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 브레디는 여러 분야와 나라에서 사회개혁을 이룩한 웨슬레의 영적 후예들의 이름을 나열함으로써 그가 사회개혁에 미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샤프츠베리(Shaftesbury), 윌버포스(Wilberforce), 레잌스(R. Raikes), 캐리(Carey), 애스베리(Asbury), 링컨(A.Lancoln), 나이팅게일(F. Nightinagale), 부드(G. Booth), 윌슨(President Wilson), 그리고 100여명의 다른 중요한 지도자들이 모두 누구하고도 견줄 수 없는 실제적인 예언자 웨슬레에 의한 불세례의 영적 후예들이다. 이 모든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웨슬레의 개혁운동은 직, 간접적으로 19세기 영국의 ‘기독교 사회운동’(Christian Social Movement)과 미국의 ‘사회복음운동’(Social Gospel)에 영향을 미쳤다고도 볼 수 있다. 영국에 있어서 사회개혁자들은 웨슬레의 가르침을 따라 그 사회에서 발붙일 곳이 없다고 생각된 사람들에게 자존심을 고취 시켰으며, 결국 인간 존엄성의 자각으로부터 민주화의 결과를 가져오게 하였다. 대혁명이 일어났던 프랑스와는 달리 영국이 정치적 혁명으로부터 피할 수 있었던 것은 웨슬레의 부흥운동을 통한 영적 혁명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영국 민족의 도덕관념을 완전히 개조하였고 이 근본적인 변화는 수 천에 달하는 다른 변화를 가져오는 비결이 되었다. 사람들의 양심을 향한 웨슬레의 인도주의적 호소는 참정권의 개혁, 노예매매에 대한 항거, 감옥의 개선 등 많은 개혁을 일으켰다. 그를 따랐던 복음주의자들이 가르쳐 준 사상과 새로운 정신은 이전에 재정되었던 여러 가지 잔혹한 법규들을 없애는 강력한 해소제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웨슬레의 부흥운동은 감리교회의 영역을 넘어 전반에 걸쳐 놀라운 영향을 미쳤다. 군대와 대학,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정치적인 부패에 항거하여 싸웠으며, 가난한 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시약소(施藥所)를 세웠고, 어려운 사람들을 위하여 구제고용을 시행하였다. 또한 노예매매제도에 대한 웨슬레의 확고하고도 열렬한 반대는 마침내 열매를 맺게 되었다. 사실 노예제도의 폐지는 복음운동가들에 의하여 이뤄졌다. 그들 가운데 대표적 사람이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인데 그들은 그들의 신앙으로부터 노예폐지 운동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고, 그 신앙으로 끈기있게 밀고 나갔다. 그들은 모두 ‘복음운동’(Evangelical Movement)의 교우들이며, 웨슬레파의 설교자들과 지도자들로부터 전적으로 지원을 받았던 것이다. 감독제도의 개선에 관하여서는 웨슬레의 영적 후예 중의 하나인 하워드의 공이 컸다. 그는 ‘현대 감옥개혁의 아버지’라고 불릴 정도이다. 그는 수감자들을 위하여 5만마일 이상이나 여행하였으며, 정부의 지원도 뿌리치고 그의 사재를 3만 파운드나 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시간과 재능, 재산 등 그의 전부를 수감자들을 위하여 헌신하였다. 웨슬레의 영적 후예 중의 한사람인 샤프츠베리(Shaftesbury)는 웨슬레의 부흥운동에서 성장한 그의 신앙 동료들과 함께 ‘산업노동자들의 노예화’에 항거하여 해방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이것은 정치적인 자유와 노동조합을 설립하는 데까지 발전하였고, 1945년에는 정치세력까지 위임 맡게 되어 국가의 정치적, 산업적 안녕과 복지에, 그리고 일반 국민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데 더욱 공헌할 수 있었던 것이다. 웨슬레의 부흥운동 후에도 해방되지 못하고 근절되지 못한 많은 문제와 죄악들이 있기는 하지만 새로운 양심이 조성되자 전 사회에 새로운 인간성과 윤리가 생겼고, 새로운 법규들이 제정되었음은 웨슬레 부흥운동의 영향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
셋째로, 교육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웨슬레는 주일학교 창설의 산파요, 학교 경영자요, 교육목회자로서 평신도 교육의 선구자라고 해도 잘못이 없다. 무엇보다도 그의 신학적 전개가 곧 기독교 교육의 확고한 근거를 제공하는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그의 생애 전체가 곧 교육의 생애라고 하여도 좋을 만하다. 부흥운동이 맹렬히 전개되던 초기에 그 결과로 킹스우드 지역에 학교를 위한 건축이 시작되었다. 이 학교는 휫필드와 함께 창설하였는데 교재선정과 학제의 제정 및 운영은 웨슬레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웨슬레는 교육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므로 학교교육을 관심 있게 관찰하고, 비판적으로 생각한 까닭에 이상적인 학교를 건설하기로 결심했고, 그 뜻이 이룩된 것이 킹스우드 학교인 것이다. 킹스우드 학교는 6살부터 12살의 아이들을 공부시켰는데 당시 영국에서 가장 우수한 것이었다. 이 학교의 설립 목적은 종교 교육적 목적과 일반 교육적 목적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 학교의 가장 우선적인 목적은 웨슬레의 말대로 “여기서 교육받는 사람은 누구나 일반적으로는 악에서 멀리 떠나고 특수하게는 나약함과 우유부단함을 버리고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성장하게 하려는 것이 우리의 의도”라고 하였다. 또한 웨슬레의 부흥운동의 영향을 받아서 주일학교가 생겨나게 되었다. 주일학교 운동은 로버트 레익스(Robert Raiker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운동의 진정한 주역은 웨슬레이다. 레익스가 주일학교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1769년에 하이위콤에서 한나 볼(Hanna Ball)양이 주일학교를 운영하고 있었다. 레익스가 시작한 주일학교 운동이 성공하게 된 것은 웨슬레의 적극적인 후원 때문이다. 감리교회의 창설자인 요한 웨슬레는 이 운동의 출발 당시부터 밀접하게 관련을 가졌다. 영국과 미국의 다른 목사들이 이 운동에 대하여 적대적이거나, 무관심함과는 달리 웨슬레는 적극적인 흥미와 우호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또한 레익스가 주일학교 운동을 공개적으로 확장시키게 되자 여러 가지 압력과 반발이 생겼다. 그 가운데 가장 견디기 어려운 시련은 십계명 주의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다는 정죄였다. 영국교회가 용납하지 않았고, 윌리암 핏트(William Pitt) 같은 사람은 주일학교 운동을 금지시켜달라고 청원서를 의회에 제출하기도 하였다. 이 때에 웨슬레가 레익스의 주일학교 운동을 옹호하고 나섰다. 그는 알미니안 매거진(Alminian Magazine)에 주일학교 운동을 설명함으로써 호의적인 여론을 일으키고 적대적인 여론을 둔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레익스가 주일학교운동을 시작한 지 5년 후 영국남부에서 윌리엄 폭스(William Fox)가 상업에 종사하는 평신도로서 ‘주일학교회’(The Sunday School Society)를 창설하여 지속적인 확장을 이룩해 갔다. 이 운동 역시 웨슬레의 후원을 받았으며, 특히 무보수 교사제는 웨슬레의 권고로 채택되었는데, 이것이 주일학교 운동에 크게 기여했다. 영국의 이러한 운동은 또한 미국의 주일학교 운동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미국 버지니아주의 ‘오크그로브 주일학교’(Oak Grove School)가 1785년 창설되어 주일학교의 효시가 되었고, 1786년에 애즈베리에 의하여 하노버지역에 주일학교가 세워졌다. 요한 웨슬레는 이처럼 주일학교 운동을 신대륙으로까지 발전시키는 데 큰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뛰어난 조직가요 행정가인 웨슬레는 신도회, 속회, 야성회, 애찬회 등의 조직적인 선교방법으로 교육과 훈련에서 교육공동체적 성격을 띤 교회를 세웠다. 그 이러한 평신도 지도자들을 과감히 그의 사역에 동원하여 교회의 새로운 교육목회의 지평을 열어 놓았다. 이러한 영향과 성격은 타 교파에 새로운 목회교육, 행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에 대한 평가
부흥이 또 다른 부흥을 남긴다는 명언처럼 독일의 경건주의 부흥운동은 영국의 복음주의 부흥운동을 낳게 되었다. 진젠도르프가 이끄는 모라비안 교회의 영향을 받아 회심하여 일으킨 웨슬레 중심의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은 영국사회를 혁명의 쓰나미에서 구원한 엄청난 사건이었다.
영국의 복음주의 부흥운동에서도 확인되는 것은 부흥의 출발은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죄악에 빠져 흥청망청하며 하나님을 잊어버렸을 때, 하나님께서 우상을 만들어 파는 아브라함을 일방적으로 불러 백성 삼으셨듯이 영국사회가 영적, 도덕적, 사회적 타락으로 인한 총체적 난국에 빠졌을 때, 웨슬레라는 걸출한 인물을 하나님께서 일방적으로 불러 준비시키시고 회심시키시고 사용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바른 부흥은 인간의 인위적인 노력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임을 영국의 복음주의 부흥운동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로, 진정한 부흥운동은 개인 심령의 변화, 특별히 올바른 회심에서 부터라는 것을 영국의 부흥운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웨슬레 한사람이 오랜 기간의 갈등과 번민을 청산하고 바른 구원의 확신을 가지게 되었을 때 영국의 복음주의 부흥운동은 시작되게 된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진정한 부흥을 사모하고 기대한다면, 한 사람 한 사람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달을 수 있다. 진정으로 기도하는 한 사람이 한 민족보다 강하다는 말이 있듯이, 진정으로 회심하고 헌신된 한 사람이 부흥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영국의 부흥운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셋째로, 성령이 역사하시는 부흥운동의 특징이 그러하듯이, 변화를 받은 설교자들의 말씀이 또 다른 사람들을 변화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심령의 변화는 반드시 사회변혁으로 이어짐을 우리는 확인 할 수 있다. 버틀러는 웨슬레를 중심으로 한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은 영국의 모든 사회개혁운동의 추진력이었다고 말했다. 그 결과로 감리교라는 엄청난 수적 부흥이 이뤄지게 된 것이다. 수적 부흥이 우선된 것이 아니라, 말씀을 통한 성도 개개인의 심령의 변화와 이에 동반된 구제와 나눔을 통한 사회변혁에 의해 하나님 주권적인 부흥이진정한부흥운동이고,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이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18-19세기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
신대륙 식민지의 이주민들은 대부분 영국과 유럽대륙에서 온 사람들인데 이들은 ‘가족’이라는 강력한 내적 활력을 주는 배경을 가지고 교회를 존속시키고 있었다. 예배의식인 예배에 사용하는 언어가 그들의 옛 본토와 중요한 유대관계를 이루고 있어서, 교회는 이주민이 동료를 찾고 문화배경이 같은 사람을 만날 수 있는 중심지가 되었다. 따라서 교파들은 민족별로 정돈, 수립되는 경향을 보였다. 식민지 시대에 미 대륙에 유입된 원칙적인 종교는 영국국교인 성공회였지만 1620년 메이플라워호(Mayflower)를 타고 온 소수의 청교도에 의해 세워진 회중교회와 루터교, 장로교, 침례교, 그리고 화란과 독일의 개혁교회와 퀘이커교 등의 군소교파들이 유입되었는데, 신대륙이 영국의 식민통치를 받게 되자 모든 교회는 영국교회의 구속력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침례교만이 처음 메사추세츠에 자리 잡으면서 부터 개인의 자유와 신앙의 자유를 2대 원칙으로 삼고 종교의 자유를 시도하였다. 그러다가 신대륙에서 미시시피계곡을 노리는 영국과 프랑스사이의 백년간 투쟁이 1689년에 시작되었다. 이 전쟁의 종식을 서명하는 협정이 성립된 후 4년 내에 스페인 제국의 계승권 전쟁이 발발했고, 그리고 상당한 평화기간이 있은 후 “오스트리아인 계승권 전쟁”(War of Austrian Succession)과 7년 전쟁이 잇달아 일어났다.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전반까지 모든 대륙 간의 계속된 전쟁으로 분위기는 최악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는 역시 정치적으로 불안정의 시기였다. 또한 신대륙 내의 종교적 열정은 상당히 냉각되었고, 제2, 3세 청교도들은 그의 아버지와 조부들의 신앙의 열정을 물려받지를 못하였다. 그 결과 ‘반계약제’(Half-Way Covenant)를 만들어 구원의 확신이 불분명한 2, 3세대들을 교회의 준회원으로라도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것은 형식적 교인들이 교회의 회원들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로 인해 개척자의 신앙과 정열이 식어지는 가운데, 지방색과 개인주의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사상적으로 구라파 지역에서의 합리주의와 이신론(Deism), 낭만주의와 칸트의 범신론적 신비주의가 미대륙에 흘러 넘쳐옴으로 신대륙 이주민들에게서 하나님을 두려워하던 청교도적인 경건한 신앙풍조가 사라지고 세속적이고 향락적인 물결이 밀려들어 교회의 출석률이 감소되고 영적 침체화 현상이 일반화되었다. 이렇게 신대륙 개척기에 유입되었던 교파들로 인해 청교도적인 경건한 신앙이 점차 퇴색되고 성공회적인 감각이 무디어지는 풍조가 만연할 즈음에 “대각성 부흥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제1차 대각성 부흥운동(The Great Awakening in New England)은 영국에서 일어난 웨슬레의 부흥운동과 독일 경건주의의 영향 하에 일어나게 되었다. 제1차 대각성 부흥운동은 처음 독일에서 온 경건주의 모라비안에 의해 펜실바니아주에서, 뉴저지주의 칼빈주의 화란 개혁교회의 프렐링호이젠(Freling Huysen)에 이어, 장로교회의 조나단 에드워즈와 영국의 부흥가 조지 휫필드의 활동으로 절정에 이르게 되었다.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의 역사
조나단 에드워즈의 1차 대각성 부흥운동
미국의 부흥운동은 특별히 대각성운동이라고 말하는데, 세차례의 커다란 영적 각성이 미국 교회에 있었다. 제1차 대각성 운동은 조나단 에드워즈가 중심이 되어 1725년에서 1750년까지 있었고, 제2차 대각성 운동은 찰스 피니를 중심으로 하여 1795년에서 1855까지 있었으며, 제3차 대각성 운동은 무디를 중심으로 하여 1875년에서 1915년까지 있었다.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는 윈저팜스에서 디모데 에드워즈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3세에 예일 대학에 입학할 만큼 수재였던 그는 1720년에 예일 대학 강사로 지내다가 1727년 노스햄프톤의 목사가 되었다. 그는 놀랍게 이지적이어서 당시의 철학, 과학을 통독하고, 로크와 뉴턴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하나님의 주권성과 예정론을 골자로 한 칼빈주의 신학에 철저하여 거기서 대성하였고, 한편으로는 부흥운동을 옹호하면서 정서적 폭발 때문에 부흥회를 불신하는 이들이나, 반대로 이 부흥회를 절대적이라고 보는 이들을 다 함께 경계했다. 그는 제임스 피어폰트(James Pierpont) 목사의 딸 사라 피어폰트(Sarah Pierpont)와 결혼하였다. 그녀는 실로 이상적인 뉴잉글랜드 목사의 부인이라고 불리었다. 그녀의 생활은 기쁨에 찬 경건생활이었으며, 많은 자녀들을 가르치고 훈련하면서 그의 남편으로 하여금 가정사에 대해 완전히 염려 없게 하였다. 사라는 가정을 온화함과 친절로 다스려, 많은 무리에게 하나의 성소처럼 보이게 하였다.
에드워즈는 노스햄프턴의 형편을 사라는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
그 도시의 젊은이들 간에 수년간 방탕이 크게 유행하였다. 많은 젊은이들이 야간에 자주 주점 방문에 몰두하였으며, 음탕한 그들의 행위가 주위에 있는 타 청년들을 극도로 부패시키는 병균과 같이 퍼져나갔다. 남녀가 음란한 분위기 속에서 술판을 벌이고, 그것을 희락이라 불렀다. 그리고 그들은 밤 시간의 대부분을 그 곳에서 보내면서 그들의 속한 가족 내 질서를 고려치 않았다. 진실로 그 도시에는 가족 내 질서의 확립이 완전히 실패한 상태였다.
그러나 이 키가 후리후리한 약하기 짝이 없는 젊은 에드워즈가 설교하기 시작하니 머지 않아 일반적인 종교적 분위기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에드워즈는 소위 인기 있는 설교자는 아니었다. 그는 학자로서의 생활에 더 열심이었는데, 서재에서 매일 13시간을 보내면서 매주 두 편의 설교를 썼다. 한 편은 주일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한 편의 설교는 주간 강의 때를 위한 것이었다. 그에게 설교준비와 공부하는 것은 목회적 봉사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이었다. 실제로 에드워즈는 심방도 매우 드물게 하였다. 강단에서 그는 고요하게 제스쳐 없이 말하였으나, 큰 음성으로 그리고 분명하게 꿰뚫는 언어를 구사했다. 그의 설교들은 불과 생명으로 차 있는 만큼 그 내용은 뛰어난 설교자로서의 자질과 하나님의 임재로 결합된 것이었다. 1734년 12월에 에드워즈는 칭의(Justification)에 대한 설교를 연속으로 하였다. 이 설교들은 알미니안주의 경향을 직접적으로 대항한 것이었는데, 알미니안 주의는 그 때 뉴잉글랜드에서 확산되고 있었다. 그는 18세기 알미니안 원리의 주창자인 요한 웨슬레도 강도 높게 비난했다. 회개하지 않는 사람이 행한 행위가 아무리 선한 것이라도 구원을 얻는 데 아무런 유익이 없고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선물이므로 하나님의 진노를 피하라고 외쳤다.
곧 큰 변화는 그 교회와 노스햄턴시에 나타났다. 그 도시에서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가 나타난 것이다. 부흥의 첫해에 백 명 이상이 회개하였다. 그러나 1735년 5월 무렵 그 흥분은 식어지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그 흥분을 견디어 낼 육체적 힘이 진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다음 수년 동안의 부흥은 뉴잉글랜드의 여러 부분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특별히 커네티컷 계곡에서 활발했으며, 1740년까지 그 운동은 뉴잉글랜드 전반을 통하여 일반화 되었다. 1746년 그는 ‘A Treatise Concerning Religious Affections’(종교적인 사랑에 관한 논설)를 저술하여 심리학적인 면에서 부흥운동을 분석하여 그 순수성을 입증한 일도 있었다. 그러나 에드워즈는 교회의 성도는 참 선택된 자들만의 회집이어야 한다고 교회의 순수성을 지극히 높임으로, 그 극단론으로 인해 1750년 그의 교회에서 면직 당하고, 매사추세츠의 스토크브리지에 있는 인디언들에게 선교하러 떠났다. 여기에서 그는 틈을 내어 그의 신학적 사고를 정리해 알미니안주의를 공박하면서 그의 칼빈주의를 확고히 정리 대성하였다. 조직신학자로서 그는 방대한 저작을 계획하고 있었으나 몇 편의 단편적인 논문밖에는 실제로 쓰지 못하고 말았다. 프린스톤 총장직에 취임하자마자 곧 천연두에 걸려 아깝게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었다.
이제 그가 교회와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자. 첫째로, 청교도들이 종교적인 정열과 유식한 교직자들의 지도하에 식민지를 세우고, 후손에게 보존시키려고 1636년에 하버드 대학을, 1701년에 예일 대학을 세웠다. 에드워즈의 부흥운동의 영향으로 식민지 미국에 있는 아홉 개 대학 중 여섯이 부흥의 결과로 생겨났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펜실베니아 대학, 프린스톤 대학, 콜롬비아 대학, 루져스 대학, 브라운 대학, 달트마우스 대학 등은 에드워즈의 대각성 운동의 결과로 생겨난 의의 깊은 학교 중의 일부이다. 이러한 기독교 대학이 창설되어 인재양성을 하게 되고 인디안 전도를 위해 많은 전도소가 세워졌다.
둘째로, 사회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1741년 7월에 에드워즈가 엔필드 커네틱커트(Enfield Connecticut)에서 한 유명한 설교 ‘Sinners in the hands of an Angry God’(진노의 하나님의 손 안에 있는 죄인들)을 설교하였을 때 고민의 숨소리와 울음소리가 심함으로 에드워즈는 그의 설교가 들려지도록 조용히 하라고 청중에게 말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렇게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영적 위기를 조성하고 교파간의 장벽을 무너뜨렸으며, 사회개혁의 전기를 마련하여 죠지아에 베데스다(Bethesda) 고아원이 세워지는 등 사회변화가 이뤄졌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지난 60년 동안을 통하여 지난 9년 간 처럼 이 도시가 악으로부터 해방된 적은 결코 없었다고 말할 정도로 놀라운 사회개혁이 일어났다. 하지만 동시에 교파 간의 심한 반발과 분열을 수반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각성 운동 중에 전해진 부흥의 설교는 곧 독립을 맞이하게 될 신대륙 식민지 주민들을 각성토록 했다.
넷째로, 영적인 부흥과 수적인 부흥도 많았다. 에드워즈의 대각성 운동으로 1740년에서 1742년 사이에 뉴잉글랜드 교회들에 놀라운 교인증가가 있었다. 30만 인구로부터 2만5천 내지 5만 명 이상이 개종하는 열매를 보았다. 이것은 전체 인구의 10% 이상 되는 것으로 매우 놀라운 일이다.
조나단 에드워즈의 1차 대각성 부흥운동 이후의 문제점
그러나 1차 대각성 운동은 에드워즈의 극단적인, 비타협적인 자신의 신학과 삶의 자세로 인하여 부작용도 많았다. 찰스 찬시(Charles Chauncy)는 부흥회의 무질서를 비난하고 조용하고 경건한 그리스도인의 정상생활을 주장했다. 이것보다도 더 큰 문제는 변화를 원치 않는 기성교회의 일부에서는 부흥운동을 따르는 세력과 분열하는 비극이 개 교회적으로 일어난 점이다. 이것은 목사 양성의 규준문제로 표면화 되었다. 남부교회의 필요에 따라 목사교육의 단기화를 주장하는 일부 ‘컴버랜드 장로교회’(Cumberland Presbyterian Church)를 세워 갈라져 나가고 말았다.(1810). 이러한 교파분열을 싫어하여 캄프벨(A. Compbell) 목사는 장로교회를 탈퇴하여 ‘그리스도의 제자교회’(Disciples of Church)를 세웠지만 얼마 안가서 또 하나의 교파를 세우고 말았다. 교회 정치는 회중정치를 택하고 유아세례를 부인함으로 장로교회와의 다른 특색을 나타 내었다. 뿐만 아니라, 신대륙에서 일어난 교리논쟁으로 정통파와 자유주의로 분열되는 일이 벌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자유주의(온건파, 구파)는 하버드와 예일 대학에 남고, 정통파(부흥파, 신파)는 프린스톤 대학을 설립하여 에드워즈를 학장으로 추대하는 대립현상으로 골이 깊게 패이게 되었다.
이러한 갈등과 대립 속에 조나단 에드워즈의 1차 대각성 부흥운동 이후 50년간 전 뉴잉글랜드는 다시 종교적, 도덕적 무관심의 영적 침체기에 빠져들게 되었다. 이것은 찰스 피니를 중심으로 한 2차 대각성 부흥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
찰스 피니(Charles Grandison Finney, 1792-1875)는 코네티컷주의 워렌(Warren)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그는 영향력 있는 교회에서의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한 체 불신 가정에서 자라났다. 1818년에 그는 애덤스시(adams)에서 법률가로 일하게 되었는데, 그곳의 교회와 기도회에 나가면서 자신의 삶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29세 되던 그는 1821년 10월 10일에 영혼을 흔드는 회심을 하게 되었다. 회심 즉시 그는 자신의 변호사 일을 버리고, 그리스도의 변호인으로서 일하기로 작정한다. 사역을 위해 이후 잠깐 동안의 개인적인 신학 수업을 조지 게일 목사(George W. Gale)로부터 받고 1824년 장로교 목사로 안수 받아 그 후 8년 동안 순회 사역자로 섬기게 된다.
제2차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은 동부지역 부흥과 서부지역 부흥으로 나누어진다. 찰스 피니는 1824년부터 1832년까지는 순회 부흥사로 미국 중서부 지역을 중점으로 했으나 그 후 대도시와 동부까지 활약하였다. 순회 사역자로서 로마(Rome)와 유티카(Utica)와 트로(Troy)와 기타 여러 도시에서 사역하게 되었다. 이후 건강상의 이유로 뉴욕시의 캐덤스트리트교회에서 청빙 받아 사역하였다. 이후 그는 브로드웨이 장막교회(Broadway Tabernacle)로 교회를 옮겼는데, 거기에서 1832년에서 1835년까지 목회를 했다. 그러던 피니는 1835년 뉴욕을 떠나 오하이오의 아사 메이헌(AsaMahan)이 세운 오벌린 대학의 교수직을 맡게 되고 1851년부터 1866년까지 오벌린 대학의 학장으로 봉사했고, 1875년에 사망하게 된다.
피니를 특별히 주목하는 이유는 이전의 부흥운동과 다른 패턴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피니는 교회부흥에 인위적인 방법을 동원한 최초의 목사이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피니는 최초로 ‘부흥회’라는 새로운 예배의 방식을 창안해 내었고, 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연속으로 집회를 드리는 ‘연속집회’(Protracted meeting)를 도입한 것이다. 그리고 믿기로 작정하는 사람들이 직접 의사표시를 하게 하는 방법도 피니가 처음 시도한 것이었다. 그리고 집회 후 질의자 집회를 열어 개종을 원하는 자를 설득시키는 방법 또한 피니가 처음 시도하였다. 이일로 많은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이 나오게 된 것에는 반드시 그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을 살피기 전에, 왜 부흥관이 인위적 부흥관으로 변질되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이 나오게 된 배경
사회적 타락
미국교회는 제1차 대각성 부흥운동 후 침체기를 지내면서 거의 황폐화 되었다. 감리교도는 들어오는 숫자보다 나가는 숫자가 더 많았고, 침례교도는 말하기를 그들은 가장 썰렁한 계절을 맞이했다고 했으며, 장로교도들은 총회에서 국가적인 불경건을 규탄했다. 전형적인 회중교회인 매사츄세츠주 레녹스(Lennox)의 사무엘 쉐퍼드(Samuel Shepherd)목사는 16년 동안 한 사람도 더 얻지 못했다. 1795년 예일대 학생이었던 레이만 비쳐의 회고록을 스위트(Willliam W. Sweet)가 인용한 것을 보면 다음과 같이 그 때 상황이 묘사되어 있다.
대학은 가장 불경건한 상태에 있었다. 대학교회는 거의 쇠퇴하였다. 학생들은 대부분 회의적이었으며, 난폭한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포도주와 알콜성 음료가 많은 방에 쌓여 있었다. 폭음과 모독과 도박과 음란이 보통이었다.
이러한 퇴조가 온 원인에 대해서, 이는 미국만의 현상이 아니고 전 세계적인 조류가 미국에도 미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먼저 기독교 신앙을 반대하는 계몽주의 사상이 전 세계를 뒤덮기 시작했다. 그리고 합리주의와 이신론이 젊은이들 사이에 퍼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상들은 종교라는 미신과 무지에서 이성을 통해 해방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을 하게 되었다. 레씽(Gotthold Ephraim Lessing)은 기독교는 인간 종족의 진보로 인해 이제 떠나고 있는 문화의 단계라고 까지 말했다.
미국 동부지역에서는 지식층이 합리주의와 이신론의 영향으로 기독교를 배척하고 있었고, 서부지방에서는 미국 독립전쟁이후 일어난 인구이동으로 교회가 새로운 문제에 당면하고 있었다. 즉, 서부 개척지의 확장에 따른 교회의 설립과 목회자의 공급문제였다. 서부 개척지에 속하는 지역에서는 가끔 순회 전도자가 와서 설교를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종교적 혜택을 거의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독립전쟁이 남긴 평등사상
미국은 독립전쟁(1770-1800)을 전후로 여러 가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미국의 토대가 된 건국이념은 신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독립선언서는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창조되었고, 창조주에게서 양도할 수 없는 일정한 권리들을 부여받았다.”고 선포하였다. 인간이 천부적 권리를 가졌다는 신념과 개인적 행복 추구 권리의 신념, 모든 인간의 평등, 개인의 자유가 사회 복지에 필수적이라는 신념을 개국 선조들은 이어 받았다.
바로 이러한 독립 정신의 영향을 받은 사고는 개혁주의 신학에 대립되는 운동들을 재촉하였다. 특히 전적 부패의 개념은 개개인이 자기 운명을 창출할 만한 본유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신념과 잘 어울리지 못했다. 또한 택자에게 국한된다는 하나님의 은총은 독립선언서가 말한 평등성에 대한 모독으로 여겨졌으며, 불가항력적 은혜는 통제할 수 없는 것은 악하다는 미국인의 사고에 어긋나게 되었다. 또한 성화의 문제는 하나님에 대한 신뢰와 함께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도 크게 향상되었다. 즉 미국 독립전쟁을 승리로 이끈 미국 사회는 인간의 능력에 대한 낙관론과 미래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개혁주의 노선에서 이탈하게 하였던 것이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토마스 페인, 토마스 제퍼슨, 벤자민 프랭클린 같은 사람들은 프랑스 혁명 주도자들처럼 반 기독교적 입장을 취하였다. 인간이 아무 것도 구원에 관여할 수 없는 칼빈주의는 현세적 구원이 자기 손에 달려 있다고 철저히 믿는 개척자들에게는 불편한 신학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1791년에 미국 연방 헌법은 종교와 정치를 분리시키는 정교분리를 헌법화 하였다. 이러한 정교분리 움직임에 일조했던 인물들이 바로 계몽주의와 자연신론에 영향을 받았던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이었다.
이러한 시대에 대한 반응은 기독교 내에서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옛 선조의 신앙으로 돌아가려는 욕구였으며, 또 하나는 19세기 미국 문화의 지배적인 정신과 친화하려는 경향이었다. 피니는 후자에 속한 신학을 추구하였다.
칼빈주의를 버리고 알미니안주의을 선택한 미국
그러한 시대에 피니가 서 있었다. 피니는 나다나엘 테일러(N. Taylor)의 사상을 흡수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특히 인간의 내면에 그리스도를 선택하고 기독교적 삶을 영위하기로 결단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견해에 마음이 끌렸다. 열정적인 개인의 노력이 하나님의 도움을 얻어, 그리스도인의 생명과 자유와 행복을 막는 어떤 장애물이라도 능히 극복할 수 있다고 선언하였다. 바로 이 당시 보통 미국인의 사고와 같이 말이다. 그래서 종교적인 낙관주의가 태동하는데, 이로 인해 전통적인 칼빈주의는 독립혁명 이후 인간의 사회적 정치적 역할을 강조하는 조류와 어울리지 않자 미국 기독교는 인간적인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신학이 수정 되었다.
피니가 많은 사람을 회심시키는 데 이러한 시대정신이 부합하는 신학을 주창한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그리하여 이 시대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개혁주의적 견해가 신학과 사역의 성공에 있어서 알미니안에게 밀리게 되었다. 즉 미국의 개척자들이 선택한 신학은 알미니안적 이었다. 개혁주의가 소수에게 구원을 주는 귀족정이라면, 모두에게 구원을 나누어 주는 알미니안 주의는 민주정 이었다. 독재하는 하나님이 아니라 자유 시민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님인 것이다. 이전 칼빈주의는 하나님이 시민을 선택하였으나 이제 피니의 신학은 사람이 하나님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칼빈주의는 신학적 논쟁으로 미국에서 쇠퇴한 것이 아니라 칼빈주의가 독립전쟁의 자유정신을 배격했기 때문에 미국인의 삶 속에서 배제되었다. 이제 인간은 인간의 자유를 축소시키는 어떠한 신학도 용납하지 않게 된 것이다.
19세기가 만든 인위적 부흥사 찰스 피니
피니의 신학은 19세기의 시대정신과 부합된다. 그는 하나님을 독립 전쟁의 자유정신에 입각하여 선택하였으며, 다른 이들에게도 이러한 하나님을 선택하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그러나 그의 신학은 미국의 황금 시기에 누리는 인간에 대한 낙관적인 견해는 있을 지언정 성경이 말하는 하나님을 바라며, 자신의 ‘믿음 없음을 도와 주소서’라고 말하는 나약한 인간은 없다. 인간은 얼마나 멋진 자리에 서 있는가? 얼마나 이 알미니안주의자가 말하는 구원의 민주주의는 이성에 부합되는가? 그러나 이것은 그의 체험을 성경보다 더 우위에 앞세운 인간의 경험에 대한 낙관적 이해가 저변에 깔려 있다.
하나님의 사역은 인위적이지 않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하나님 앞에 나오지 않던 바울도 하나님은 꺾으실 수 있으셨듯이 피니도 하나님이 부르셨다. 그러나 그는 칼빈주의의 기다림보다 하나님을 찾아 만나게 하는 인스턴트식의 방법을 택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피니 혼자만 결과가 아닌 19세기 정신이 나은 결과물인 것이다.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
인간의 의지 강조
부흥관에 있어서 피니는 칼빈주의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이해를 몹시 비판한다. 그는 칼빈주의자들이 마치 천둥이나 번개를 자신들이 일으킬 수 없는 것과 같이 부흥은 하나님의 손에 달린 것으로 이해했다고 비판하면서 실제로 “부흥은 부흥을 위한 수단을 바로 사용하여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그는 모든 신적인 것은 인간의 동의로부터 시작한다고 믿는다. 피니의 모든 견해 중에서 가장 유명한 이 발언은 피니를 알미니안주의자로 부르기에 손색이 없게 하였다.
그는 기독교는 기본적으로 사람이 하는 일이며, 참된 기독교는 하나님을 순종하는 데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의 견해의 약점은 기독교가 우리가 해야 할 의무가 아니라 하나님이 하실 수 있게 하시는 도우심의 은혜가 강조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해야 할 의무를 깨닫고, 할 수 있도록 도우시는 그 은혜가 강조되어야 한다. 우리 자존심이 순종을 막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부패가 우리를 가로 막고 있는 것이다. 피니가 우리의 의지로 이길 수 있다고 보는 인간의 부패성과 무능력은 그렇게 가소로운 것이 아니다. 그것은 무한한 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는 인간을 하나님의 손 안에 든 도구가 아니며, 하나님의 도구는 그저 진리일 뿐이며 우리는 능동적인 도덕적 행위자로 본다. 회개는 당사자가 진리에 대해 순종하는 것으로 본다. “죄인이여, 영원불변하신 하나님께서 당신의 결단을 기다리십니다.”라는 말이 바고 그 증거이다. 그에게 있어서 부흥을 일으키는 주체는 우리인 것이다.
그의 부흥을 일으키는 방법은 마치 하나님이 이 과정에 필요 없는 분과 같이 말한다. 모든 방법은 화해하는 하나님을 향하지만 하나님의 역사와 상관없다. 하나님과 만나기 원하는 자는 하나님께로 스스로 나아가야 한다.
인위적인 기도응답
그는 죄를 생각하고 죄를 해결하는 가운데 기도의 영을 받게 되고 회개의 역사와 죄의 깊은 고백이 있게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기도의 영을 받게 되면 참된 기도를 하게 되고 이 참된 기도란 추구하는 바를 성취하는 기도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기도하는 바에 대한 응답을 받지 못하면 그것은 참된 기도가 아니라고 말한다. 그러기에 칼빈주의자들이 하나님의 도우심을 아무런 행동 없이 기다리는 것은 참된 기도가 아니라고 말하면서 참된 기도는 반드시 응답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칼빈주의의 핵심은 하나님의 도움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을 의지할 수 밖에 없는 자신의 무력함을 겸허하게 인정하고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다. 우리는 일용할 양식에까지 그런 겸허한 기도를 주기도문을 통해 드린다. 그러므로 우리가 이렇게 기도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의 무력함과 하나님의 주권을 고백하는 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가 매일 먹는 양식조차도 하나님의 은혜로 먹고 있는 것이다. 피니의 부흥의 방법과 기도에는 이러한 인간의 무능력과 겸손이 설자리가 없다.
인위적 방법으로 언제나 가능한 부흥?
피니가 교회사 내에서 알미니안주의자로 낙인찍히게 된 유명한 발언은 “참된 기독교는 사람의 일이다. 즉 그것은 우리가 하는 어떤 일이다.”인데, 피니는 부흥이 결코 기적이 아니라고 말하였다. 물론 그에 대해 옹호론자들은 이러한 그의 말에 대한 칼빈주의의 비난은 단편적인 것으로 그의 진술을 들었기 때문이며, 그가 이후에 강조하는 기도에서 그에 대한 비난은 상쇄 된다고 변호한다. 그리고 부흥은 자기가 일으킨 것이 아니라 누구든지 이러한 방법들을 잘 사용하기만 하면 “누구에게나” 부흥은 온다고 말하는 겸손에서 비롯된 오해라고 그를 옹호했다. 즉 피니가 아니라도 누구든지 바른 방법을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참된 겸손의 진술은 ‘누구나 할 수 있다가 아니라 하나님만이 하신다.’이다. 참 겸손은 하나님께 그 영광을 집중케 하는 것이다.
피니는 그의 부흥론에서 하나님이 모든 자연 사건을 이해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해 섭리하시듯이 하나님은 사용하시는 수단 없이 주권을 행사하지 않으신다고 말하면서 그가 제시하는 부흥의 법칙이 그러한 수단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기도하기만 하면 부흥에 성공하고, 어떤 특별한 수단은 그 자체만으로 결과를 보장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이러한 수단이면 모든 부흥이 성공한다고 생각하는 견해는 분명 하나님을 배제한 견해이다. 또한 많은 이후 세대들이 하나님의 부흥을 경험하고자 피니의 책을 읽었다고 할지라도 그의 방법만으로 부흥을 이룰 수는 없었다. 피니가 내세운 부흥의 방식이 참으로 그 부흥을 일으키신 하나님을 가둘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한가지 찰스 피니의 사역에 있어서 그 원리에 오류가 사실이라 하더라도 피니 시대의 칼빈주의도 정상적인 칼빈주의라 하기 어렵다. 피니시대 칼빈주의자들은 부흥이 소나기와 같이 임할 것이라고 이야기하면서 인간이 부흥 즉 전도나 회심을 위한 어떠한 노력도 불가한 것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주권은 가만히 앉아 있기만 하라는 의미의 수동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에 대한 신학적 견해는 우리가 힘써 일하는 것의 결과가 우리의 힘으로 얻은 것이 아니라는 실존적 고백이며, 찬양인 것이다. 피니시대 칼빈주의자들이 피니가 그래도 많은 사람을 그리스도께 인도한 것을 인정한다면, 하나님의 주권을 잘못 이해한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을 가까이 하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가까이함에 주도적인 역할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가까이해 주실 때만이 우리는 하나님과 가까워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우리는 우리의 모든 수단을 다 행하지만, 우리의 회심이나 부흥이 우리 자신의 결과로 볼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의 믿음의 행위를 행사하고 있는 의미에서 믿음은 우리의 것이지만, 우리가 우리 자신을 구원할 수 있다고 믿는 문제와는 다른 것이다. 이와 같이 당시 칼빈주의의 오류는 피니의 신학에 큰 빚을 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만약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삶을 산다면 우리는 담대하게 복음을 전할 수 있고 또한 즉각적인 반응이 없을 때라도 인내할 수 있다. 하나님의 정하신 때와 정하신 방법을 인격적이신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가질 수 있다. 우리는 시대정신이 신속한 결과를 원하면 원할수록 오히려 더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며 기도의 사람이 된다. 우리는 우리의 무능으로 하나님의 주권을 바라보며, 우리의 방법에 대해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한다. 이것이 우리의 방법만을 통해 역사하지 않는 하나님이 원하시는 우리의 태도이다.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 방법들
피니는 부흥을 촉진하기 위해서 필요한 방법을 사용한 최초의 사람이다. 오늘날은 피니가 특별한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생각하는데 일부를 제외하고는 그렇지 않다. 피니의 방법이 오늘날에는 보편화되어 있다. 오늘날 대다수가 피니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은 부흥이나 회심을 위해서 인간들이 어떤 특별한 노력을 하는 것들을 말한다.
부흥회
피니에 의해 사용된 방법 중에 먼저 몇 일 동안을 계속 해서 집회를 여는 연속집회가 있다. 이 연속집회의 시작은 1800년대 초 서부 개척지의 야영집회이다. 드럼먼드(Drummond)는 “부흥적 연속집회는 오늘날까지 사용되는데, 이의 탄생은 이 운동(야영집회)에 있다.”고 말한다. 개신교회에 있어서 매일 모여서 집회를 갖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 생긴 것이다. 18세기인 조나단 에드워즈 시대는 에드워즈가 일주일에 두 번 설교한 것이 전부였다. 주일날 한번 하였고 주간 중에 한번 하였다. 그러니까 개신교 교인들은 일주간에 두 번 모인 것이다. 야영집회는 보통 4일간 계속해서 집회를 열었다. 그런데 피니는 필요에 따라, 로마에서는 20일간을 계속해서 집회를 열었다.
이러한 연속집회는 기도회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부흥의 기간 동안 사람들은 주일이 아닌 평일에 교회 혹은 개인의 집에서 기도회를 열었다. 이 기도회에서 사람들은 간증을 하며 기도를 하였다. 그런데 피니가 기도회에 참석했다가 그 기도회 자체만으로는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고 “모든 집회마다 설교하기로 약속했다.” 그래서 부흥을 목적으로 몇 일이고 계속해서 모여서 설교 듣고 기도하는 특별한 집회, 오늘날 말하는 ‘부흥회’가 교회에 생기게 된 것이다.
믿음의 의사표시
두 번째로 피니가 사용한 방법은 믿기로 작정한 사람들에게 의사표시를 하도록 한 것이다. 1825년 피니는 루트랜드(Rutland)라는 곳에서 부흥운동을 하였는데, 그 때 처음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주의 영이 회중들에게 부어졌다. 설교를 끝내면서 나는 내가 전에 해 본적이 없는 것을 하였는데, 자신의 마음을 하나님께 바칠 사람은 앞으로 나와서 앞자리에 앉도록 요청한 것이다.
이와 같이 믿기로 한 사람들에게 의사표시를 하도록 한 것은 피니가 창시자이다. 위의 인용에서 나타나는 대로 피니는 성령이 부어졌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결단을 요청한 것이다. 피니가 믿을 사람을 앞으로 나오게 한 이유는 그들과 대화를 하기 위해서였다. 피니는 회심한 사람들에게 목회자는 적절한 지시를 하여야 할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피니가 이러한 방식을 사용한 것 중에서 오늘날은 사용되지 않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갈망자 좌석’(anxious seat)이다. 이것과 유사한 것은 19세기 초 감리교 야영집회에서 사용된 ‘통곡자 좌석’(mouner's bench)라는 것이 있다. 갈망자 좌석이라는 것은 자신이 죄인인 것을 깨닫고 구원을 갈망하는 사람은 설교대 가까이에 지정되어 있는 갈망자 좌석에 미리 와서 앉아 있으라는 것이다. 피니는 이 방법을 1830년 로체스터(Rochester) 부흥 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왜 사용했는지 그의 글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내가 생각하기는 몇 번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소위 ‘갈망자 좌석’이라는 것을 로체스터에 오기 전까지는 사용하지 않았다. 나는 가끔 사람들에게 회중 가운데서 일어나기를 요청했으나, 그리 자주한 것은 아니다,.... 나의 경험과 관찰에서 내가 발견한 것은 상류층들에게는 극복되어야 할 장애물이 있는데, 그것은 그들이 ‘갈망하는 질의자’(anxious inquirers)로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 하는 두려움이다. 그들은 너무 교만하기 때문에 그들 자신이 갈망자로 나타나는 일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위의 인용에서 보여지는 대로 공개적으로 자신이 구원을 갈망하는 사람임을 드러내면, 회심하는데 장애가 되는 자존심을 극복 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질의자 집회
셋째로 사용된 방법은 ‘질의자 집회’(inquirer meeting)이다. 피니는 자신이 설교한 내용에 대해서 질문이 있는 사람에게 답변하기 위한 모임을 가진 것이다. 1824년 에반스 밀즈(Evans Mills) 근처에 있는 독일인 정착촌에서 시작되었다. 그때의 일을 피니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들의 요청에 따라 질의자들에게 답변을 하기 위해 나는 한 모임을 약속했다.... 나는 그들 가운데로 왔다 갔다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건물의 중심에 자리를 잡고서 그들에게 질문을 하기도 하고 또 질문하도록 격려하기도 했다. 그들은 아주 흥미진진해 했으며 자유로이 질문하고 답변했다.
피니 이전까지 사역자는 단지 ‘말씀의 선포자’로만 생각했다. 그러나 피니는 단순한 선포자만이 아니라 설득자라고 생각한 것이다. 피니는 사람들에게 남아있는 문제점들이 제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는 또한 사람들을 상태에 따라 분류한 후 그들에게 필요한 지시를 하려는 것이기도 하다. 피니는 1850년 런던의 존 캠벨(John Camphell) 목사의 교회에서 몇 주간 설교한 후에 그리스도인이 아니면서 자기의 영혼 구원에 관심이 있고, 하나님에 대한 당면 의무가 무엇인지 지도 받고 싶은 사람만 교회 옆 학교 강당에서 열리는 질의자 집회에 참석하라고 했다. 이러한 질의자 집회는 오늘날 전도대회에서 설교 후 결신자들을 붙잡고 하는 상담의 시초이다.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이 미국교회에 미친 영향
미국 장로교 교단 분리의 원인 제공
피니가 미친 영향력 중 가장 큰 것은 바로 이 장로교 분리의 원동력이 된 것이다. 비단 피니 뿐 아니라 이 대각성 운동의 영향으로 칼빈주의 즉 미국 장로교 내에서 두가지 큰 주류가 생겨났다. 그것은 이 부흥에 찬성하는 파와 반대하는 파로 갈라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주로 부흥에 반대하는 학파는 구학파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고, 신학파는 친부흥적인 성향이 있는 북부지방 계열이었다. 물론 피니의 신학이나 부흥사역이 이러한 교단분리의 직접적인 원인제공을 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원인이 되는 포용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신학파는 신학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부어주시는 부흥의 성공을 바라보면서 신학에 대한 융통성 있는 태도를 취하였다. 그러나 남부지방은 신학적인 이견을 가진 부흥에 대해 그 성과를 무론하고 동의할 수 없었다.
교회의 세속화와 실용주의
피니가 기도와 설교의 역동성을 강조한 것은 그가 고백한 대로 더 많은 사람을 그리스도께 돌아오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가 지니고 있던 나름대로의 신학의 건전성은 이 후에 전수되지 않았으며, 그 자신의 사역의 원리만 남게 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사역의 원리는 결과만을 중시하는 실용주의로 변질되었다.
사상들이 무엇보다 무엇인가에 구체적 기여를 해야 한다는 생각, 교리와 사상의 세련에 대한 능멸, 사상가들이 다른 사람의 정서를 움직이는 힘을 가진 사람이나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사람들의 그늘에 이러한 것들이 가려진 것은 20세기가 그 기원이 아니다. 그것은 미국 기독교의 유산이요, 찰스 피니의 영향인 것이다.
이 실용주의는 하나의 신조를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그들의 영혼들을 가능한 빨리, 그리고 널리 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목표를 위해서 신학적 무장보다는 회심을 수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게 취급되게 되었다. 이러한 신조는 결국 어떠한 방법을 취하던지 용납하게 되는 것이다. 현대의 복음은 코카콜라와 같이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맛보였는지를 자랑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빌리 선데이(William Ashley Sunday)는 효과적인 복음전도를 위해서 강단에서 쿵쿵 구르며, 의자를 부수기도 하였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효과를 위한 방법들은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복음을 가벼운 것으로 치부하게끔 하였다. 그래서 복음은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되지 못하며, 많이 팔기 위한 “수단의 바른 사용”이 더욱 절실해 진 것이다.
이제 피니의 인본주의적 신학은 기독교를 사람의 일로 만들었으며, 그것은 그 신학 속에 담겨져 있는 상업적인 요소만으로 축소되었다. 이제 예수의 복음을 전하는 것은 신발 하나를 파는 것과 같아졌다. 예수는 상품이 되고 죄인은 구매자가 되어 복음 전도자는 이 상품을 멋지게 파는 마케팅 대리인이 된 것이다. 이런 구도에서 인간은 빚진 자가 아니라 구매자들이 된 것이다.
수적 부흥을 선호하는 신학적 포용성은 신학의 자유화와 연결되기 쉬우며, 수적 부흥의 선호는 말씀과 교리에 대한 강조보다 방법 중심적이 되기 쉽다. 모든 것이 도구화 된다. 하나님도 상품화되는 것이다. 효과만 좋다면 어떤 도구에라도 하나님을 삽입한다. 그리하여 신학은 하나님을 아는 학문이 아니라 삶을 끄는 학문이 되는 것이다. 신학적이며, 교리적인 설교는 무시되며 예수 그리스도의 피는 사라지는 윤리적인 설교가 판을 친다. TV설교와 상담, 적극적인 사고방식, 연예인 간증이 설교단을 메우게 된다. 이것이 피니가 미친 간접적 영향인 것이다.
체험주의
피니는 하나님께 계시를 받아 범죄 하는 느낌 대신에 사랑이 넘치는 칭의의 경험을 했다. 단지 그의 느낌으로 말이다. 또한 그의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성향에 어울리지 않게 성화까지 논리로 정리할 수 있었던 그가 복음 전하는 사명을 받은 것은 객관적으로 증거하지 못했다.
피니가 신학교육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성령세례를 강조했던 체험주의가 오늘날 교회에 만연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성경은 말하기를 우리를 참으로 그리스도의 자녀로서 자라가게 하시는 것은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접촉의 체험이 아니라 포도주와 떡을 통해서 되어지며, 성경을 통해 되어지며, 세례를 통해 되어지는 것이다. 이것이 하나님께서 초대교회로부터 성령을 통하여 우리에게 자신을 나타내 주시는 방편인 것이다.
찰스 피니 이후의 미국의 부흥운동
제3차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
찰스 피니의 영향으로 부흥관은 인위적 부흥관으로 변질되게 되었다. 그리고 그 부흥관이 그대로 발휘된 것이 1875년에서 1915년까지 무디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제3차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이다.
무디(Dwight L. Moody, 1837-1899)가 활동하던 시대는 멕시코 전쟁(1846-1899)과 남북전쟁(1861-1865)으로 기독교가 침체되었을 때였다. 메사추세츠 이스트노스필드(East northfield)에서 벽돌직공 아들로 태어나서 유니테리언(Unitarian)으로 유아세례를 받고, 17세 때에 어머니의 농장을 떠나 보스톤으로 일자리를 찾아 떠났으며, 그곳 보스톤의 회중교회에서 개종했다. 그의 주일학교 선생이었던 에드워드 킴볼(Edward kimball)이 무디의 성경지식이 형편없는 것을 알고 그가 일하고 있는 홀튼 양화점(Holton's Shoestore)에 찾아가 그리스도의 사랑과 보혈에 관하여 말해주는 순간 하늘의 빛이 그에게 비추었다. 1857년 회심한 후 무디는 시카고의 YMCA가 조직되어 만든 홀톤거리 기도모임에 열심히 참석하였고, 1860년 그리스도의 일에 모든 시간을 바치기 위하여 사업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북부 시장의 대사업가 헨더슨(C.N. Henderson)의 모든 기업을 맡아달라는 부탁도 받았지만, 그는 연봉 7500불을 받고 있던 현재의 직업을 버리고 연봉 300불을 받는 하나님의 일을 하기 위해 나섰다.
무디가 부흥운동에 관심을 갖게 된 동기는, 자신이 세운 주일학교의 어떤 여자교사가 병이 들어 의사에게 사망선고와 같은 절망적인 진단을 받고 마지막 주일학교를 떠나기 전에 구령의 열정을 가지고 무디와 함께 자기반 학생들의 집을 일일이 심방하여 전도한 일에 있었다. 이것으로 인해 무디가 이전처럼 많은 어린이들을 모으는데만 전력했던 일에서 탈피하여 그들 개개인이 개인적으로 그리스도를 자기 구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깨닫게 되었다.
그 후 무디의 미국에서의 전도집회는 1875년 11월에 브룩클린에서 모인 것이었고, 여기서부터 필라델피아, 뉴욕, 시카고, 보스톤, 그 밖에 각 도시에서 집회가 열려 수많은 잃었던 영혼들이 주님께 돌아오게 되었다. 1876년 2월 7일에 개회하여 4월 19일에 폐회한 뉴욕집회는 경마장에서 열렸는데, 이 집회는 아침부터 저녂까지 7,000~8,000명의 군중들이 의자를 가득 메웠다. 이 집회의 효과는 그 후 25년 동안에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당시 뉴욕 신자들에게 당신은 언제부터 그리스도인이 되었느냐고 물으면, 1875년 혹은 1876년경이라고 대답하여 무디의 부흥운동의 광범위함을 입증하여 주었다.
확산되는 인위적 부흥관
무디의 부흥운동은 찰스 피니와 마찬가지로 도시 대형 집회 중심으로 이뤄졌다. 그리고 종교적 교리보다 오히려 개인적 신앙의 체험을 강조했다. 그리고 죄를 책망하여 회심하게 하기 보다는 사랑을 강조하여 회심하는 피니와 같은 전략을 택하였다. 그리고 무디는 목사가 아니었기 때문에 피니보다 더 신학적 바탕이 없었다. 그리고 자신이 평신도이다 보니 평신도 운동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결과 무디는 평신도 사역자들을 키워내기 시작했고, 존 모트(John Mott)같은 ‘세계기독연맹’(World’s student Christian Federation)을 조직한 평신도 지도자를 길러내게 되었다.
이 평신도 운동은 미국의 ‘평신도 선교운동’(Layman's Missionary Movement)의 태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것은 각 교회에서 경영하는 외국 선교사업을 효과적으로 원조하기 위하여 선교사업용 헌금을 증가시키려는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평신도 중심의 초교파적 연합운동이었다. 그리고 1876년 11월에 ‘캠브리지 상호대학생연합회’(The Cambridge Intercollegeate Christian Union)가 형성되었으며, 2년 후 캠브리지 세븐(Cambridge seven)이라고 불리는 7명의 젊은이들이 중국에 선교사로 나가기 위하여 자원한 일로 대학생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였다. 1886년 메사츄세츠 헐몬산에서 외국 선교사가 되기를 결심하는 회원이 251명 중 100명이나 되었다. 그리고 1892년에는 ‘국제학생자원 선교협의회’(The International Student Volunteer Missionary Union)로 개칭되었고, 50년 후인 1945년에는 국내 선교에 관심을 가지고 ‘기독교 선교학생 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Christian Missions)으로 방향을 바꾸어 안식년으로 귀국하는 선교사를 방문하여 격려하고, 학원선교에 힘쓰며, 학원 친교를 통한 그리스도의 선교정신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해 왔다.
한국에 상륙한 인위적 부흥관
무디의 부흥운동은 무디가 죽은 1899년 이후에도 계속될 정도로 그 영향은 엄청났다. 19세기 말엽에 한국에서도 공인된 개신교 선교가 외국 선교사들에 의하여 시작되었는데 이들은 무디의 생존 당시 일어난 부흥운동에 감화 받은 자들이었다.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또한 기독교 선교학생 자원운동의 영향을 받고 파송된 선교사들이다.
찰스 피니의 인위적부흥관의 영향을 받은 한국교회 부흥운동
1900-195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
1900년대 초의 부흥운동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은 영,미에서 건너왔다. 한국에 온 선교사들의 복음이해와 신앙형태는 한국의 기독교인들의 복음이해와 신앙형태를 만드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런데 그것들의 특징은 경건주의적이고 주관주의적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복음은 단지 개인의 회심과 구원의 내적 확신을 위한 것이며, 그 회심과 확신은 개인의 체험을 통하여 얻는 것이었다.
19세기 말엽 한국에 온 미국 선교사들의 대부분이 찰스 피니와 무디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었다. 무디의 설교는 결코 공포심에 호소하지 않고 다만 하나님의 사랑만을 강조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옳은 삶을 살도록 격려하기에 힘썼다. 한국에 있어서 부흥운동의 시발이라고 할 수 있는 1907년 원산에서 일어난 대부흥 운동은 원산에 모였던 남감리교 선교사들에 의한 것이었다. 그들은 그들의 선교사업이 부진하고 아무런 성과가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성령의 은혜를 받아야겠다고 생각하여 성경을 연구하고 열심히 기도하였다. 여기에 케나다 감리교 선교사 하디박사(Dr, R. A. Hardie)도 참석하여 누가복음 11장 13절의 말씀을 통해 큰 감동을 받고 인도한 부흥집회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어 많은 사람들이 죄를 회개하고 신앙의 길로 돌아오게 될 뿐 아니라 전국으로 불길처럼 퍼져나갔다. 1907년에 일어난 부흥운동은 원산을 기점으로 평양, 목포에서 전국방방곡곡에 파급되었는데, 이 사경운동의 결과로 교회의 신앙수준 향상과 성경지식 함양은 물론 광신(狂信)은 거의 없었고 올바른 구원의 도리를 배웠으며, 다수인에게 성직의 소명을 받게 하였다. 이 1900년대 초의 부흥운동의 또 다른 하나의 결과는 종교적인 습관을 세워둔 것이다. 길선주 목사의 평양에서 시작한 새벽기도회의 뜨거운 열정과 교인들의 독자적인 성경연구에 대한 습관 형성이 바로 그것이다.
1907년 이후 나타난 1900년대 초의 부흥운동이 사경회 중심으로 경건한 분위기 속에서 일어났으나, 찰스 피니와 무디의 인위적 부흥관의 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로 성령의 은사, 죄인의 회개, 열심 있는 기도 등 개인 구원과 체험이 강조되었다는 사실이다. 둘째로, 부흥운동의 형태 자체가 찰스 피니에서 부터 시작된 연속집회의 부흥회 형태를 가지면서 말씀과 기도회를 반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로, 찰스 피니 이전 부흥운동에서 강조되는 정치, 사회, 문화 등 사회구원문제는 무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은 태동부터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에 물들어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일제시대 부흥운동
3.1운동 후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에서 가장 열정적이었던 사람은 김익두 목사이다. 김익두 목사는 1900년에 회심하여 1907년에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1911년에 평양신학교를 3회로 졸업한 192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의 주역이다. 그가 신천교회에 시무할 때 불같은 성령의 임재와 기적의 신유를 가져오는 능력 있는 부흥사로 등장한다. 그는 1919년 경북 달성군 현풍교회 부흥회에서 박수진이라는 아래턱 떨어진 걸인을 고친 기적적 신유의 은사를 비롯 가는 곳마다 이 은사는 계속 되었다. 그의 설교의 초점은 육적사랑과 함께 영적 사랑을 강조했다. 그리고 성령의 능력과 기도의 힘을 강조했다. 그가 가진 부흥회의 수는 대략 766회, 설교횟수는 28,000번, 교회 신축은 150 곳, 그에게 치유 받은 사람은 10,000명 정도라고 한다.
193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의 중심에는 이용도 목사가 있다. 이용도 목사는 1924년 감리교 협성신학교에 입학했다. 1928년 1월 신학교를 졸업하고 강원도 동해안 통전지방 담임자로 부임할 때 까지만 하여도 평범한 이성적 인본주의 전도인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박재봉이란 청년과 함께 근처 백정봉산에 들어가 10일간 금식기도를 한 뒤 영적 능력의 사람으로 변화하여 50여명 모이던 통천읍 교회가 몇 주 만에 160명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그 결과 여러 지방에서 부흥강사로 초빙을 받기에 이르렀다. 그의 집회 때 열기는 그의 설교집을 편집한 변중론 목사의 기록에 나타나 있는데 “이 때에 집회 참가자 수가 초만원이어서 나는 겨우 산정현 교회 바깥담 위에 앉아서 보았고, 신암 교회 집회는 저녁 7시부터 12시까지 5시간 계속되었는데 한 10분인 듯 느껴졌다.”고 말한 것은 편집인의 과장만은 아닌 것 같다. 그의 생애를 결정지어준 배경은 정열적 성격과 종말의식이 강하였고 신비체험에서 비롯된 확신이었다. 그러나 이용도 목사는 신비주의적 색체를 짙게 풍기면서 언제나 환상과 기도에만 열을 올렸고 말씀에 대한 연구나 관심은 없었다. 그의 부흥운동은 신비주의적 경향으로 인해 긍정적 측면보다 부정적 측면을 더 많이 낳게 되었다. 그래서 1933년까지 약 3년 6개월을 부흥사로 활동한 이용도 목사는 신비주의적 이단 사상으로 말로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 외에도 이성봉 목사의 부흥운동도 빼놓을 수 없는 일제시대에 일어난 부흥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성봉 목사(1900-1965)는 지금의 성결교인 동양선교회 경안성서학원 졸업 후 첫 개척지에서부터 그의 부흥운동은 시작되었다. 주님의 권능으로 병자를 고치고 귀신들린 자들이 놓임을 받는 등 이적과 기사가 많이 일어나 구원 받는 자를 날마다 더하게 하였다. 각처에서 회개의 역사가 일어났으며 1937년 중일전쟁이 벌어졌을 때는 감옥에 갇히기도 했으나 만주 등지를 순회 전도할 뿐 아니라 일본에까지 건너가 교포들의 신앙을 복돋아 주는 부흥운동을 일으켰다.
일제시대의 부흥운동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신비주의적인 부흥운동이었다고 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나님의 기적은 아마도 일제 강압에 신음하는 조선 사람들을 긍휼히 여기신 하나님의 배려가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제시대에 일어난 부흥운동 역시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의 흐름 속에 들어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부흥운동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말씀을 통한 내면의 변화로 인한 사회적 변혁과 수동적인 수적 부흥이 아닌, 개인적 체험을 통한 회심과 개인적 차원에 그치는 변화는 하나님의 놀라운 능력이 나타났다고 해도 결코 바른 부흥관이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195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
시대적 상황
1945년 8월 15일을 전후하여 한국교회는 혼돈 속에 빠졌다. 해방 이전에는 교회를 탄압함으로 인해 교회 자체 내에서 분열이 있었다면, 해방 이후에는 신사 참배 반대자와 지지자 사이의 의견충돌로 인해 교회의 순수성에 대한 분쟁이 일어난 것이다. 해방 이후 교권의 분쟁과 신학 이념 차이로 인한 혼란스러운 때에 교회 재건을 위한 중요한 방법은 부흥운동을 통한 영적 회복의 길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시기 한국교회에는 부흥운동이 일어날 틈이 없었다.
1950년에 이르러서는 6.25 전쟁으로 인해 교회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를 틈탄 이단 종파들은 한국 교계를 흔들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1954년에는 박태선이 한국 예수교 전도관을 설립하여 성도를 미혹했다.
기도원 중심의 부흥운동
1945년 민족 해방의 기쁨은 오래가지 않고, 교회의 분열과 함께 성도의 마음에 허탈감을 낳게 되었고, 1952년 전쟁의 참화는 성도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 이 시기의 부흥운동의 특징은 기성교회의 기반을 이탈하여 하나의 분파운동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래서 신앙적으로 초교파적이며 토착화, 말씀의 영해 및 신비적 성령운동을 표방하고 기도원과 산상집회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출현한 이단들로 인해, 부흥집회나 부흥사들이 기성교회들로부터 이질시 되고, 이단으로까지 인식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부터 라고 할 수 있다.
1950년대의 부흥운동은 한마디로 없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해방이후 교회 내적인 혼란과 한국전쟁 이후 교회 외적인 어려움은 부흥이라는 글자를 생각할 수도 없는 상태였던 것이다. 그런데 다행인 것은 1차 대전 후 유럽에 불어 닥친 무신론과 사신신학이 일제시대와 한국전쟁을 거친 한국사회에는 일어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아마도 1907년의 부흥운동이 그나마 사경회 중심이었고,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의 위협 속에서도 신앙의 순결을 지킨 성도들의 헌신이 한국교회에 녹아져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1950년대의 혼란기를 넘어서 1960년대에는 바른 부흥관으로 부흥운동이 일어났으면 좋으렴만 한국교회는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196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
시대적 상황
1960년대는 정치적 혼란기라 할 수 있다.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에 대항하는 4.19 의거가 일어났고, 이 후 1961년 5.16 군사혁명으로 인해, 한국사회는 혼란기에 접어든 것이다. 국민들은 사회적 불안을 느꼈고, 안정적인 정서를 제공할 무엇인가가 필요했다. 사실, 사회의 불안요인이 증가하면, 그 구성원들은 종교적인 피난처를 찾기 마련이다. 그러나 당대의 교회는 국민들로 하여금 그러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오히려 교파간의 분쟁으로 인해 혼란만 가증되어 있을 뿐이었다.
이러한 정치적, 종교적 혼란기를 틈타 신흥 이단 종교가 독버섯처럼 여기저기에서 일어났다. 1963년 통일교가 사회단체 등록을 필하고 재단법인 인가를 받아 국내 기성교회 뿐 아니라 해외에까지 그 세력을 확장시키기 시작했으며, 하늘의 권세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신앙촌에 재림예수가 오실 것이라 주장하는 박태선의 전도관은 1960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통해 교세 확장을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여호와 세일교단이나 신권도학연구소, 세계일가공회는 각자 수도원과 연구소 등을 만들고 입지를 강화하려고 노력하던 형편이었다,
그러나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분위기의 전환이 일어났다. 우선, 1968년 제2공화국의 출범과 동시에 박정희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한국사회는 안정적 국면을 취하게 되었다. 군부독재 아래 있던 사회이지만, 오히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는 외면적인 안정을 되찾기 시작했다. 이러한 국가적 안정화가 이루어지자 한국교회의 성장도 더불어 일어나게 되었다.
부흥사, 부흥회 중심의 부흥운동
1960년대의 부흥운동은 개 교회 목회자의 노력과 함께, 부흥회를 인도했던 부흥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의 부흥운동의 성격은 교회의 양적 부흥과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심령부흥이라고 할 수 있는데, 거의 모든 교회가 1년에 한 두 차례씩 심령부흥회를 가져 질과 양의 부흥을 성취했다.
대부분의 부흥회는 월요일 밤부터 시작하여 토요일 새벽에 끝나는데 14회의 설교시간을 가졌다. 이 때 메시지는 많은 경우 비슷한 형식으로 흐르게 된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1회 설교에는 부흥회의 필요성과 계속 참석해야 할 필요성을 설교하고, 2-4회 설교에는 은혜 받는 조건으로 회개할 것을 촉구하고, 5-7회 설교에는 신도들의 윤리생활과 규범에 대해서 강조하고 어떤 부흥사는 신유를 통한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입증하기도 한다. 8-10회 설교에는 교회 구성원으로서 성도의 의무에 대한 교훈을 강조하며, 11-13회 설교에는 부흥회의 가장 결정적인 시기로써 영육의 평안을 가질 수 있는 성령 충만으로 오는 기쁨과 소망을 갖게 한다. 그리고 끝 회 설교에는 집회 끝난 후에 일어날 시험에 대해서 가르쳐 준다. 메시지의 내용 면에서는 1950년 후반기에는 한국전쟁을 치룬 국민에게 내세의 소망을 강조하는 복음의 내용이 대부분이었던 반면, 1960년대에는 한국민족의 소망과 사명의식 고취, 그리고 성령을 통한 신유, 성령 충만에 대한 메시지들이 강조되었다.
부흥회를 통해 한국교회는 에큐메니칼(ecumenical)한 범교회적 대중운동으로 변모해 가는 바탕을 삼았다. 초기 부흥사들이 부흥회를 인도할 때 교파의 선을 넘어 성도들이 피차 부담 없이 타교회로 가서 은혜를 받으므로 교파의 봉건성을 탈피시키는데 큰 공헌을 했다. 한국의 정서적 뿌리인 유교의 봉건주의는 계급이나 성별에 따른 분파적 성향이 강했고, 이러한 성향은 교단의 분파주의와 연관되어 있었다. 따라서 1960년대 부흥운동이 기여한 것 중의 하나는 각 교파, 개교회식의 분파주의적 시각을 일소하고 한국 성도들의 대중전도열을 일으켰다는 것에 의의를 들 수 있겠다.
그러나 부흥운동의 형식은 여전히 부흥회 중심의 연속집회였고, 내용 또한 개인에 집중 되었고, 체험과 신비주의적 경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벗어나기는 커녕 이 시기에 인위적 부흥관이 오히려 더 고착화 되었다고 생각된다.
1970년대 한국교회 부흥운동
시대적 상황
1970년은 대한민국이 기형적인 성장을 이룬 시기이다. 정치적으로는 군부 독제체제 아래서 퇴보하고 있었으나, 경제적으로 한국전쟁 이후 국가 재건의 성공과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안정을 견고히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회적으로는 군부독재에 대항해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과 시민들은 거리에 나와 데모에 나서게 됨으로써 정부와 국민 간의 대치형국이 자리잡게 되었고, 세계적인 유류파동으로 인해 공동체적 어려움이 생기는 등, 한국사회에 크고 작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한국사회는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의 진통을 겪는 중이었다.
정치적으로는 암울했고, 경제적으로는 발전의 그늘에 있던 서민들에게는 상대적 박탈감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정통적 가치체계나 공동체 의식의 붕괴를 경험하게 되었다. 한국사회에 정서적 피난처가 필요했었고, 결국 그 역할을 각 종교들이 담당하게 되었다. 그래서, 당시 한국종교의 성장이 고르게 일어났던 것이다. 물론, 종교 각계의 성장의 이유는 사회적 이유 뿐 아니라 한국인의 종교성과 종교의 내적 요인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때 타종교에 비해 괄목할 만한 수적 증가나 활동을 보인 종교는 개신교였다. 이 시기에 한국교회는 급진적인 성장을 경험하게 되었다. 복음주의운동과 연관된 대규모 집회를 통한 부흥운동이 한국교회 성장의 견인차였다.
대중 집회를 통한 부흥운동
최초의 대중 집회는 한경직 목사가 주도한 “삼천만을 그리스도에게”라는 소위 복음화 운동이었다. 예비모임은 1964년 10월 16일 이화여대에서 가졌다. 1965년 전국 복음화운동이 발족되어 위원장 홍현설, 총무 김활란이었으며, 그 후로 73년, 74년 77년에 계속하여 서울 여의도 광장에서 대성회를 가져 많은 성과를 얻었다. 73년의 주강사는 빌리 그래함(Billy Graham)목사, 74년 주강사는 김준곤 목사, 77년의 주강사는 신현균 목사였다.
이 대중 집회 중심의 부흥운동의 결과는 교파를 초월하여 하나로 뭉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고 분열하는 교회에서 연합할 수 있는 교회의 모습을 보인 것이다. 당시 한국사회는 분열로 점철된 사회였다. 사상적인 분열, 정치적인 분열이 시대를 주도하고 있었다. 비단 사회상에서 뿐 아니라, 한국 교회사에 있어서도, 한국교회는 해방이후 전개된 교단, 교파의 분열과 분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 왔다. 분열된 사회 앞에 일치와 단합으로 그리스도의 정신을 나누어야 할 때에 한국교회가 동일한 선상에서 헤매고 있었다. 이러한 때에 1970-1980년대 부흥운동의 물결 속에서 분열은 줄어들고 연합으로 민족에게 봉사하자는 의식이 싹트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형식과 내용은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에 머물러 있었다. 1960년대 부흥회 중심의 부흥운동이 실효를 거두자 시작된 1970-1980년대의 대중집회 형식의 부흥운동은 부흥관의 정석을 찰스 피니 이전의 바른 부흥관에서 찰스 피니 이후의 변질된 인위적 부흥관으로 바꾸게 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 폭발적 부흥의 결과로 1980년대에 대형교회가 생겨났고 이들이 한국교계에 주도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되면서, 그들의 부흥관이 성공적 부흥관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1980년-현재 한국교회 부흥운동
시대적 상황
60-70년대의 거국적인 대중집회 중심의 부흥운동의 결과로 교회는 대형화 되었다. 70년대 후반부터 그 성장이 눈에 띄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므로 이 현상을 교회의 인구의 폭발적 성장이라 해도 좋겠다. 한마디로 현 부흥운동의 실상은 대형교회 지향적 부흥운동이라고 표현해도 좋을 것이다.
대형교회 중심의 부흥운동
광림교회
광림교회는 김선도 목사의 조직적인 목회와 교인 관리, 부흥회로 일어난 성령 운동의 열정, 재정적 신장 그리고 70년대에 급성장대에 급성장한 경제발전과 사회 심리의 불안에 그 성장 요인을 두고 있다. 부흥을 위한 구체적 활동은 1974년 ‘천명 운동 계획과 실천’, ‘70인 전도대 조직’ ‘교인총동원 전도주일 설치’ ‘새신자 수련회’ 등이 있다. 김목사의 성장 이론을 보면 그 당위성을 마태복음 28장 19절에 근거하여 ‘성장은 하나님의 뜻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성장 이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한국인의 심리 역사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모든 질병을 치유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기 위해서 교회 주변 지역에 용역조사를 실시, 지역의 요구에 응하기로 했다. 주요사업은 교회 건물의 개방에서부터 매우 다양했다.
이 교회의 성장 요인을 더 구체적으로 살피면, 첫째 교회 성장학 도입과 한국적 상황에서 토착화, 둘째 성령역사의 강조, 셋째 목회자의 지도력, 넷째 유리한 지역 선정, 다섯째 성장 후 봉사와 분배 위주로의 방향 전환 등을 들 수 있다.
소망교회
1977년 8월 24일 설립한 소망교회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 아파트 단지 내에 있다. 설립 5년만인 1982년 10월 교회당 준공 시 이미 4,500명을 넘었고, 그리고 연간 1,000명 이상씩 계속 등록하여 성장하고 있다. 담임인 곽선희 목사는 예배를 통해 교인들을 만난다. 소망교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예배와 말씀인 것이다.
이 교회의 성장요인은 매우 독특하다. 철저한 새벽기도회, 독특한 예배 분위기, 아파트 단지 내라는 지역 특징 외에 별다른 조직이나 활동은 없다. 다만 곽선희 목사의 말씀이 매우 독특하다. 말씀의 은혜를 끼칠 때 교회 성장은 필연적이며 말씀에 감화된 성도 하나 하나가 전도자가 되지 않을 수 없으며 전도 되어 나온 사람은 이 말씀으로 신자가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소망교회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말씀이 소망교회의 특징인 동시에 부흥의 요인이라 하겠다. 그 다음 특징은 아파트 중류층 사람이 거의 대부분이라는 것과 장년 70% 이상이 대학출신인 만큼 수준이 높아 교회의 포괄성 전체성에 문제가 있는 듯 하다.
영락교회
이 교회는 한경직 목사와 박조준 목사의 목회기간으로 나눠 볼 수 있다. 1945년 월남민들에 의해 시작된 영락교회는 한국전쟁으로 피난 온 사람들이 합류되었고, 50년 이미 2,600명을 돌파하는 큰 교회로 자랐다. 1973년 한경직 목사의 은퇴 시에 이미 등록교인 수 15,895명이 되었다. 이 시기의 성장 요인은 피난민 구호 등의 사업으로 그들이 교회로 몰려 왔고 한목사의 탁월한 지도력과 특히 설교와 생활의 일치, 인격의 감화력, 사랑의 실천이 부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1983년 박조준 목사의 부임 10년 만에 장년 6만명으로 급성장 했다. 이것은 초창기에 이미 설립한 지도자와 후임 목회자가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박목사는 쉽고 강해적인 설교와 낡은 것과 잘 조화되는 행정력, 특히 강한 신앙운동과 성령의 생동감 넘치는 역사를 통한 삶의 변화가 성장의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교회는 전통과 성장의 기운이 조화를 이룬 기틀이 잡혀진 교회라 할 수 있다.
충현교회
이 교회의 가장 큰 저력은 교육이다. 특히 교사학교의 창설 운영은 이 교회의 교육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고, 그 밖에도 특별수련을 통한 교사 훈련, 농어촌 교사 초청훈련과 새신자 훈련 등의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 그 다음 강조점은 선교에 대한 관심이다. 각 기관에서 선교부를 설치했고 일본, 인도네시아 등 10개국에 이미 선교사를 파견했다.
충현교회 성장의 요인은 올바른 신자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지도자의 성품과 성경 중심의 설교, 천국백성이 받을 축복, 기도 등이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 밖에 전도운동의 전개와 무엇보다도 교육에 중점을 둔 점이 그 성장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여의도 순복음 교회
설립 23년 만에 150,000명, 82년에는 200,0000명, 현재는 700,000명에 달하는 기적의 팽창을 기록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성도를 가진 교회가 여의도 순복음 교회이다. 1901년 미국에서 시작한 ‘하나님의 교회’라는 교파가 1953년 한국에 들어오면서 시작된 이 교회는 교리적으로는 보수교단과 대동소이(大同小異)하나, 특이한 것은 성령세례를 강조한다는 것이다. 성령세례는 중생의 다른 영적 체험인데 그 최초의 증거는 방언이고 동시에 속죄받은 성도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특별하신 은사인 신유를 믿는다. 이 교리를 바탕으로 거듭난 사고방식을 소유하여 승리하는 생활과 기적에 응답 받는다는 확고한 주체의식을 심어준다. 그래서 슐러(Robert H. Schller) 식의 적극적 사고를 도입하면 된다는 의식을 강조한다. 이것은 영혼 축복 뿐 아니라 육신의 안락과 건강 및 물질 축복을 얻는다는 현실론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주체의식과 함께 주체의식과 함께 강조되는 것은 공동체 의식이다. 이 의식은 우리가 강조되고 우리 속에서 역할이 있음과 의존의식 그리고 소망의식이 그것이다. 이러한 의식적인 것 외에도 예배 분위기가 잔치에 참석하는 그런 분위기이고 설교자와 청중은 교감이 일어나고 성찬식을 통해 엄숙한 일체감을 조성한다. 그 밖에 설교 후 치유의 순서가 예배순서에 포함되고 있다. 이런 원리들이 교회 성장의 요인인 동시에 신자 관리를 위한 철벽 같은 구역조직이 매우 탁월함을 지적할 수 있다. 이 구역조직은 외국에 전파되었고 다시 셀교회, 가정교회 등으로 역수입 되고 있다.
1980-현재 한국교회 부흥운동에 대한 평가
1980년대 대형교회의 등장과 함께 나타나는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은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눠볼 수 있겠다. 광림교회, 여의도순복음교회로 대표되는 성령, 은사 중심의 부흥운동과 소망교회와 영락교회, 충신교회와 같은 장로교회의 말씀과 교육중심의 부흥운동으로 나눠 볼 수 있겠다. 광림교회와 여의도순복음교회의 부흥운동은 완전히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대로 움직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그러나 장로교회들의 부흥운동은 말씀과 교육중심으로 일어났다. 이점은 높이 평가하지만, 이들 역시 매년 부흥회를 통한 인위적 부흥운동을 펼쳐왔고, 하나님이 주관하시는 진정한 부흥에 동반되어야 할 사회변혁의 모습은 나타나지 않고 있기에 여전히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에 매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장로교회의 부흥은 정체되는 반면, 감리교회와 순복음교회들의 부흥은 계속 이어지자, 현재 한국교회는 감리교회와 순복음교회의 부흥운동을 답습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웅장한 건물, 넓은 주차장, 최고의 서비스라는 예식장 광고에나 나올법한 것들을 동원해 인위적 부흥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리고 실용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이 탄생시킨 윌로우크릭교회나 새들백교회, 레이크우드교회, 노스포인트교회, 펠로십교회와 같은 미국의 이머징교회(emergence Church)의 부흥관이 한국대형교회 후발주자인 온누리교회와 사랑의교회 등을 통해 한국교회에 소개되게 되었다. 그 결과, 한국교회는 부흥회와 성령체험으로 대표되는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과 미국의 신생교회들의 인위적 부흥관이 혼합되어 변질된 부흥관을 쫓아가고 있는 것이다.
변질된 한국교회 부흥관
마케팅에 물든 한국교회 부흥관
마케팅이란?
마케팅이란 말은 딱히 무엇이라고 정의하기 어려운 말이다. 사회에서 말하는 마케팅이란 무엇일까? 아래의 글을 읽어보자.
미국 ‘마케팅학회’(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의 정의 위원회는 1985년에 마케팅을 ‘개인과 조직의 목표를 충족시킬 교환을 야기하기 위하여 아이디어 및 상품, 서비스의 개념화와 가격 결정, 촉진, 유통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과정이다.’라고 정의 했다.
위의 정의를 분석해 보면, 마케팅의 기본이념은 첫째, 목표의 완수, 둘째 교환, 셋째 아이디어와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구매자의 요구에 맞추어서 준비하여 구매자의 결정에 영향을 주어 교환을 하여 이윤을 창출한다는 것이 마케팅의 기본이념 인 것이다. 다시 말해 마케팅은 구매자 중심인 것이다. 그런데 이 마케팅이 교회부흥의 방법으로 도입되었다.
교회 마케팅
1970년대 신앙고백과 신학을 강조한 복음주의의 특징이 퇴색되면서 여과되지 않은 실용주의 앞에 교회가 무방비로 노출되었던 탓에, 이 시기에 복음주의가 실용주의를 폭 넓게 수용하게 되었다. 신학은 복음주의 신앙의 중심에서 물러나 변두리에 방치됨에 따라 기교가 그 중심을 차지해 버렸다. 기교를 얻기 위해 신학을 희생한 셈이다. 문화에 훨씬 잘 순응하는 새로운 복음주의가 대두되면서, 경영자, 감독관, 관리자, 마케팅 전문가가 핵심인물로 각광 받았고 전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신학자들을 대신하게 되었다. 이처럼 새로운 유형의 지도자들은 교회성장이나 교회 성장을 위한 모든 기독교 사역이 본질적으로 기업을 성장시키는 일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했다. 교회와 기업 모두를 시장으로 이해하고 적절한 테크닉 사용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결과 교회성장에 기업의 마케팅을 도입해야겠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교회 마케팅이 시작되게 되었다.
교회 마케팅의 시작은 누구로 부터였을까? 조지 바나(George Barnaby)이다. 조지 바나는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 교회 컨설팅 전문회사인 ‘바나 컨설팅 그룹’을 설립해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약 10년 전 미국의 ABC방송은 당시 윌로우크릭 교회를 중심으로 미국 전역에 급속히 퍼지던 구도자예배를 심층 취재한 ‘In the Name of God’이라는 특집 프로를 방송했다. 이 프로에서 교회 마케팅의 이론을 대변하는 인물로 소개된 사람이 조지 바나였다. 그는 교회에 마케팅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를 미국 교회 성장의 둔화 때문이라고 말한다. 아래의 그의 글을 읽어 보자.
이러한 예(교회의 성장이 멈췄다는 사실)는 수 없이 들 수 있다. 이 모든 사실들이 나타내는 것은 분명하다. 교회가 사람들의 생활과 마음 속으로 파고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교회의 목회활동에 대한 심각한 연구결과에 근거를 두고 내가 말하고자 하는 논점은, 교회가 안고 있는 큰 문제는 점점 마케팅 방향으로 변해가는 환경 속에서 교회가 마케팅 지향적 방침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실패의 원인이라는 점이다.
조지 바나는 교회가 마케팅을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에 정체 되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마케팅으로 성공한 마케팅교회에는 어떤 교회가 있을까? 대표적으로 텍사스에 위치한 조엘 오스틴(Joel Osteen)목사의 레이크우드 커뮤니티 교회일 것이다. 이 교회는 2003년 하반기에 이미 출석하는 사람이 25,000명을 넘어섬으로 출석인 수로는 시카고의 윌로우 크릭 또는 캘리포니아의 새들백 교회와 같은 쟁쟁한 교회들을 제치고 미국 전체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2006년 초에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이 교회는 2005년 한해 동안에만 무려 2,000명이 늘어남으로 미국에서 가장 숫자가 많은 교회인 동시에 가장 빨리 성장하는 교회로 기록되었다.
마케팅 교회의 문제점
복음의 상품화
교회가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할 때 교회는 복음을 상품으로 파악하는 것과 같은 말인 것이다. 복음을 상품으로 파악한다는 사실은 복음의 가치에 대해 교회가 가진 생각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상품은 고객 중심으로 잘 팔려야만 한다. 그러므로 복음이 상품이 되었다는 것은 고객이 원치 않는 것들은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마케팅 교회들은 복음에서 ‘너는 죄인이다.’ ‘지금 너는 무엇인가가 단단히 잘못되었다.’는 등의 말을 제거해 버렸다. 그래서 마케팅 지향적인 미국교회에는 죄라는 단어를 설교 중에도 사용하기를 꺼려한다.
죄가 사라지면 무엇도 사라지게 될까? 성경의 다른 중요한 교리들도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된다. 우선 죄의 결과로 우리를 기다리는 지옥이 사라진다. 이제 천국은 누구나 갈 수 있는 곳으로 재포장 될 이론적 준비가 끝난 것이다. 또한 죄가 사라지자 우리의 죄를 짊어지러 오신 예수님도 사실상 필요 없게 된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더더욱 말이 안 된다. 그러나 예수님이 사라진 기독교는 상상할 수 없기에 죄와 관련되지 않은 친구와 같은 예수님, 위로자 되신 예수님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이것이 복음이 상품화 될 때 나타나게 되는 문제들인 것이다.
이번엔 반대로 복음이 상품이 될 때 강조되는 것 또한 있을 것이다. 고난과 핍박이라는 부정적 용어들은 다 무시해 버리고 ‘전지전능하신 하나님’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하나님’ ‘축복을 베푸시는 하나님’만을 강조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께 대한 죄는 사라졌지만 나를 향한 죄는 강조한다. 그것이 무엇인가? 첫째로, 마케팅교회에서 인간이 인간에게 지을 수 있는 가장 큰 죄, 그것은 바로 상대를 지겹게 하는 것이다. 인간이 인간을 지루하게 하는 것 이상 죄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케팅교회에 지루한 교리적 설교나 공부는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상대를 지루하게 하는 죄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나를 행복하게 하지 않는 것이 죄라고 마케팅교회에서는 말하고 있다. 나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데, 예수님께서 죽기까지 사랑한 존재인데, 자신을 사랑하지 않고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지 않는 것은 하나님의 아들의 죽음을 모독하는 죄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청중들은 죄에 대한 책망을 들었음에도 전혀 기분 나쁘지 않게 듣게 되는 것이다.
하나님의 도구화
마케팅 교회의 두 번째 문제점은 바른 예배가 드려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판매를 위해 약점이 제거되고 강점이 부각된 상품은 이제 철저하게 그 상품을 구입한 사람을 위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복음이라는 상품이 매력적인 이유가 무엇인가? 그 속에 복을 주시는 전능하신 사랑의 하나님이 계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우리가 예배를 드리는 대상이거나 순종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우리가 사용해야 할 대상, 상품이 되어져 버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배는 내게 더 감동적이고, 내게 도움이 되는 쪽으로 드려져야 함으로 마케팅 교회에서 바른 예배는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런 마케팅 교회를 향한 데이비드 웰스의 비판을 들어보자.
우리는 자신이 순종해야 할 하나님 보다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하나님을 의지해 왔다. 우리는 자신에 대한 모든 권리를 그 앞에서 포기해야 할 하나님보다 우리의 필요를 충족시켜 줄 하나님을 의지해 왔다. 그분은 우리를 위한 하나님이요, 우리의 만족을 위한 하나님이시다. 이것은 우리가 예수님을 통해 이런 식으로 하나님을 생각하도록 배워서가 아니라 시장(마케팅)을 통해 이런 식으로 하나님을 생각하도록 배웠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모든 것이 자기 자신, 자신의 즐거움, 자신의 만족을 목적으로 하는 탓에, 우리는 교회에서도 그럴 것이라고 당연하게 생각해 왔다. 그리하여 우리는 자비로운 하나님을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있는 하나님으로 바꾼다. 우리는 하나님이 다정다감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자신이 그분의 실재를 우롱하고 자신의 모험과 경력을 선전하는 데 그분을 마음대로 사용해도 하나님이 잠자코 계신다고 생각한다.
하나님은 우리가 사용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예배의 대상이다. 하나님은 감정의 고조를 통해, 열광적인 몸부림을 통해 영광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라, 바르게 알기를 원하신다. 그런데 마케팅교회는 청중의 열광과 공감에 하나님께서도 영광을 받으신다고 오해하고 있는 듯 하다.
이야기가 되어버린 설교
마케팅 교회의 세 번째 문제점은 성경본문이 실종된 설교이다. 성경본문이 설교의 중심에서 밀려나는 순간 나타나는 설교의 가장 큰 특징은 ‘차고 넘치는 예화’이다. 19세기에도 나타났던 이런 설교의 경향들과 관련해서 스펄전 목사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설교 속에 이것저것 갖다 붙이지 말고 우리에 갇힌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사자를 있는 그대로 풀어 놓으라고 했다. 왜 힘도 없는 당신이 힘이 센 사자를 대신해서 싸우려고 애를 쓰냐고 당시 설교자들을 책망했다.
설교에 예화를 쓰는 것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설교가 이야기모음 화 될 때 그 자리에 말씀은 설자리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설교는 설득이 아니라 선포이다. 설교가 선포의 개념으로 이해될 때만 설교는 하나님의 주권과 연결된다. 선포되어야 할 설교가 지나친 예화들로 차고 넘치는 설득의 설교로 변질되어 버린다면 그 설교는 무가치한 설교가 되고 말 것이다. 마케팅 교회에는 이러한 설교가 주류를 이루고 있기에 사람들이 몰려 오는 것이다. 이 사람들은 죄에 대한 고민, 영혼에 대한 고민이 선행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영적 문제를 충족 받고 싶은 1+1의 차원에서 교회를 방문하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교회를 부흥시키는 것이 아니라, 교회를 총체적으로 병들게 하는 일이 되고 마는 것이다.
심리학에 물든 한국교회 부흥관
심리학이란?
일반적으로 심리학은 인간의 잘못된 행동을 통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유익한 학문이라고 평가한다. 심리학은 세상 그 어떤 이론이나 사상보다 사람들에게 친숙한 사상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겪는 모든 문제를 심리학적으로 설명하고, 심리학 역시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나날이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30년 전만해도 쓰지 않던 용어들을 지금은 자연스럽게 사회에서 사용하고 있다. 정신질환, 정신분열, 정서장애, 학습장애, 관음증, 과대망상증, 자폐증, 우울증, 조울증, 중독, 사회정체성 위기, 자아실현, 자기계발, 00콤플렉스, 00증후군 등, 예전에는 전문적으로만 쓰였던 용어들이 지금은 우리들의 생활 용어가 되었다. 심리학에 대해 특별히 공부하지 않은 사람들도 별 어려움 없이 이런 용어들을 듣고 쓴다.
심리학은 세상의 모든 사람에게는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정신 질환이 있다고 간주한다. 그래서 그저 정신적으로 조금 힘들거나 어떤 돌출된 행동을 잠깐 보이기만 해도 심리학적 치료를 권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정신질환자의 수는 더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심리학의 한계
심리학은 분명 한계가 있다. 그런데 오늘날 교회 내에서도 ‘치유목회’ ‘상처치유세미나’ 등의 명목으로 심리학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심리학은 만병통치약이 아니고, 과학은 더더욱 아니라는 것이다. 심리학은 백화제 방식의 온갖 복잡한 사상과 이론의 집합체일 뿐이다. 그리고 그 이론들 중의 일부는 그들끼리 상충되는 것들도 있다. 그리고 심리학이 인간의 마음이나, 정신, 정서적 변화를 이뤄준다는 것이 입증된 바도 없다.
1979년 4월 2일자 뉴욕타임지에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 의학’이라는 특집기사가 실렸다. 그 기사의 주요 내용은, 정신과 의사들이 자신들을 찾아오는 일상적 신경증 환자들을 아마추어 심리치료사들에게 맡기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첫째로, 자신들이 배운 전문지식들이 그들을 치료하는데 확실한 해답이라고 생각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둘째로, 정신질환은 정신분열증 같은 몇몇 뇌질환만 해당되는 것이지 현재 분류되어 있는 많은 정신질환들은 정신질환이라고 할 수도 없고, 확신도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셋째로, 대부분의 정신질환은 심리적 상담이 아닌, 내적처방으로도 손쉽게 고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신과 치료는 전체 환자의 3분의 1은 결국 고쳐지고, 3분의 1은 약간 도움을 받지만, 3분의 1은 전혀 도움 받지 못한다고 이 기사에서 말하고 있다. 이처럼 정신과 치료나 심리학은 과학도 아니고, 법칙이 있는 것도 아니며, 일반화시킬 수 있는 것도 아닌, 연금술과 같이 실체가 없는 이론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현대 심리학자들은 수많은 상충되는 이론들에 기초한 수백가지의 상담모형 및 상담기법을 사용한다. 그래서 심리치료가 마치 하나의 통합적이고 일관된 과학인 것처럼 말하기란 불가능한 것이다. 그런데도 심리학이라는 물탱크 속의 온갖 찌꺼기가 교회 안으로 여과 없이 새어 들어와 사람들을 돕고, 교회를 부흥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심리학의 교회 유입 배경
심리학은 1850년 이전까지는 일부 자유주의 신학자들만 관심을 보였지 보편적인 복음주의 교회들은 관심조차 없었다. 왜냐하면 1850년 이전의 교회는 전도에만 열심을 낼 뿐, 신자들의 사적인 문제나 정신적인 어려움에는 직접 나서서 상담해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흐름 속에서 교회로부터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도움을 얻지 못한 사람들이 당시 저변화되었던 심리학에 기대게 된 것이다. 1950년대에 이르자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져, 복음주의 교회들도, 신자들을 개인적으로 도울 필요를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그리하여 심리학은 복음주의 교회 속으로 자연스럽게 들어오게 된 것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복음주의자들에 의해 ‘기독교 심리학 연구회’가 만들어졌고, 미국의 풀러신학교가 심리학 대학원을 설립했다. 기독교 신앙과 현대 심리학을 접목하는 이론을 만들고, 접목한 이론을 교회 안에 유입할 수 있도록 사람들을 양성할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그러고 나서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 사이에 기독교 심리학자들이 양산되어 나오게 되었고, 많은 복음주의 심리 치료단체들이 세워져 대중화의 길을 열게 되었다. 불과 30년의 짧은 시간에 심리학에 교회 안에 세력을 형성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기독교와 심리학을 통합한 이론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당시 기도원에서 일어나는 영적인 문제들로 인해 골머리를 썩고 있다가 그것의 대안으로 선택하게 된 것이 성도 개개인을 대상으로 한 제자훈련이었다. 그러면서 성도 개개인을 만나며 상담을 하다 보니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결국 기독교 심리학을 한국교회도 도입하게 된 것이다.
기독교 심리학의 문제점
반 하나님적인 시각
심리학은 반 하나님적인 시각에서 인간을 이해하는 세상 정신이요 이론이다. 심리학은 18세기 계몽주의에서부터 출발한다. 18세기 계몽주의는 사람들의 시선을 하나님에게서 사람에게로 돌리는 계기를 만든 사상풍조이다. 그 뒤에 더 자신에게 집중하는 낭만주의와 초월주의가 등장하면서 사람들은 더욱 더 자신에게 몰입하게 되었다. 이처럼 자신에게 집중하게 만드는 심리학이 어떻게 기독교와 결합될 수 있겠는가? 이는 심리학에 대한 바른 이해 없인 현상적으로 나타나는 결과물들에 정신이 팔렸기 때문일 것이다.
인간의 자기몰입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여 꾸준히 발전시키는 데서 시작된 심리학은 현재 치료기술로까지 확대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자아를 사랑하는 이 시대와 맞아 떨어져 심리학 자신도 예상치 못했고, 감당치 못할 정도로 커지고 말았다. 이런 심리학적 치료기술이 교회 내에도 들어와 하나님과 반하는 방법으로 성도들을 만지고 있는 것이다.
자신을 사랑하라는 가르침
기독교 심리학자들은 자신을 사랑하지도 못하면 남도 사랑할 수 없다며, 먼저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라고 강조한다.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을 때, 참된 신앙생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여기에 넘어가는데 이것은 왜곡된 신앙을 조장하는 반성경적인 주장이 아닐 수 없다. 건강한 자기 사랑이 올바른 하나님 사랑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죄악 됨을 알고 회개하여 갖는 올바른 하나님 사랑이 건강한 자기 사랑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자기 자신을 바라보면서는 결코 건강한 자기 사랑을 할 수 없다.
이렇게 자신을 사랑하라는 심리학의 가르침에 충실할 때, 기독교의 기본교리는 흔들리게 된다. 구원은 심리적 안위로, 중생은 자존감의 회복으로, 죄는 악한 것이 아니라 약한 것으로, 회개는 필요조건이 아닌 필요충분조건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자신을 사랑하라는 기독교 심리학의 잘못된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영적 성장의 장애물
기독교 심리학은 인간이 만든 인간의 학문인 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그러므로 기독교 심리학의 이론과 치료방법은 친인간적이다. 그래서 인간은 기독교 심리학의 말에 더 귀를 기울이게 되고 하나님의 말씀과 방법은 자연스레 멀리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적인 치료법인 기독교 심리학은 영적으로 연약한 이들, 천박하거나 성경적 진리에 대해 무지하며 영적 성숙과 더 깊은 하나님과의 교제에 이르는 고난의 길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이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기독교 심리학에 의존하는 성도들은 영적 성장에 장애를 겪게 되고, 영적 미숙아로 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 심리학을 선택한 성도들은 가장 완전하고 확실한 치료제인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에 관심을 잃어버리게 된다. 계속 인간을 위로하면서 격려해 주는 달콤한 심리학의 메시지에만 귀를 기울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하나님의 말씀과 준엄한 꾸중을 견디지 못하는 상황이 오고 마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볼 때, 성도들의 개인적인 문제를 상담 해 주는 것으로 교회를 부흥시키려는 인위적 방법이 기독교 심리학이다. 그러나 그 결과 교회는 오히려 가짜 신자로 넘쳐나고 교회의 존립 자체가 위태해지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음을 기억하고, 기독교 심리학으로 성도들을 돌볼 것이 아니라, 말씀과 중보기도로 성도들을 돌볼 때 성도들은 더 건강하게 신앙생활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신비주의에 물든 한국교회 부흥관
신비주의의 뿌리
오늘날 ‘신사도운동’이 피터 와그너(C. Peter Wagner)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피터 와그너는 자신을 사도라고 칭한다. 그리고 자신이 직접 안수하여 사도들을 만들고 있다. 한국의 많은 교회도 신사도운동의 영향을 받아, 강남지역에서 예언자 운동, 오순절운동, 은사주의 운동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고, ‘성시화 운동’ ‘땅 밝기 운동’도 선교단체들을 통해 일어나고 있다. 온누리 교회 손기철 장로와 같이 방언, 신유, 예언 등의 신사도집회 등도 많이 열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사도운동의 배경에는 신비주의가 자리 잡고 있다.
신비주의의 뿌리는 B.C. 5세기 플라톤의 이원론에서부터 출발한다. 플라톤의 이원론을 간단히 말하면 이러하다. 이 세상은 두 세계로 나눠는데 바로 정신세계와 물질세계이다. 그런데 함께 존재하는 이 두 세계 중 정신세계가 물질세계보다 더 우월하다. 인간은 이 두 세계에 중첩되어 살아간다. 인간은 물질세계를 벗어나 정신세계로 가려고 발버둥을 친다. 그래서 하나님과 신인합일(神人合一)을 이루는 것이 플라톤의 사상인 것이다. 이것이 플라톤의 상승사상이고, 이것이 A.D.200년 플라티누스를 통해 들어와 교회에 정착한 것이 신비주의인 것이다.
신비주의의 문제점
첫째로 하나님을 아는 방법에 문제가 있다. 신비주의는 하나님이나 궁극적인 실재를 직접적으로 아는 지식은 역사적 사실이나 객관적인 신적 계시와 관계없거나 심지어 반대로 개인적, 주관적 직관 또는 경험을 통해 얻어진다는 사상이다. 그 결과 신비주의는 정확한 교리와 건전한 성경 해석을 용납하지 않는 신학적 풍토를 조성한다. 권위 있는 성경적 설교는 너무 독단적이라고 비난한다. 그러나 자신이 예언자라고 지칭하면서 자신의 말에 권위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신비주의자들인 것이다.
둘째로, 세상을 이원론적 시각으로 보게 한다. 성경은 물질을 악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물질은 악하다고 말하는 영지주의를 배격한다. 그런데 물질보다 정신을 강조하는 플라톤의 사상의 영향으로 신비주의적인 그리스도인들은 물질적인 것은 배격하고 영적인 것에 집착하게 된다. 일상생활에는 소홀하면서, 기도와 은사에 매달린다. 사람을 봐도 영적인 일을 많이 하는 사람은 좋은 사람이고, 아직 물질적인 일에 시간을 많이 투자하는 사람은 미성숙한 사람으로 정죄한다. 결과적으로 신비주의적인 그리스도인들은 우월하고, 그렇지 못한 그리스도인들은 미성숙하다 못해 부족한 그리스도인들로 폄하해 버리는 것이다. 즉 교만에 빠져 교회 내에 파당을 만들고, 교회를 혼란케 한다는 것이다.
셋째로 신비에 대한 잘못된 오해로 인한 최종목적에 문제가 있다. 성경에서도 신비를 말한다. 삼위일체가 신비이고, 성육신, 동정녀 탄생도 신비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도 신비이다. 그러나 이 신비는 우리가 알 수 없다는 의미의 신비이다. 플라톤의 상승사상은 물질을 버리고 정신, 즉 하나님과 실재적인 하나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기독교의 신비와는 전혀 다른 내용인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에서는 실재적인 하나님과의 하나됨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신비주의자들은 침묵기도나 관상기도를 통해 결국 하나님과 근원적으로 합일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가톨릭 신비주의 영성운동의 유입
우리는 보통 신비주의 하면, 예언, 신유, 방언 등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 보다 현대 한국교회를 더 위태하게 하는 것이 바로 가톨릭 신비주의 영성운동의 유입이다.
첫 번째 인물은 가톨릭의 수도사 토머스 머튼(Thomas Merton, 1915-1968)이다. 1,2차 세계대전 이후 실존주의가 사상의 흐름을 주도하고 허무주의도 한 몫을 하던 당시, 토머스 머튼이 소개한 수도원 생활과 관상기도는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관상기도란 ‘정화’, ‘조명’, ‘합일’로 이뤄진다. ‘정화’란 일련의 의무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죄악 된 성향과 욕구와 행위, 즉 자기에게 있는 물질세계를 비우는 것을 말한다. ‘조명’이란, 하나님의 사랑과 아름다움에 마음의 초점을 두고 하나님을 묵상하여 정신세계를 채우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합일’은 이 조명의 과정을 지나면서 하나님과 실재적으로 하나 되는 신비한 체험을 하는 것이 관상기도인 것이다. 이 관상기도는 개신교 목회자 리처드 포스터(Richard J. Foster)를 통해 개신교회 유입되어 현재 한국교회에서도 레노바레운동과 연결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이 운동에 이동원, 이철신, 최일도, 이병삼, 김양재 목사 등이 주축이 되어 활동하고 있다. 토머스 머튼의 관상기도가 위험한 이유는 신비주의 이슬람 수피즘(Sufism)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토머스 머튼은 이슬람의 영적교사이며 신비가인 수피들을 애호했고 그들과 영적 공감을 나누었다. 그리고 토머스 머튼이 한 수피 지도자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의 기도는 여러분의 파나(fana:신적 일체에 합일하는 행위)를 많이 지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태국에서 열린 종교 간의 대화에서 머튼은, 나는 불교 힌두교 그리고 이 위대한 아시아 신비 전통에 열려 있음으로 해서 우리가 우리 자신의 기독교 전통의 가능성을 좀 더 배울 수 있는 놀라운 기회를 얻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런 토머스 머튼의 관상기도가 한국교회에 유입된 것은 엄청난 충격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두 번째 인물은 토머스 머튼에 버금갈 정도로 기독교 진영에 인기를 얻고 있는 가톨릭 신학자 헨리 나우웬(Henri Jozef Machiel Nouwen, 1932~1996)이다. 나우웬의 묵상과 사색은 많은 목회자와 평신도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그러나 그가 예수를 알든 모르든 하나님의 집 문을 통과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은 대부분 모르고 있을 것이다. 헨리 나우웬의 구원관은 보편적 구원관이었던 것이다. 그는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에도 구원이 있다고 말하면서 힌두교의 기도방법인 침묵의 기도를 통한 하나님의 역동적 임재를 경험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나우웬은 보편적 구원관을 가지고 있었고, 혼합영성주의자였음을 사람들은 모른 체, 그의 책을 통해 감동을 받고, 그의 사상에 거부감 없는 공감을 표시했다는 것은 가톨릭의 혼합주의적 신학과 영성이 이미 깊숙이 파고 들어와 한국교회를 오염시켰다고 생각되어진다.
이머징교회운동에 물든 한국교회 부흥관
이머징교회운동이란?
현재 한국교회는 이머징교회운동(Emerging Church movement) 논란으로 뜨겁다. 이머징교회란 ‘새로이 떠오르는 교회’ ‘신흥교회’ ‘신생교회’라는 뜻이다. 이 운동은 세상과 소통하지 못하는 교회의 시대적 한계를 타파하고자 2003년 샌디에고에서 첫 모임을 가짐으로 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아직 정해진 틀이나 조직이 없다. 단지 교회부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표면적이든 이면적이든 찰스 피니로부터 시작된 인위적 부흥관에 동의하면서, 미국의 새들백교회, 윌로우크릭교회, 레이크우드교회, 노스포인트교회, 펠로십교회들이 보여주는 인위적 방법론을 선호하는 사람이라면 이머징교회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머징교회운동의 장점
이머징교회운동에 찬성하시는 분들은 이머징교회의 장점들을 이렇게 말한다. 첫째로, 시대정신을 잘 반영한 교회 부흥운동의 대안이라고 말한다. 이머징교회운동은 우리 주위를 둘러싼 문화를 읽어 내고 그런 해석이 우리의 복음 증거, 신학에 대한 이해, 목회자 직분, 심지어 우리의 자기 이해에 대해 갖는 함의를 충분히 생각하게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로, 성도와 불신자의 적극적 참여와 경험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다고 말한다. 20세기 중반까지는 ‘국가의 시대’, 20세기 후반은 ‘기업의 시대’, 21세기는 ‘개인의 시대’라고 어떤 일간지에서 읽은 적이 있다. 현 시대는 ‘개인’의 가치가 어떤 이념과 기업의 이윤 창출 보다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사람들은 누구의 철학, 누구의 이윤 창출의 이용도구나 소모품으로 살아가는 인생은 더는 원치 않는다. 나의 개성, 나의 가치, 나의 개성, 나의 경험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것의 자유로운 표출이 중요하다. 인터넷 상에서의 ‘싸이 월드’ ‘트위터’ ‘블로그’ 등에 적혀 있는 수많은 생각과 철학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러한 참여와 체험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부흥운동이 이머징교회운동이라는 것이다.
셋째로, 예배를 보는 입장이 아니라 참여하는 입장으로 드리도록 유도한다. 그래서 예배를 보고 들을 뿐 아니라 맛보고 냄새 맡으며, 만지고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도입한다. 이것은 하나님에 대한 예배가 노래, 침묵, 설교, 예술, 표현에 대한 훨씬 더 큰 스펙트럼으로의 이동을 포함할 수 있음을 말한다. 공연을 방불케 하는 화려한 무대장치와 뜨겁게 노래하며 박수치며 호흡하는 찬양, 토크쇼 연극 등을 접목한 설교 등은 참여에 목마른 청중들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하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이머징교회운동의 문제점
이머징교회운동은 장점보다 단점이 많은 위험한 운동이다. 첫째로 이머징교회운동은 예배의 주 대상을 구도자가 아닌 탈구도자 중심으로 맞췄다는 것이다. 예배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께 드리는 것을 말하는 것이 예배의 기본이념인데, 부흥에 목말라 있는 현대 목회자들이 탈구도자들의 구미에 맞춰 예배드림으로 예배의 본질 자체를 흐려 놓아 버린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설교를 우리의 인생이라도 걸어야 할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예배 모임에서의 경험의 일부로 취급한다는 것이다. 설교자는 현대 생활 속에서 개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리를 나눠주는 역할을 할 뿐이지 취사선택은 개인에게 달려 있다는 것이 이머징교회의 큰 문제점이다.
셋째로, 교회를 예배와 성경교육의 공간이 아닌 극장과 쇼핑몰로 변질시켜 버렸다. 초대교회 이후 전통적으로 교회를 지을 때는 예수그리스도를 기념하고 기억하기 위해 십자가 형태로 짓었다. 교회 내부는 항상 엄숙하고 경건했으며, 예배와 성경공부, 기도, 그리고 식사를 통한 친교 외에는 다른 세상적인 요소들은 들어오지 못했다. 그러나 이머징교회운동을 하는 목사들의 실용적 사고는 탈구도자들의 구미를 맞추기 위해 종교적 상징물들을 감추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곳에 탈구도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물건들과 시설들을 설치하였다. 새로 지어지는 교회 중 십자가 형태의 교회는 찾아보기 힘들다. 단지 쇼핑몰과 극장과 같은 형태의 교회만이 있을 뿐이다. 이제 더 이상 신비감과 경이감을 불러일으키는 교회는 없어진 것이다. 이것이 장사함으로 예수님께 책망 받은 예루살렘 성전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성경적 부흥관
성경적 부흥관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성경에 나타난 부흥사건을 살펴보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그래서 성경에 등장하는 가장 대표적인 부흥사건인 사도행전 2장의 부흥사건을 통해 성경적 부흥관은 어떠해야 하는지 개괄적으로 소개 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성경적 부흥관을 바탕으로 근, 현대에 실제로 바른 부흥을 체험하였고, 그것을 가지고 성경적 부흥관을 정립한 18세기의 조나단 에드워즈와 20세기의 마틴 로이드 존스의 부흥관을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사도행전 2장에 나타난 부흥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 (행 2:1-13)
사도행전 부흥사건의 시작은 2장 2절에 나타나는 성령강림사건에서부터 출발한다.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들리더니(2절), 불의 혀 같이 갈라지는 것이 120여명(행1:15)의 사람들 머리 위에 임했다.(3절) 그리고 그들은 성령의 충만을 받고 다른 언어로 말하기 시작하였다.(4절) 이 소리를 듣고 각국에서 와서 예루살렘에 머물고 있던 무리들이 몰려들었는데(5~11절), 처음에는 놀라고 당황스러워 하다가(12절), 일부는 술에 취해 헛소리를 하는 것이라고 조롱하기도 했다.(13절)
이 사건은 부흥의 시작은 바로 하나님의 주도적인 역사임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성령의 임재는 예정된 사건이 아니었다. 예수님은 단지 몇 날이 못 되어 성령이 임할 것을 말씀하셨을 뿐(행1:5)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를 말씀하시지 않으셨다. 그 말에 순종하여 모인 무리들을 보시고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섭리에 의해,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로 초대교회의 부흥사건은 시작되게 된 것이다.
베드로의 성령충만한 설교 (2:14~36)
성령강림에 연이어 베드로의 설교가 시작된다. 사도행전 2:15-18에서 베드로는 성령강림으로 인해 나타난 현상 중 하나인 방언으로 몰려든 사람들에게 향했다. 그 이유는 몰려든 사람들이 품고 있는 의혹을 풀어 줌과 동시에, 복음전도의 기회로 삼기 위해서였다. 베드로는 몰려든 무리들에게 먼저 일반적인 상식을 가지고 접근한다. 때가 제 삼시니 취한 것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15절) 삼시는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전 아홉시를 말한다. 유대인들은 유월절이나 오순절 같은 절기 때에는 오전10시까지 보통 금식하며 기도 하였다. 여기 모인 사람들도 유대인이니 취한 것이 아니라고 상식적인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한걸음 더 나가서 방언 받은 이유를 모인 무리들이 믿고 따르는 구약성경, 요엘2:28~32을 가지고 접근한다.(16절) ‘말세’(ejscavtai" hJmevrai")란 구약시대의 예언자들이 보는 신약시대를말하고,‘모든육체’(pa'sansavrka)란민족과인종의구별이없음을말하며,‘예언’(profhteuvsousin)과 ‘환상’(oJravsei")과 ‘꿈’(ejnupnivoi")은 구약시대에 하나님이 자신을 계시하시는 방법을 뜻한다.(17절) 그리고, 남종과 여종은 하나님께 신실한 성도를 뜻한다.(18절) 이를 종합해 보면, 요엘서(2:28-32)에 신약시대에 모든 인류에게 구약의 계시의 방법들과 버금가는 성령의 역사가 임할 것인데, 특별히 하나님을 신실하게 따르는 성도들에게 임할 것이라고 예언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베드로가 말하고자 한 것은, 방언의 근거는 술에 취한 것이 아니라, 너희 무리들이 믿고 따르는 구약성경에 예언된 일의 성취로 인한 것이라는 것이다.
사도행전 2:19-21에서 베드로는 계속해서 요엘서를 인용하여, 하나님의 영이신 성령이 임하시면, ‘기사’와 ‘징조’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한다.(19절) 그 기사(tevrata)와 징조(shmei'a)는 해가 변하여 어두워지고 달이 변하여 피가 되는 하나님이의 진노의 조짐들인데,(20절) 그 진노를 피하기 위해서는 주(kurivou)의 이름을 불러야 한다고 요엘서에 소개되어 있다고 베드로는 말하고 있다.(21절) 이를 종합해 보면, 하나님의 영이신 성령의 강림은 단순히 방언과 같은 신비한 일이나 긍정적인 일만을 우리에게 주시는 것이 아니라, 종말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징조가 되기도 한다는 요엘의 말을 베드로는 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의 베드로의 숨은 의도는, 성령강림으로 인해 진노의 조짐이 나타났는데, 그 진노를 피하기 위해서는 주의 이름을 불러야 한다. 그런데 그 주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시라는 것이다.
사도행전 2:22~24에서 베드로는 요엘서의 인용을 통해, 집중된 무리들에게 본격적으로 자신의 설교 의도를 밝히고 있다. 모인 무리들도 잘 알고 있는 나사렛 예수가 보여준 권능과 기사와 표적은, 그가 메시야임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선포하고 있는 것이다.(22절) 그러한 나사렛 예수를 너희가 ‘법 없는 자들’로 표현된 로마 당국자들에게 넘겨져 죽게 했으나(23절) 하나님께서 다시 부활시키셨다고 강하게 선포하고 있다. 그 이유는 그가 사망에 매여 있을 수 없는 메시야이기 때문이라고 베드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메시야 되심을 다시 강조하고 있다.(24절) 이제 베드로는 본격적으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메시야임을 선포하고 있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23절에 “너희가 법 없는 자의 손을 빌려 못 박아 죽였으나”라고 말한 점이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죽인 당사자가 여기에 모인 무리들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오순절에 모인 무리들 중 많은 사람들은 예수님의 죽음에 직접 가담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그런데도 베드로는 왜 이렇게 설교하고 있는 것일까?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게 한 죄는 개개인의 죄가 아니라 유대민족 전체의 죄라는 의미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말이 사람들에게 납득이 되는 이유는 유대인들에게는 공동체적인 기질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베드로가 너희가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았다고 말한 이유는, 진정한 회심은 통회 자복 없이는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모인 무리들에게 회개하고 돌이켜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직시하게 해 줘야 바른 회심이 일어나기에 베드로는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은 것은 다른 사람이 아닌 모인 무리라고 강하게 책망하고 있는 것이다.
사도행전 2:25~32에서 베드로는 요엘서에 이어 다윗의 시편 중 시편 16:8-11의 말씀을 인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가 메시야 되심을 밝히면서 예수의 죽음이 우연히 이뤄진 것이 아니라 이미 천년 전에 다윗을 통해 예언된 것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님 뜻 가운데서 이뤄졌음을 논증하기 위해서이다. 즉 베드로는 이스라엘의 가장 존경 받는 왕인 다윗의 시편을 인용함으로써 이러한 점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다윗이 그를 가리켜’에서 ‘그(aujtovn)’는 3인칭 단수 목적격으로 메시야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것이다. 시편 16:8-11은 성부와 성자와의 관계에 대한 다윗의 예언인 것이다. 시편 16:8에서 내가에서 ‘내’ 또한 메시야를 가리키는 말이다. 다시 말해, 메시야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우편에 항상 하나님께서 계시기에 요동치 않는다고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25절) 그렇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육체 가운데 있을 때에도 기뻤고 즐거웠으며 희망가운데 거하였을 뿐 아니라,(26절) 십자가를 지신 다음에도 성부께서 음부에 버려 썩지 않게 하실 것을 믿을 수 있으셨던 것이다.(27절) 결론적으로 성부께서 성자 예수 그리스도께 생명의 길을 알게 하셨다고 말하면서 다윗의 메시야 예언은 마무리되고 있다.(28절) 베드로는 다윗의 시편 16:8-11의 주인공이 다윗이 아닌 이유는 다윗은 묘가 있고 부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하면서(29절) 선지자와 같은 능력을 가진 다윗에게 하나님께서 그 자손 중에 한 사람이 메시야가 되어 그 위에 앉을 것을 뿐 아니라(30절) 썩지 않고 부활하실 것을 알게 하셨는데(31절), 그 메시야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시라고 베드로는 선포하면서 120여명의 무리가 그의 증인이라고 강조하고 있다.(32절)
사도행전 2:33~36에서 베드로는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상태와 성령의 출처를 설명한다.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는 하늘로 승천하셔서 높임을 받고 계심을 말하면서, 하나님께 성령을 받아 보내 주신 것이라고 말한다.(33절) 그리고 다윗의 시편 110:1을 인용하여, 다윗이 주(하나님)께서 내 주(예수 그리스도)께 말씀하시기를(34절) 예수 그리스도의 원수들이 예수님 앞에 굴복하실 때 까지 하나님의 우편, 즉 권위와 능력을 지니고 있으라고 예언했다고 말하고 있다.(35절) 이를 근거로 베드로는 너희가 못 박은 이 예수가 다윗이 예언한 심판주로 원수들을 굴복시키실 능력의 주라고 선포하고 있는 것이다.(36절) 여기에서 베드로는 역사적 실제성을 강조하기 위해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이라는 말과 ‘이 예수’라는 말을 사용했다. 이는 지금 언급되고 있는 심판주 되신 주가 바로 역사상 실존하셨고 너희들이 못 박아 죽인 나사렛 예수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각인시켜 주어서 이들의 심령에 찔림을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베드로는 설교를 하나님으로부터 능력을 부여 받은 심판주 되신 예수 그리스도로 마무리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앞 요엘서에서 언급한 진노의 날에 불러야 될 주가 이들이 못 박아 죽인 나사렛 예수임을 말하면서, 통회 자복하기를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성령충만을 받은 설교자의 설교가 무리들을 통회와 회심의 자리로 인도할 수 있는 것이다. 전파하는 자가 없이는 들을 수도 없고, 믿을 수도 없다.(롬10:14) 진정한 부흥은 성령의 주도적인 역할에 달려 있지만, 그 방편은 인간의 인위적인 수단이 아니라, 성령충만을 받은 설교자의 설교를 통해서라는 것을 우리는 베드로의 설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무리의 회심 (행 2:37~42)
사도행전 2:37에서 베드로의 설교를 들은 무리들에게 이상한 반응이 일어났다. 좀 전까지만 해도 술에 취했다고 조롱하던 그들이 찔려(katanuvssw)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 동사는 ‘때리다’ ‘격하게 찔러 관통하다’ 심지어는 ‘실신시키다’는 의미까지 있다. 따라서 이 말은 격심한 마음의 염려와 가책에 뒤엉켜 지금껏 경험해 보지 못한 고통을 무리들이 겪고 있다는 뜻이다. 극심한 고통을 느낀 이들의 입에서 나온 첫마디는 ‘우리가 어찌할꼬’였다. 어찌할꼬(Tiv poihvswmen)를 직역해 보면 “무엇을 실천해야 합니까?”이다. 다시 말해, 이들의 이 말은 우리에게 진정어린 회개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성령충만을 받은 설교자의 설교가 방금 전까지 조롱하던 사람들의 입에서 자신의 삶과 행동을 건 회개의 말이 나오게 한 것은 놀라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부흥 시 나타나는 통회 자복을 통한 회개의 모습인 것이다.
그리고 사도행전 2:38~40에서 베드로는 도움을 청하는 무리들에게 회개를 촉구한다. ‘회개’(metanoevw)는 ‘마음을 바꾸다’는 의미이다. 베드로는 마음을 바꾸어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인정하고 그 표로 세례를 받으라고 요청하고 있다. 그러할 때 성령을 선물로 받게 되는데, 여기서 성령의 선물은 회개한 자가 생활의 성화를 위해 더 받게 되는 성령의 능력을 가리킨다.(38절) 마음을 돌이키는 진정한 회개를 할 때 죄사함과 성령을 선물로 받는 약속은 너희와 너희 자녀로 표현된 유대인뿐만 아니라, 모든 먼데 사람 즉 이방인에게까지 해당되는 약속임을 베드로는 말한 후에(39절) ‘패역한 세대’라는 책망어린 말을 통해 다시 한번 회개를 촉구하고 있다.(40절) 베드로는 무리에게 회심을 촉구하고 있다. 이 모습이 인위적 부흥의 방법 중의 하나인 ‘믿음의 의사표시’와 비슷하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무리들이 먼저 “우리가 무엇을 실천해야 합니까?”라고 적극적으로 요청해 왔다는 점이다. 이 요청에 대한 안내를 담아 베드로가 회개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베드로의 행동은 찰스 피니 이후 등장한 믿음의 의사표시와는 다른 것임을 알아야 한다. 회심은 인위적인 방법의 동원 없이 성령의 역사를 통해 스스로가 통회 자복하여 일어나는 것임을 다시 한번 분명히 하는 바이다.
사도행전 2:41에는 이렇게 베드로의 설교를 듣고 회심하기로 작정한 사람들이 세례를 받는데 그 수가 3,000명이었다고 한다. 초대교회 예루살렘 인구는 30,000명 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인구의 1/10이 회심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당시 예루살렘은 오순절을 지키기 위해 원근 각지로부터 수십 만의 사람들이 몰려 왔음을 감안할 때 3,000명이라는 숫자는 결코 과장된 표현이 아닌 것이다. 그리고, 3,000명이 한꺼번에 세례 받을 수 있는 곳은 요단강 뿐이기에 이 숫자는 과장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더하더라’(prosetevqhsan)는 동사는 미완료 과거형이다. 이는 3,000명이 한꺼번에 세례를 받은 것이 아니라 설교의 결과로 점진적으로 3,000명의 회심에 이르게 되었다는 뜻이다. 이 부흥의 숫자는 인구에 비례하여 어떤 부흥운동과 비교해 봐도 뒤지지 않을 놀라운 숫자였다. 그런데 이 사건이 있은 후, 베드로가 솔로몬 행각에서 설교한 후 남자만 5,000명이 회심한 사건이 벌어지게 된다.(행4:4) 이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가 인위적인 방법들이 아닌 설교라는 방편을 통해 무리들에게 표현될 때 얼마나 엄청난 결과를 가져 오는지를 볼 수 있는 사건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진정한 부흥의 사건이 성경에 기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교회에서는 여전히 성경이 말하는 부흥이 아닌, 인위적인 방법을 동원한 부흥을 꿈꾸고 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초대교회에 나타난 부흥의 결과 (행 2:42~46)
사도행전 2:42에는 베드로의 설교를 통해 회심하고 세례를 받아 성령을 받은 성도들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초대 교회 성도들은 체험이나 현상에 의존하지 않고 사도들의 가르침에 집중했다.여기서중요한 점은 ‘사도들’(ajpostovlwn)은 복수이지만 ‘가르침’(didach'/)은 단수라는 점이다. 이는 3,000명이라는 많은 사람이 회심하여 성도가 되었기에 한 사람이 모두를 가르칠 수 없어 사도들이 나눠 가르쳤지만 그들의 가르침은 개인의 생각이나 철학이 아닌,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구원, 복음만을 가르쳤다는 것이다. 이것이 초대교회의 순수성과 일치성을 유지시켜준 밑거름이 된 것이다. 바른 말씀을 배운 성도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교제와 떡을 뗌, 기도에 전념했다. 여기에서 ‘교제(koinwniva)’, ‘떡을 뗌(th'/ klavsei tou' a[rtou)’, ‘기도(proseucai'")’라는 단어들은 등위접속사(kai;)로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떡을 뗌은 단순히 음식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애찬 혹은 성찬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성도의 경건생활에 있어서 교제, 성찬, 기도는 우열을 가릴 수 없는 모두가 중요한 요소들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42절) 이와 같이 초대교회 성도들은 회심 이후 가만히 있었던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배우고, 적극적으로 행동했던 것이다. 이처럼 성령의 주권적인 역사를 통한 통회자복이 동반된 진정한 회심은 참된 성도를 만들고, 이들은 성도됨에 안주 하는 것이 아니라 배움과 행동에 열심을 내고 있는 것이다. 현대교회가 인위적 방법들로 끌어들여 배우고 행동하는 것을 싫어하고 자그마한 실망과 문제에도 교회를 떠나는 성도들의 모습과 비교해 볼 때 참 다른 모습이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을 것이다.
사도행전 2:43에서는 초대교회 성도들의 열정적인 배움과 행함과 아울러 성령충만 받은 사도들이 많은 기사와 표적을 나타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결과로 예루살렘 사회는 초대교회를 두려워하기 시작했다. 이 본문은 기사와 표적으로 인해 예루살렘 주민들이 두려워하게 되었다고 앞뒤를 바꿔 해석하는 것이 옳다.(43절) 성령을 받은 사도들의 기사와 표적에 예루살렘 사람들은 두려워하게 되는데 그들의 두려움은 과연 어떤 두려움이었을까? ‘두려움’(fovbo")은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불안, 공포, 경외심이었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그 두려움을 느끼는 대상이 육체적인 사람(a[uqrwpo")이 아니라, 사람 속에 있는 영혼(yuch)이었다는 점이다. 이는 초대교회 성도들의 경건생활과 사도들의 기사와 표적을 보면서, 예루살렘 사람들이 경외심과 함께 극복할 수 없는, 영혼 깊은 곳의 두려움을 느껴 이들에게 어떤 위해(危害)도 가하지 못할 극심한 공포를 느끼고 있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예루살렘 사회가 느낀 두려움은 초대교회 성도들의 경건한 삶의 모습과 사도들의 기사와 표적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근, 현대 부흥운동을 살펴보면, 반드시 사회적 변혁이 동반됨을 볼 수 있다. 예루살렘에 어떤 사회적 변혁이 일어났는지 성경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 짐작할 수는 없지만, 예루살렘 사람들이 영혼의 두려움을 느꼈다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사회적 반응과 변혁이 일어났음을 짐작하고도 남을 것이다. 더욱이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고 승리감이 도취되어 있던 유대 지도자들이 손쓰지 못하고 방관만 하고 있을 수밖에 없었다는 것은, 초대교회와 성도들이 예루살렘 사회에 미쳤던 영향이 얼마나 컸는가를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진정한 부흥에는 수적 증가도 증가이지만 반드시 사회적 반응과 변혁이 동반되어야 한다. 그런데 마케팅과 인위적 방법으로 교회는 커 나가는데 그 주변과 한국사회는 별 변화가 없는 것을 보면서, 한국사회 속에 나타난 몇몇 대형교회들의 인위적 부흥은 결코 성경이 말하는 진정한 부흥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도행전 2:44~47a에서 경건생활에 열정적이었던 초대교회 성도들이 성도 간에 서로를 돕는 일에도 열심이었음이 나타나 있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자신의 소유를 내 놓고 함께 공유했다.(44절) 그뿐 아니라, 재산과 소유를 팔아 필요한 만큼 나눠 주었다.(45절) 이 모습은 공산주의가 지향하는 모습과는 다른 모습이다. 공산주의는 자발적인 동의와 사랑이 동반되지 않은, 원시사회 공동체처럼 규칙에 의한 공동소유와 분배였다. 그러나 초대교회 성도들이 보여준 자발적인 기부와 분배는 성령의 역사에 의한 자발성과 사랑이 동반된 이 세상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모습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소유를 팔아’에서 ‘팔아’(ejpivpraskon)는 계속되는 행동을 나타내는 미완료 동사이다. 이는 재산을 내어 놓는 것이 몇몇 사람의 단회적인 행위가 아닌, 많은 사람의 지속적인 동참으로 일어난 일임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물건을 공유하고, 필요한 사람을 위해 자신의 소유를 팔아 나눠 주었으니 마음이 같아지고 자주 모여, 음식을 나누는 일은 당연한 일이 되었을 것이다.(46절) 그런데 이들의 모임은 인간적인 교제의 장으로 끝나지 않았다. 함께 모여 물건을 공유하고 소유를 나누며 음식을 나눌 때마다, 이러한 천국 공동체를 만들어 주신 하나님을 찬미했다는 것이다.(47절a) 여기에서 ‘찬미했다.’에서 ‘찬미’(aijnou'nte")의 뜻에는 ‘찬송하다’ ‘칭찬하다’는 뜻 외에 ‘약속하다’ ‘맹세하다’는 의미가 있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하나님을 찬미하면서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 것을 항상 다짐하고 맹세했던 것이다. 이런 공동체에 하나님께서 계속적인 부흥을 주시는 것은(행 4:4) 아마도 당연한 것이라 여겨진다. 지속적인 부흥은 어디에서 오는가? 인간의 인위적인 관리와 재생산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 모든 인생 문제의 궁극적인 해답이듯이(잠 16:7) 하나님을 찬송하면서 하나님의 뜻대로 살기를 다짐할 때 하나님은 그 공동체에 끊임없는 부흥과 갱신의 역사를 부어 주시는 것이다.
끝으로 사도행전 2:47b에서는 위의 여러 가지 요인들이 종합되어 초대교회는 사람들에게 칭송 받을 뿐 아니라 날마다 사람이 더하는 모든 교회가 바라는 이상적인 공동체가 되었다.(47b절) 그런데 초대교회에 사람이 더하게 된 것의 주체는 누구인가? ‘주께서’(kuvrio") 더하셨다고 되어 있다. 이는 초대교회의 수적 증가는 결코 인간의 인위적 수단에 의한 것이 아닌,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원리는 현대교회에도 동일하다. 인위적 수단이 아닌 전적으로 하나님의 방법대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때 인위적 수단으로 부흥하는 것보다 훨씬 더 강력한 부흥의 역사를 경험하게 됨을 명심하자.
성경적 부흥관의 다섯가지 특징
진정한 부흥은 어떤 것인가? 첫째로 성령이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대로 120여명의 무리에게 임하여 초대교회의 부흥이 시작되었듯이,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를 통해 이뤄진다.
둘째로 성령충만을 받은 베드로가 담대하게 나아가 성령의 인도함 대로 설교하여 진정한 통회자복이 동반된 회심이 이뤄졌듯이, 진정한 부흥의 방편은 성령충만을 받은 설교자를 통해 선포되어지는 말씀을 통해 이뤄진다.
셋째로, 무리들이 회개하고 세례를 받은 후 앎과 행함에 열심을 내었듯이 진정한 부흥은 말씀을 배우고 실천하고 싶은 욕구가 동반된다는 것이다.
넷째로 초대교회 성도들의 경건생활과 사도들의 기사와 표적을 통해 예루살렘 사회가 영혼 깊은 곳에서 두려움을 느꼈듯이 진정한 성경적 부흥은 사회적 변혁이 동반하여 일어난다는 것이다.
다섯 번째로 초대교회 성도들이 서로 구제하고 모이기에 힘써 하나님을 찬미한 결과 사람들에게 칭송을 받고 하나님께서 구원 받는 사람을 더하게 해 주신 것처럼, 진정한 부흥은 하나님이 더하게 해 주시는 부흥이라는 것이다.
현대교회는 찰스 피니 이후 지속된 부흥회와, 20세기 포스트모더니즘사회 이후 등장한 마케팅 교회, 21세기 이머징교회운동의 노예가 되어 인위적 부흥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성경을 믿고 성경이 진리라고 생각하는 교회라면 성경이 말하는 부흥관으로 돌아와야 하지 않겠는가? 잘못된 길을 가고 있다면, 아무리 멀리 갔다 해도 다시 돌아와 바른 길로 가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다. 지금까지는 성경적 부흥관, 진정한 부흥이 무엇인지 몰라 그동안 습관화 된 인위적 부흥관에 젖어 있었다면, 지금부터라도 진정한 부흥을 위해 성경적 부흥관으로 교회를 부흥시키는 데에 힘써야 할 것이다.
조나단 에드워즈의 부흥관
에드워즈는 미국 1차 대각성 운동을 주도한 목사이다. 그의 부흥관은 그의 칼빈주의신학사상의 바탕 위에서, 실질적인 대부흥을 체험하고, 그 부흥을 폄하하는 사람들에 대응하면서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에드워즈의 부흥관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의 신학사상을 먼저 알아보고, 그 신학사상에 바탕을 둔 부흥현상을 살펴봐야 할 것이다. 그리고, 1차 대각성 운동에서 나타난 부흥에 대해 폄하하는 사람들에게 반박하는 내용에서 나타난 그의 부흥관을 살펴 봐야 할 것이다. 그래서 위의 순서대로 에드워즈의 성경적 부흥관을 살펴 보고자 한다.
조나단 에드워즈에 대한 소개는 앞에서 했기 때문에, 넘어가고 그의 신학사상과 신학사상이 녹아 든 부흥관을 실제 현장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하나님 주권사상
에드워즈는 어릴 때부터 하나님의 주권교리에 대해 심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주권교리를 하나님께서 어떤 사람은 택해서 영생을 주시고, 어떤 사람은 영원히 멸망 받도록 내버려 두어 지옥에서 끊임없는 고통을 받게 하는 끔찍한 교리로 여겼다. 그러나 이러한 하나님의 주권과 또한 하나님의 주권적인 뜻에 따라 사람들을 영원히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공의에 대하여 그가 받아들이게 되고 완전히 만족하게 된 때가 있었다. 그 때는 회심 체험 이후였다. 하나님의 성령이 임하신 후 그는 한 차원 높은 것들을 보게 되었고, 이성적으로 공의와 합리성을 깨닫게 되었다. 그는 어떠한 방법으로 확신을 갖게 되었는지는 설명할 수가 없다고 한다. 그러나 신령한 체험을 한 이후 하나님께서 은혜 베푸실 자에게 은혜를 베푸시는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무조건적 은혜의 교리, 그리고 하나님의 성령의 역사에 인간이 절대 의존해야 한다는 교리가 에드워즈에게는 달콤하고 영광스러운 교리로 나타났던 것이다. 전능하신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완전한 의존사상은 에드워즈의 신앙관 전체를 지배하였고 그의 신학 전체의 지도 원리로 작용하였다. 하나님께 나아가서 하나님을 주권자 되신 하나님으로 찬양하고 하나님의 주권적인 긍휼을 간구하는 것이 그에게는 큰 기쁨이 되었다.
로이드 존스는 그의 ‘청교도 신앙’에서 에드워즈의 하나님 주권사상을 이렇게 피력한다.
유효한 은혜 안에서는 우리가 단순히 수동적으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해서 하나님께서 어느 정도는 하시고 나머지는 우리가 하는 그런 것도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하시고 또한 우리가 모든 것을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산출하시고 우리 또한 모든 것을 행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산출하실 그것이 바로 우리 자신의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유일한 주체시요 근원이십니다. 우리는 다만 합당한 행동자들입니다. 우리는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국면 속에 있습니다. 전적으로 수동적이면서도 전적으로 능동적인 사람들입니다.
에드워즈의 하나님 주권사상을 강하게 담고 있는 저서가 ‘의지와 자유’인데, 그는 거기서 인간의 본성과 구원의 원천에 대한 전통적인 칼빈주의적 견해를 강력하게 서술했다. 그는 그 책에서 자신의 탁월한 논증의 재능을 살려 인간 스스로 선택할 의지와 능력을 갖고 있다는 사상의 모순을 잘 지적한다. 인간은 언제나 그의 내적 성격과 일치된 행동을 함으로 죄인은 결코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을 할 수 없으며, 오직 하나님께서 인간의 성격을 변화시킬 때만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타락한 인간의 본성은 결코 하나님을 사랑하거나 그의 계명을 지키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을 거듭나게 하는 것은 인간의 선행이나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역사이다. 따라서 인간은 오로지 제한적 자유를 가지며 하나님의 절대 주권이 아니고서는 선을 행할 수 없다고 말한다. 인간은 이성적으로는 자유하나 전적인 부패로 인해 의를 선택할 도덕적 능력이 결여되었으므로 성령께서 도우실 때에만 선을 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에드워즈는 하나님 주권사상을 그의 부흥관에 그대로 접목한다. 에드워즈는 1차 대각성 운동에서 나타난 현상들은 모두가 놀랍고 위대하고 영광스러운 하나님의 역사라고 고백하고 있다. 왜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인가에 대해 여섯가지로 나눠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첫째로, 구속적인 측면에서 영광스런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였다고 말하고 있다. 한 영혼의 회심에 있어 하나님의 역사는 그 원천, 기초, 가치, 혜택, 목적, 결과 모든 부분에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흥으로 인해 회심을 경험하는 사람이 일어나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고 소개하고 있다. 둘째로, 정도의 측면에서 영광스런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라고 에드워즈는 말하고 있다. 1차대각성운동을 통해 변화된 사람들을 보면, 하나님께 반항하고 부패하여 하나님을 저버린 사람들이었다고 소개한다. 그런데 영적으로 죽었던 그들이 완전히 변화된 것을 보면,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라는 것이다. 에드워즈는 이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바보스럽고 배은망덕한 사람들이라고 까지 표현하고 있다.셋째로, 범위의 측면에서 영광스런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라고 에드워즈는 말한다. 에드워즈는 과거 어떠한 회중 속에서도 전 뉴잉글랜드를 뒤덮을 만한 각성과 은혜는 없었고, 적은 범위에서 있었지만 다시 식어져 버렸다고 지적하면서 뉴잉글랜드 이 끝에서 저 끝까지 미친 부흥이야 말로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라고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로 회심자의 양적 면에서 영광스런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라고 소개하고 있다. 한명의 회심자가 생겨나도 하나님께서는 영광을 받으시는데 이 땅에는 수천명의 회심자가 일어났으니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라는 것이다. 그런데, 정작 뉴잉글랜드 내에서 부흥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있음에 대해 에드워즈는 안타까운 마음을 나타내기도 했다. 다섯째로 하나님의 능력 면에서 영광스러운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라고 소개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희귀한 방식으로, 놀라운 깨달음으로, 신속했지만 지속적으로 역사하신 것은 하나님의 놀라운 능력이 임한 주권적 역사라고 에드워즈는 말한다. 특히 어린아이들, 인디언과 흑인들에게 까지 일어난 이 부흥의 역사는 주권적인 하나님의 놀라운 능력이 아니고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에드워즈는 소개하고 있다. 마지막 여섯째로, 성도의 체험 면에서 영광스런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였다고 소개하고 있다. 부흥으로 인해 주권적으로 부어주신 하나님의 빛, 사랑, 영적 기쁨은 놀라운 것이고 자신의 아내 사라의 경험 외에도 많은 체험들이 있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런 체험들을 에드워즈는 하늘의 영광을 지상에서 이토록 많이 체험할 수 있었던 적은 없었을 것이라고 까지 말했다.
말씀을 통한 부흥
에드워즈 설교의 온전한 기초적 자료는 성경이었다. 그는 철저히 성경적이었다. 그는 언제나 자기 철학과 사변을 성경에 굴복시켰고, 그런 것들을 단순히 성경의 종으로 여겼다. 그는 성경에 대한 헌신에 있어서 진정으로 청교도였다. 그의 생애의 대부분은 성경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일이었다. 그의 생애의 온전한 목표는 양떼들을 성경으로 양육하는 일이었다. 그의 주해는 칼빈에 견줄 수 있는 정확한 주해였다. 그는 설교자가 강단에 서는 것은 자신의 인간적인 설명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 성경에 담겨 있는 진리를 드러내기 위해서라고 강조했다. 그는 성경해석의 원리는 이성이 아니라 성경자체라고 생각하였다. 에드워즈는 설교할 때 구약에서 신약에 이르는 광범위한 적용을 하였다. 그는 설교 한편 당 20-50회에 걸쳐 성경을 인용하였는데, 그는 신약성경을 본문으로 사용할 때, 특히 구약성경을 예화로 많이 사용하였으나 흥미유발적인 예화나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그는 오직 성경을 유일한 자료로 사용한 진정한 목회자요 학자였다.
에드워즈가 중심이 된 미국 1차 대각성 운동은 말씀을 통한 부흥운동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에드워즈의 강력한 설교사역으로 그의 교회에는 서서히 부흥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에드워즈는 오직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이신칭의의 설교를 연속적으로 하였는데, 이 때부터 그의 교회는 크게 부흥하기 시작했다. 그는 로마서 5장 4절을 중심한 ‘이신칭의’에 관한 설교에서 이렇게 소리 높여 외쳤다.
인간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믿음만이 우리를 의롭게 합니다. 그 어떠한 인간의 선행이나 덕행이라도 인간을 의롭게 하지 못합니다. 믿음으로 의롭게 된 자만이 죄와 형벌에서 해방되며, 영생을 주시는 하나님께 속하게 되는 것입니다.
아울러 그가 1741년에 행한 ‘진노하시는 하나님의 손에 있는 죄인들’이라는 설교는 대각성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성경 시대 이후로 이 제목만큼 널리 알려진 설교도 드물 것이다. 그의 이 설교로 깊은 잠에 빠졌던 청교도의 후예들이 눈물을 흘리며 회개했고, 미국교회의 새로운 분기점을 형성했다. 이 설교에 대해 폄하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당시 상황을 볼 때 에드워즈의 설교는 적절했다. 왜냐하면 당시의 사회는 주류 거래가 활발히 이뤄졌고, 부정한 노예제도와 남녀 간의 부도덕한 성적 타락이 있었으며, 기독교에 대한 무관심이 극에 달해 있었기 때문이다. 에드워즈는 여행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잠자는 교인들의 영적 무관심을 일깨우기 위해 생활 속의 치부를 공격하는 설교를 했던 것이다.
아울러 그의 설교는 단순히 개인의 회개에 제한되지 않았고, 당시의 사회적 퇴폐현상을 지적하고 착취행위까지 비난하는 폭넓은 설교였다. 그는 복음적 교리의 바탕 위에서 사회윤리적인 색체를 강하게 띤 설교를 하였다.
그의 설교는 퇴색해지고 있던 청교도 정신을 새롭게 하였다. 결국 에드워즈의 설교의 영향으로 이민 2-3세대의 젊은이들이 하나님의 실재를 경험하게 되었고, 하나님에 대한 의식적인 불순종 행위를 깊이 깨닫게 되었다.
계약사상
에드워즈의 기본적인 신학사상은 청교도적 계약사상이다. 청교도들은 개인의 구원을 이루는 동기는 하나의 계약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았다. 이 계약의 본질은 하나님과 인간의 계약으로 나타난다. 처음에 하나님은 아담과 행위 계약을 맺으셨는데, 아담은 이를 어기고 타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하나님은 인간을 포기하지 않으시고, 제2의 계약인 은혜계약을 맺으셨다. 첫 계약은 행위가 계약의 조건이었으나 두 번째 계약은 오직 믿음을 갖는 것이 요구되었다. 그러므로 청교도들은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 은혜를 입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청교도들은 이러한 계약신학을 도입해,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계약의 성취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주어지는 인간의 믿음이라고 설명하였다. 즉 인간이 하나님을 제한하거나 구속할 수 없으나, 하나님이 스스로 인간들을 위해 자신을 계약 속에 매어두셨으니, 여기에 성육신의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진노를 인간을 위해 당하시고 희생의 제물로 바쳐지셨고, 십자가에서 완전한 순종으로 보이심으로 새로운 은총을 주셨는데, 이것이 은혜계약이라는 것이다. 은혜 계약의 조건은 선행이 아니고 인간의 원죄를 시인하고 겸허히 받아들이는 믿음으로 이뤄진다. 그러므로 은혜계약이 동의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순종과 고난으로 완성된 의를 나타내신 그리스도의 사역에 동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청교도 계약은 상호결속으로서 인간 편에서는 믿음이 조건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구원이 조건이다 결국 은혜계약의 조건이 선행이 아니고 신앙이라고 하는 것은 그것이 하나님의 은혜요 선물임을 뜻하게 된다.
청교도들은 이러한 은혜 계약을 신학적인 개념에서 사회 계약사상으로 발전시켰다. 그들은 신대륙으로 이주해 오면서, 이미 하나님과의 교제로 계약관계에 들어갔다. 아울러 그에 따른 신학적, 사회적 의무를 헌신하기로 약속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뉴잉글랜드에서 계약신학을 강조하며 거룩한 공동체를 세우려 하였던 것이다. 에드워즈는 이런 청교도의 계약사상을 충실히 전수받았다. 에드워즈는 “사랑은 선을 행하게 만든다”라고 말했다. 그리스도인이 선을 행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영혼을 위한 것과 이 세상에서 마땅히 해야 하는 외적인 일에 있어서 그러하다. 그런데 그리스도인은 선을 행할 때, 보상을 바라지 말아야 하며, 기쁜 마음으로 이를 행해야만 한다. 이것이 이 사회 안에서 진정한 박애와 자선을 베푸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그의 부흥운동으로 인해 뉴잉글랜드 사회에는 지각변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위에서 언급한 에드워즈의 설교를 통해 사람들이 통회 자복하는 역사가 일어났다. 그리고 뉴잉글랜드에서 일어난 최초의 반노예제도운동 역시 에드워즈의 1차 대각성 운동으로 생겨났다. 실제로 로드 아일랜드(Rhode Island)에 있는 뉴포트의 조합교회 목사인 사무엘 홉킨스(Somuel Hopkins)는 노스햄턴 부흥의 기수인 에드워즈의 제자로서 1800년 이전에 흑인 노예화를 반대하는 설교를 하였으며, 그 결과 노예를 소유하고 노예를 매매하는 교인들을 놀라게 했다. 그 후 이러한 영향이 노예매매 실황을 목격하고자 노예 매매선을 타고 그 고생을 함께 한 마콜레이(Macaulay)와 그의 아버지 자카리(Zachary), 그리고 영국 하원의원이었던 윌버포스로 이어지면서 노예제도 자체가 의회에서 폐지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인도주의 정신과 박애주의 정신이 고양되어 많은 자선단체가 설립되었다. 병약자, 노약자, 불구자들을 돌보았다. 사소한 범죄에 대해 중형을 선고하던 가혹한 형벌이 완화되었다.
감정과 이성의 조화
에드워즈가 부흥의 불길을 당기자 많은 곳에서 부흥운동이 거세게 일어났다. 그리고 에드워즈는 이 시대에 두각을 나타낸 회심을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의 교리와 양립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한 것은 아니었다. 순회전도자들의 지나친 행동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회심을 성령의 충동이나 계시로 보지 않게 만들었다. 그러므로 부흥운동에 부담감을 갖고 있던 신학자들이 부흥운동가들의 신학적 오류를 검증하기 시작했다.당시 미국의 회중교회는 신파와 구파로 나뉘어 있었는데, 신학의 정통을 부르짖던 구파들은 휫필드를 비롯한 미국의 신파 부흥사역자들이 미국에서 부흥운동을 일으키자 그들을 공격하였다. 이들 구파들은 칼빈주의 신학을 주장했으나, 부흥을 싫어했고, 부흥 사역 중 감정적 요소를 질타하며, 부흥운동을 반지성주의라고 매도하였다.
구파들은 열광주의적인 부흥운동가들이 내적인 충동이 성령에 의한 것이고, 이것은 분명히 구원받았다는 것을 알게 해 주는 표증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그들이 더 이상의 구원을 위한 증거를 찾지 않는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즉 구파신학자들은 죄인들의 영혼에 역사하는 것은 분명히 성령의 초자연적인 역사이지만, 이러한 광적인 흥분은 성령의 역사와는 다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하나님이 인간을 이성적인 피조물로 다루시기 때문에 회심자들은 자신의 지성을 활용하여 항상 감정을 조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들에 대해 에드워즈가 답을 했다. 에드워즈는 천재적 지성을 가졌지만 감정을 발산하는 것을 정죄하지 않았다. 그의 위대한 점 중 하나가 아마 지성과 감정을 균형있게 조화하여 사역자의 본을 보였음일 것이다. 에드워즈는 반대세력에 맞서 부흥운동을 변호하면서, 한편으로는 그들의 비평에 근거 있음을 인정하고 극단적이며, 거친 부흥운동의 위험성을 자제하도록 신파 부흥 사역자들에게 경고하였다. 에드워즈는 편협한 사상을 가진 사람들을 모두 비판하고, 중용의 관점에서 부흥운동을 보았다. 그는 부흥운동을 비판하는 구파들과 구원의 표징만을 찾는 열광주의적인 부흥운동가들을 모두 잘못된 것으로 동일시하였다. 그가 말하는 진정한 신앙인은 진리에 대한 믿음과 마음의 책임성 있는 성향을 포함한다. 즉 단순한 감정주의나 지성주의도 아니고, 하나님의 거룩성과 탁월성을 아는 지식과 감정의 잘 조화된 사람을 말한다. 그의 저술 ‘신앙과 정서’를 보면 그는 언제나 두 측면을 검토하며 양편에 경고했다. 종교적 감성이 구원과 회심의 부속물로써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이성의 각성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이 변화되었음을 함께 강조했다. 에드워즈는 종교적 정서가 전혀 없는 사람은 영적으로 죽은 상태에 있는 사람이며, 그의 마음에 역사하시어 감화시키고 강력하게 하시며 구원해 주시는 하나님의 성령을 갖고 있지 못한 사람이라고 한다. 모든 정서를 다 인정하는 것도 올바른 방식은 아니지만 인정하지 않는 것 또한 잘못이라고 에드워즈는 지적한다.
에드워즈에게 있어 신앙의 주도적이고 본질적 좌소는 마음이다. 그렇기에 인간의 마음을 감동시키지 못하는 설교, 그리고 의지의 결단이 이뤄지지 않은 채 끝나는 설교는 아름다운 성도의 모습을 제시하지 못하는 공허한 지적 전달로 결코 바람직한 성도의 삶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에드워즈의 입장이다. 물론 에드워즈는 흔하게 일어나는 무분별한 인위적 감정의 문제점들을 강렬한 어조로 지적한다. 이러한 인위적 감정은 성령이 함께 하는 진정한 바람직한 정서와 구별된다고 한다. 에드워즈의 이러한 부흥관은 감정주의나 지성주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서와 지성의 균형을 이루었다는데서 중요하다.
에드워즈의 부흥관 평가
에드워즈의 부흥관은 성경적 부흥관의 정석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첫째로 에드워즈는 하나님 절대 주권사상을 강력하게 품고 있었고, 이것을 보여주기라도 하듯이 미국의 제1차 대각성 운동은 시기에 대한 예측이나 인간의 인위적인 노력의 흔적 없이 오직 하나님의 주도적인 역사로 일어났다는 것이다. 둘째로 사도행전 2장의 부흥사건이 성령강림 이후 베드로의 설교를 통해 확산되었듯이, 에드워즈가 평소 성경중심의 설교를 해 왔고, 그의 강력한 설교가 1차 대각성 운동을 주도했다는 것이, 에드워즈의 부흥관이 성경적임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로, 사도행전 2장에서 나타나는 부흥사건 이후 성도들의 회심과 변화가 에드워즈의 1차 대각성 운동 중에도 그대로 일어났다는 것이, 에드워즈의 부흥관이 성경적임을 보여주는 세 번째 증거가 되겠다. 넷째로, 사도행전 2장에서의 부흥사건의 결과로 구제와 나눔이 활기를 띄고 유대인들이 초대교회 성도들을 두려워하게 된 것처럼, 에드워즈의 부흥운동 후에도 이러한 사회적 변혁이 뒤따랐다는 것이 또 하나의 증거가 되겠다. 마지막으로 수적 부흥은 하나님이 주도하신 부흥의 결과로 파생된 것이지, 인간의 인위적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님을 에드워즈의 1차 대각성 운동이 같이 보여주고 있으므로 에드워즈의 부흥관이 성경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마틴 로이드 존스의 부흥관
로이드 존스의 생애
마틴 로이드 존스는 1899년 12월 20일 남웨일즈 카디프에서 출생했다. 1921년에 의학박사학위를 취득했고, 1925년에는 왕립의과대학(Royal College of Physicians)의 회원이 되었다. 그러나 1926년에 복음사역자가 되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1927년에는 베단 필립스(Bethan Phillips)와 결혼하였으며, 38년동안이나 일해 온 의사경력을 포기하고 11년 반의 아베라본 샌드필즈에 있는 베들레헴 장로교회에서 목회 사역을 시작하였다. 1938년에 그는 버킹헴 게이트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채플에 유명한 켐벨 몰간(Cambell Morgan)의 동역자로서 초청을 받았다. 5년간의 동사사역 후, 1943년 단독 사역을 하게 되었다.
1949년 영혼의 어두운 밤을 통과하고 뒤이어 성령의 기름부음을 체험하였다. 1959년에 ‘부흥’과 ‘산상설교집’을 출판하였고, 1966년에는 영국의 복음주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신학적으로 혼잡한 교단을 떠나라고 촉구하였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교회에서 36년간의 사역을 하였고, 1968년 은퇴하였다. 은퇴를 한 다음에는 순회 설교자로서, 저술가로서 남은 생을 보냈다. 1970년에 그 유명한 로마서 시리즈를 출판하게 되었고, 2년 후인 1972년에는 에베소서 시리즈를 출판하였다. 그리고 1981년 3월 일, 성 다윗의 날로 지켜지는 주일에 활짝 열린 문을 통해 그리스도 예수의 영원한 나라로 들어갔다.
로이드 존스의 신학적 배경
첫째로 로이드 존스는 자신을 칼빈주의 감리교도로 소개한다. 먼저 로이드 존스는 칼빈주의의 건전한 교리를 사랑했다. 그는 알미니안주의에서 말하는 행위 구원은 반대했다. 인간을 하나님의 전적 은혜가 필요한 전적 부패의 상태에 있는 피조물로 보았고,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은혜 없이는 구원 얻을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로이드 존스는 감리교의 영향을 받았다. 그가 샌즈필드에 정착한 이후부터 웨일즈 칼빈주의 감리교 선조들의 삶을 기술한 책을 즐겨 읽었다. 18세기 웨일즈 부흥운동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인물의 하나인 호웰 헤리스(Howell Harris)의 목회에 대한 소책자를 13세 때 읽었는데, 이것은 로이드 존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그가 자라난 웨일즈 칼빈주의 감리교의 역사에 대한 이 첫 책은 역사에 대해서 평생 지속적인 관심을 일깨웠고 특히 부흥 시기의 교회사와 위대한 성도들과 설교자들의 전기에 관한 관심을 평생토록 갖게 했다. 그리고 로이드 존스는 휫필드를 영국의 가장 위대한 설교자로 꼽았고 그를 설교의 모델로 정했다. 로이드존 스는 청교도들에 대한 강의에서 존 칼빈에게는 항상 조지 휫필드가 필요하다고 의도적으로 말할 정도로 조지 휫필드를 높게 평가했다. 로이드 존스는 학문적인 칼빈주의가 남긴 것을 가리켜 ‘죽은 정통(ossified orthodoxy)이라고 명명했다. 로이드존스가 말하기를 교리는 그리스도인의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지만 하나님에 대한 열정과 사랑이 없이는 죽은 것이라고 보았다. 이처럼 로이드존스는 칼빈의 건전한 교리와 감리교희 부흥정신을 결합시킨 ’칼빈주의 감리교도의 후예‘인 것이다.
둘째로 로이드 존스는 청교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로이드 존스는 18세기 웨일즈 칼빈주의 감리교의 역사를 읽으면서, 이 운동의 지도자들이 예외 없이 청교도의 글을 읽은 것을 관찰했다. 그래서 로이드 존스는 청교도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1925년에 새로 출간된 리차드 백스터의 전기를 우연히 읽고 본격적인 관심을 갖게 된다. 이러한 관심을 더욱 분발시킨 요인은 1929년에 두 권으로 된 조나단 에드워즈의 전집을 발견하고부터이다. 그는 에드워즈에게서 청교도주의의 절정과 극치를 보게 되었다. 로이드 존스의 가슴이 부흥에 대한 열망으로 불붙어 있었다면, 로이드 존스의 머리는 청교도 신학으로 가득 차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로이드 존스는 청교도를 사랑했고, 잘 이해했으며, 청교도 정신을 20세기의 사람들에게 알리고 복원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셋째로 로이드 존스는 개혁주의의 강해설교의 영향을 받았다. 로이드 존스는 1932년 캐나다를 방문 했을 때, 워필드 전집을 접하게 되었다. 그는 워필드의 신학에 심취했는데, 그것은 워필드의 신학이 성경에 기초했고, 주해적으로 정확했을 뿐 아니라 뜨거운 영성이 겸비되었기 때문이다. 워필드는 로이드 존스에게 구원의 위대성과 경이와 영광을 깊이 심어주었다. 즉 워필드를 만나기 전에는 중생에 대한 설교가 주를 이룬 반면, 칭의에 대한 가르침은 빈약했던 것이다.
로이드 존스의 부흥관
부흥에 대한 정의
부흥에 대한 정의는 이안 머레이에 따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로 화란 개혁파의 입장이다. 아브라함 카이퍼를 대표로 하는 ‘화란 개혁파’에서는 부흥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성경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부흥은 성령의 임재를 의미하며 성령은 이미 우리 안에 계시므로, 성령의 부어주심이 이미 이뤄졌기에 부흥은 반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안 머레이는 이러한 주장이 사실이기는 하지만 성령에 대해 성경이 가르치는 진리를 온전히 설명한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교회가 성령의 부으심을 기대하지 않을 때 무기력해짐을 말하면서 지속적인 성령충만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둘째로 오순절파의 입장이다. 오순절파는 부흥은 영원하고 지속적인 것이며, 한걸음 더 나아가 부흥의 유무는 전적으로 교회와 성도들의 열정적 기도와 전도에 달렸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이 그대로 녹아든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머레이는 우리의 순종적 행위가 부흥의 수단이 될 수 없다고 오순절파의 입장을 비판하면서, 이러한 변질된 부흥관으로 인해 교회 안에는 인간적이고 세속적인 수단이 들어오게 되었다고 말한다. 셋째로 ‘미국교회 구학파(old-school)’의 입장이다. 구학파는 부흥은 하나님의 주권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오순절 사건은 일회적이고 영구적으로 지속된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께서 구속사역을 완성시키시기 위해 주권적으로 수준과 분량에는 차이가 있더라도 성령을 통한 부흥을 일으켜 주신다는 것이 구학파의 주장인 것이다. 이 주장의 대표는 조나단 에드워즈이다. 에드워즈는 성령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하시지만 하나님의 주권적이고 특별한 시기에 부어 주시기도 하신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로이드 존스는 부흥에 대한 견해들 중, 누구의 견해를 받아들이고 있을까? 로이드 존스는 미국교회 구학파의 견해를 받아들이고 있다. 로이드 존스는 부흥에 관해서는 청교도들의 견해를 뛰어 넘어 에드워즈의 견해를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로이드 존스는 화란 개혁주의와 찰스 피니의 부흥관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부흥관을 세워 나간다. 그리고 그 부흥관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부흥을 경험하게 된다.
진정한 부흥의 방편 ‘설교’
로이드 존스는 부흥을 열망했다. 그러나 부흥을 인간의 노력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 속에서 이뤄지는 에드워즈의 견해에 동의하고 있다. 그런데 부흥을 위해 인간이 접근할 수 있는 방편이 있다면 무엇인가에 대해 로이드 존스는 설교를 말한다. 로이드 존스는 새로운 능력이 목사의 설교 속으로 들어와 교회 밖에 있던 수많은 사람들이 회심하게 되어 교회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고 말했다.
로이드 존스는 현대설교가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믿었다. 그는 그 사실을 증명하는 주요한 증거를, 성령의 제1차적 역사가 죄를 깨닫게 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 앞에서 겸비하게 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강단에 선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한다는 데서 발견했다.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그의 긍휼을 구하는 지점까지 가지 아니한 사람들을 위로해 주고 즐겁게 하는 어느 설교도 하나님의 성령께서 인정하시는 설교가 아님을 알았다. 다시 말해 사람이 회심하기 전에 먼저 죄에 대한 깨달음이 있어야 하는데 현대 설교에는 그것이 없다고 지적한 것이다. 로이드 존스는 설교자의 신령한 설교를 통해 신자들이 각성하여 말씀대로 살아갈 때 세상은 교회에 매혹되어 몰려들게 될 것이고 그것이 성경적인 부흥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로이드 존스는 샌드필즈 베들레헴 장로교회에서 본격적인 설교사역을 시작한다. 샌드필즈는 남자와 여자와 아이들을 합해 오천 명 가량의 인구를 가진 곳이었다. 그리고 90% 이상이 예배당에 오지도 않았다. 그들은 꽤 명망 있는 노동계층이었지만 종교에 대해서는 냉담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죄의 부패요소들이 도시를 사로잡고 있었다. 이곳에서 로이드 존스는 영혼의 중생에 대해 강하게 설교했고 진정한 부흥을 맞보게 되었다. 끊임없는 회심이 일어났고, 등록교인이 11년반 동안 그의 사역을 통해 93명에서 530명으로 성장했다. 당시 해마다 기독교의 세력이 크게 감소하는 영국 상황에서는 놀라운 일이었다.
로이드 존스는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교회에서 사역하게 된다. 그런데 2차 세계대전 발발로 예배당에 폭탄이 투하되었고, 성도는 150명까지 줄어들게 되었다. 이런 어려운 시기인 1938년에 런던으로 왔고, 교회를 담임하게 되었다. 그런데 부흥에 대한 열망이 담긴 그의 설교는 웨스트민스터 교회는 13년 후인 1951년에 2,500명이 모이는 런던에서 가장 큰 교회로 성장시켰다.
부흥에 있어서 성실한 말씀 선포는 로이드 존스 스스로 늘 추구하던 방식이었다. 그래서 그는 다른 방법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늘 자신의 설교 위에 하나님의 기름 부으심이 있어 부흥을 주시기를 소망했던 것이다. 이렇듯 그의 부흥에 대한 기대는 설교의 중요성을 언급하지 않고서는 이뤄질 수 없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설교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최우선되는 응답이었다.
그릇된 부흥의 방편 ‘대중전도집회’
그는 부흥이란 성령이 찾아오는 사건으로서 복음전도 캠페인과 같은 대중전도집회는 잘못된 인위적 방법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로이드 존스는 1966년 빌리 그레엄의 베를린 전세계 전도대회에 협력하지 않은 유일한 목회자였다. 로이드 존스는 대중전도집회와 부흥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대중전도집회는 성령의 권능만을 의지하는 성경적인 부흥과는 달리, 인간의 기교를 이용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연속집회와 결신자 초청제도를 들고 있다. 로이드 존스는 빌리 그레엄에게 자유주의자들과 가톨릭 교도들의 후원을 받지 않고 결신자 초청순서를 뺀다면 베를린 전도집회의 회장직을 맡아 주겠다고 했으나 빌리 그레엄은 이를 거절했다.
그리고 로이드 존스는 이러한 대중전도집회라는 인위적인 인간의 기교를 만든 찰스 피니를 비판했다. 로이드 존스는 피니의 성령체험은 긍정적으로 보았다. 그러나 피니의 영향으로 사람들은 부흥을 위해 기도하기보다, 회의와 전도집회, 광고, 프로그램을 계획하게 되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로이드 존스는 부흥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이며, 인간의 행위가 주체가 아니라는 것을 확신했다. 인간은 단지 하나님의 역사를 체험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로이드 존스는 자신이 살아 있는 동안에 회심한 사람들의 숫자를 전혀 공포하지 않았다. 아니 그는 그 숫자를 확인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그것은 그가 그리스도를 믿게 하려는 일환으로 사람들에게 공중 앞에서 어떤 행위도 요구해서는 안 된다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로이드 존스의 성경적 부흥관이 인위적 부흥관에 물든 오늘 이 시대에 절실히 요청된다.
로이드 존스의 부흥관 평가
로이드 존스는 감리교의 구령의 열정과 개혁주의 신학의 바탕이 잘 결합된 이상적 목회자라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부흥이 일어날 것을 확신했고, 설교라는 방편 외에 그 어떤 인위적인 방법도 부흥을 낳을 수 없다는 그의 확고한 신념은 2차 세계대전 전후의 영국사회에 큰 등불과도 같은 존재였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회심의 숫자에 연연하지 않고 성도들의 진정한 회심과 회심으로 인한 성화 만에 관심을 기울인 그의 모습이 참으로 존경스럽기 까지 하다.
더욱이 20세기 중반은 빌리 그레엄과 같이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으로 많은 인기를 모으는 목회자들이 주류를 이루는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물의 선지자 예레미야 처럼, 인위적 부흥관에 현혹되지 않고, 올곧게 하나님의 뜻인 성경적 부흥관을 고수한 로이드 존스의 모습이야 말로 말세지말의 시대에 목회자가 갖추어야 할 선지자적인 모습이 아닌가 생각된다.
로이드 존스를 끝으로 성경적 부흥관을 가지고 교회를 부흥시킨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모두들 대중집회 중심의 찰스 피니의 인위적 부흥관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성경적 부흥관의 맥이 끊기지 않도록, 바로 당신이 제2의 조나단 에드워즈, 제2의 로이든 존스가 되어 이 시대를 새롭게 하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들어 실행해야 할 것이다.
성경적 부흥관의 핵심
인위적 부흥관과 성경적 부흥관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성경적 부흥관과 인위족 부흥관 모두가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사도행전 2장 47절에 ‘구원 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인위적 부흥관을 추구하는 목회자들과 교회들은 실재로 구원 받는 사람들이 날마다 더해 예배당을 가득히 채웠고, 재정도 늘어났으며, 기독교 인구도 증가하였다. 확실히 인위적 부흥관을 가진 사람들이 인위적 방법을 동원해 전도한 결과, 사도행전 2장 47절은 이뤄진 것이다.
차이점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까? 앞에서 살펴본 차이점은, 성경적 부흥관의 주체는 ‘주께서 구원 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는 것’에 충실하여 하나님이시라고 고백하고 있는 반면에, 인위적 부흥관의 주체는 인간의 간절한 기도와 치밀한 계획, 그리고 인위적 방법들이라고 소개했다.
이것 외에도 큰 관점의 차이가 있는데, 그것은 ‘구원 받은 사람’을 어떤 사람으로 볼 것인가 하는 점이다. 성경적 부흥관이든, 인위적 부흥관이든 구원 받은 사람의 상태가 같다면 두 방법을 다 인정해도 될 것이다. 그런데, 분명한 것은 인위적 부흥관을 통해 구원받은 사람과 성경적 부흥관을 통해 구원받은 사람은 분명한 상태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진정 구원받은 사람은 누구이고, 거짓 구원 받은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진정 구원 받은 사람
죄에 대한 바른 이해
진정한 회심을 위해서는 죄에 대한 바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죄는 구원 문제에 있어서 핵심사항이다. 구원을 얻지 못하는 이유는 인간이 죄를 지었고 죄의 지배아래 있기 때문이다. 죄는 하나님의 형상의 파괴를 가져왔다. 이 사건은 창세기 3장에서 아담의 불순종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라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현대 신학에서 이 본문은 사실적 기사로 이해하지 않고 무용담(saga) 정도로 이해된다. 이 본문을 사실로 받지 않는 이유는 이것이 과거의 사건이며 현대인들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경의 기록은 그것이 사실인가를 따지기 위함이 아니라 다만 현대인들에게 하나의 예증을 보여주기 때문에 거기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고 수용하면 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죄의 문제는 사실이 아니라 단지 현상을 설명하는 상징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진정한 회심은 죄에 대한 분명한 이해에서부터 출발한다. 성경에서 죄는 언약 관계의 파기를 의미한다. 죄는 관계에 문제가 생긴 것이므로 크게 불신앙, 불순종, 교만, 미움 등으로 나타난다, 이 때에 죄는 하나님의 계명을 어긴 것이므로, 이것은 불순종이며 이것이 바로 죄의 본질인 것이다. 현대교회가 지닌 죄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는 결국 참된 구원의 확신에 이르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죄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배격 없이 신앙생활을 시작하기에 죄의 세력 아래에서 구원의 확신도 삶의 변화도 없는 신앙생활을 하게 되는 것이다.
진정한 회개
현대인들에게 있어 회개라는 단어는 죄에 대한 유감스러운 감정 정도로만 이해한다. 그러나 회개가 죄에 대해 섭섭함과 슬퍼하는 감정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거기에 머물러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회개가 없이도 죄에 대한 섭섭한 감정은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회개는 죄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인식하고 죄를 인하여 슬퍼하는 것을 말한다. 곧 회개하는 자가 하나님께 대한 범죄임을 인식하기 때문에 그는 하나님을 향해 방향전환 할 것을 명령 받는다. 그러므로 회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이 베푸시는 긍휼을 깨닫고서 하나님께로 돌아서는 방향전환을 포함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개는 죄에 대한 섭섭한 마음을 가지는 정도가 아니라 죄에 대한 증오심과 함께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고자 하는 열망을 동반하는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의 회심
현대교회에 있어서 회심에 대한 이해는 전도 방식을 들여다 볼 때 짐작할 수 있다. 예수님을 많은 이들에게 공개적으로 선포하며 믿을 것을 권유하는 대중전도집회이다. 이때에 예수님을 반드시 영접해야 한다는 절박성을 각각 만나는 사람들에게 설명한다. 이런 방식으로 현대교회는 많은 교인증가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매우 간략한 복음 소개와 결단 촉구를 통해 불신자들이 회심함으로 구원을 얻는다고 여길 수 있기 때문에 회심에 대한 빈약한 이해를 양산할 가능성이 있다.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소개받고 진정한 신자로서의 삶을 살게 되기까지는 의외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데도 대중 전도식 구원은 이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회심 곧 돌이킴(conversion)은 성경에서 대개 세 가지 경우를 의미하고 있다. 먼저 이것은 새로운 영적 생명의 시작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성령에 의해 우리 안에 심겨지며, 우리로 하여금 회개하고 믿음에 이르도록 하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이것은 심겨진 새 생명이 처음으로 나타날 때를 가리킬 때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이것은 하나님의 창조세계가 최종적인 완성의 상태에 이르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렇게 볼 때, 회심이란 말은 중생과 거듭남을 뜻하며, 이것은 우리가 흔히 이해하는 것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칼빈은 이때의 중생이란 말을 전적으로 새롭게 되는 돌이킴과 성화까지를 모두 포괄하는 말로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대부분의 17세기 신학자들도 중생을 돌이킴, 회심과 동일시하였다.
새로운 피조물
고린도 후서5:17에서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라고 바울은 선포하고 있다. 진정 구원받은 사람이라면 완전히 새로운 존재가 되어야 한다. 세가지 측면에서 새로운 피조물이 되어야 하는데, 첫째로 하나님의 주되심을 고백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고백은 단순한 입술의 고백이 아니라, 삶의 전 영역에서의 주되심을 고백해야 하는 것이다. 목숨과도 맞바꿀 수 있을 정도의 진심을 담아 장소를 가리지 않는 고백이 있어야 진정 구원받아 새로운 피조물이 된 성도라고 할 수 있겠다. 둘째로, 관심사에 있어서 새로운 피조물이 되어야 한다. 과거에는 외모, 돈, 학벌, 취미생활, 권세, 명예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었다면, 진정 구원받아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다면, 말씀, 기도, 찬양, 성도와의 교제 등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는 사람이 진정 구원받아 새로운 피조물이 된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다. 셋째로, 이기적이고, 욕망에 불타는 성품에서 갈라디아서 5:22-23에 나오는 성령의 아홉까지 열매 ‘사랑, 희락, 화평, 오래 참음, 자비, 양선, 온유, 충성, 절제’의 성품으로 변화되는 것이 진정 구원받아 새로운 피조물이 된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다는 구체적인 의미는 무엇일까? 신사도 운동, 소위 성령사역을 하는 사람들처럼 팔이 길어지고, 방언을 하고, 예언을 하고, 신유와 입신을 경험하는 것이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다는 것일까? 아니다.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다는 것은, 육체적, 물리적인 변화를 뜻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관계의 형성을 뜻하는 것이다. 즉, 과거 전혀 관계없던 예수 그리스도가, 이제는 삶의 전 영역의 주되심이 되는 것이 구체적 의미에서 새로운 피조물이 되는 것인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 삶의 주인이 과거에는 사탄이었고 우리 자신이었다면, 새로운 피조물이 되어 진정 구원받은 사람이라면, 예수 그리스도께서 원하시는대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느끼시는대로 기뻐하고 슬퍼하고 기대하는 것이 진정한 새로운 피조물의 의미인 것이다.
미국에서는 Yard sale을 자주 한다. 이 중고장터를 통해 물건들은 새 주인을 만난다. 그리고 그 주인의 의도와 쓰임새에 따라 다시 태어난다. 이 때 좋은 주인, 다시 말해 용도를 분명히 알고 있고 아껴 쓸 줄 아는 주인을 만난 물건들은 새로운 물건으로 탄생한다. 그러나 과거의 주인보다 더 못한 주인을 만나면 이제는 중고장터에도 나오지 못할 폐기물이 되고 마는 것이다. 우리가 새로운 피조물이 된다는 것은, 새로운 주인 중에서도 그 물건을 만들어 용도를 분명히 알고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주인을 만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주인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 그분의 용도와 관심에 집중하여 변화 될 때 진정 구원받은 신자의 모습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인정하는 새로운 피조물이 될 때, 우리는 진정 구원 받은 사람들만이 느낄 수 있는 벅찬 감동과 날마다 삶 속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변화들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구원받은 자의 증거
사도바울은 에베소서 3:8에서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은혜를 주신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 이유는 측량할 수 없는 그리스도의 풍성함을 이방인에게 전하게 하시기 위해서라고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풍성’(plou'to")이라는 단어는 ‘어느 누구도 그 끝을 찾을 수 없는 부유함’이라는 뜻으로 성경에서 로마서와 에베소서 등 바울서신에서만 나타나는 단어이다. 이 말은 바울이 복음 증거자로 나서게 된 이유를 설명하는 말이기도 하다. 자신이 먼저 말로 형언할 수 없는 풍성한 은혜를 받았고, 은혜 받은 자는 반드시 그 은혜를 여러 가지 모습으로 전해야 하는데, 자신은 은혜 받은 자로서 복음 증거를 구원 받은 자의 증거로 나타내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구원받은 자는 반드시 구원 받은 증거를 나타내야 하는 것이다.
구원받는 자의 증거는 무엇인가? 유아세례를 받았고, 영접기도를 따라 했고, 간헐적이지만 부활절과 성탄절에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것이 구원받은 자의 증거인가? 아니면 매주 교회 출석하는 것만으로도 구원받은 자라고 말할 수 있는가? 이는 큰 오산이다. 진정 예수 그리스도의 측량할 수 없는 풍성한 은혜를 받은 자는, 반드시 그 증거를 드러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풍성한 은혜를 통해 구원받은 자가 나타내야할 증거는 무엇일까? 행함을 강조하는 야고보 사도는 가장 중요한 것은 말씀을 듣고 행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약1:22) 성도가 아무리 신령한 일, 남을 돕는 일을 한다고 해도 말씀과 관련 없는 행위는 결코 구원받은 자의 증거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둘째로 야고보 사도는 사람을 차별하여 대하지 말 것을 명령한다.(약2:1) 회당에 금가락지를 끼고 아름다운 옷을 입은 사람에게만 좋은 자리를 제공한다면 그것은 사람을 차별하는 악한 생각이라고 야고보 사도는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약2:2-4) 그리고, 말실수를 줄이기 위해 많이 선생되지 말 것과(약3:1) 세상과 벗하지 말고 하나님께 복종할 것(4:7)을 구원받은 자의 구체적인 행위의 예로 들고 있다.
이러한 행동들은 어떤 동기에서 일어나야 하는가? 행위구원을 말하는 가톨릭처럼 구원이 동기인가? 그렇지 않다. 구원은 오직 믿음으로 받는 것이다. 그렇다면 구원받은 자는 어떤 동기로 위와 같은 행위를 해야 하는가? 그것은 사도바울이 고백한대로 ‘측량할 수 없는 은혜’에 근거해야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요한복음 14:23에 “나를 사랑하면 내 말을 지키리니”처럼 사랑에 근거해야 하는 것이다. 순교자들이 창에 찔려, 목이 베여, 불에 태워 죽으면서까지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포기하지 않는 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에 동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진정 구원 받은 사람이라면, 측량할 수 없는 은혜를 기억하고, 예 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중보의 사랑을 항상 되새길 때 구원 받은 자의 증거로서의 구체적인 행동이 자연스럽게 나오게 될 것이다.
이처럼 진정 구원받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예수 그리스도의 측량할 수 없는 은혜와 사랑이 동기가 되어 구체적인 증거들을 드러내야 하는 것이다.
거짓 구원 받은 사람
인위적 부흥관에 물든 교회를 통해 구원받는 사람은, 죄의 문제를 경시하고 회개를 소홀히 취급하게 되어 참된 회심보다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회심을 하게 된다. 그 결과 성경의 토대에서 벗어난 구원을 받은 사람은 무기력한 신앙생활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인위적 부흥관에 물든 교회를 통해 구원 받은 사람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구원이 아닌, 인간차원의 지적 동의에 의해 구원을 받은 사람이기에 헌신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지 못한다. 이런 성도들은 세상의 가치를 추구하면서도 구원을 위한 보증으로서의 신앙을 추가하려는 성향을 띄게 된다. 그 결과 교회는 헌신의 동력을 잃게 되고 무기력한 공동체가 되고 마는 것이다.
끝으로 인위적 부흥관에 물든 교회를 통해 구원받는 사람은, 죄의 문제를 경시하기에 칭의와 칭의를 베푸신 예수 그리스도를 경시하게 된다. 그 결과 성도들은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여김을 받을 기회를 잃게 되고 교회는 의롭지 못한 자들이 의로우신 하나님을 향해 권리 를 주장하나 아무것도 얻지 못하는 무의미한 공간이 되고 마는 것이다.
교회의 사명
교회는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구원의 길을 알려주고, 구원받게 해야 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교회에는 구원 받는 사람이 날마다 더해가야 한다. 그러나 주님의 방법대로 더해 가야만 한다. 비록 더디고 성과가 없어 보인다 하여도 우리는 그렇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을 때 어떤 결과가 찾아오게 되는가? 거짓 구원을 받은 사람만 날마다 더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 사람도 불행하게 하는 일이고, 교회도 불행하게 하는 일이 될 것이다. 자신이 죄인이라는 점에 대한 철저한 깨달음 속에서 통회 자복을 통해 회심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 사람만이 진정한 구원을 받은 사람일 것이다. 그런데, 사람을 더하기 위해 죄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진심어린 회개, 진지하고도 오랜 시간에 걸친 회심 없이 영적 악세사리를 추가하는 정도로 복음을 소개한다면, 그 복음에는 예수도 구원도 담겨 있지 않은 값싼 복음이 되고 마는 것이다. 그 복음의 씨앗은 가슴에 떨어져 봐야 열매는 커녕 싹도 나지 않아 거짓 구원을 받은 사람만 교회에 가득하게 하는 것이다.
그들을 그래도 교회에 붙어 있게 하려다 보니까 교회는 힘들어지기 시작한다. 무언가 보여 주어야 하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지 않으면 그들은 순식간에 떠나 버린다. 문제를 일으켜 작은 충고라도 한 다음 주에는 그 사람의 모습을 볼 수 없다. 결국 인위적 부흥관을 통해 거짓 구원 받은 사람으로 교회를 채운 교회는 스스로의 올무에 걸려 고생을 자초하는 결과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지금이 교회의 사명을 회복해야 할 때임을 명심해야 한다.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근, 현대 부흥운동을 살펴보면서 인위적 부흥관의 탄생 배경과 현황, 그리고 성경 부흥관의 개념과 사례를 살펴보았다. 성경적 부흥관이란 무엇인가? 사도행전 2장에 나타난 부흥 사건과 맥을 같이 하는 부흥관일 것이다. 성경적 부흥관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는 과정은 어떠한가? 먼저 자신의 죄를 발견하고 자신이 죄인임을 아파하는 통회 자복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 죄를 해결할 수 없는 처절한 절망감 가운데서 구원자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만난다. 그래서 진심 어린 회심을 통해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성경적 부흥관을 통해 탄생한 구원 받은 사람은 말씀과 기도로 대표되는 경건생활에 열심을 내게 되고, 교제와 나눔, 섬김의 행위도 동일하게 최선을 다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과정으로 구원을 받고 신앙생활을 한 성도들은, 신앙생활 중에 일어나는 불미스러운 일이나 실망스러운 일에도, 교만하지 않고, 상대를 비난하지 않으며 묵묵히 자리를 지켜 이겨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교회의 치리에도 복종하게 된다. 이것이 성경적 부흥관을 통해 구원받은 자의 모습이다.
그렇다면 인위적 부흥관은 무엇인가? 찰스 피니가 주축이 된 미국 2차 대각성 운동 이후 부흥회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인위적 방법에 의한 부흥을 말한다. 인위적 구원관을 통해 구원받은 자의 모습은 어떠할까?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마음을 움직일 수 있게 준비된 대중집회의 자리에서 죄에 대한 진지한 고민 없이 본인의 결단에 의해 거짓 회심을 한 사람들의 마음 속에는 여전히 교만과 욕심이 가득 차 있다. 혹시 그 속에 성령이 임했다 하더라도 여전히 마음 속의 주인은 교만과 욕심이라는 죄이기 때문에 변화된 삶은 기대할 수 없다. 그러므로 말씀을 들어도 이해가 안 되거나 가려 듣게 되고, 기도를 해도 회개의 기도가 아닌 축복에 대한 응답을 촉구하는 기도만 하게 되며, 죄 된 습관은 여전히 자신의 삶 속에 남아 이도 저도 아닌 신자와 불신자 사이에서 서성이게 된다. 그러다가 신앙생활 중에 불미스러운 일이나 실망스러운 일이 있을 때, 상대를 비난하고 자신을 옹호하는 말을 거리낌 없이 내뱉게 된다. 교회의 치리에도 순종하기는 커녕 자신의 의를 드러내게 된다. 그 결과 갈등으로 인해 한 교회에 정착하지 못하는 소위 가나안 성도, 떠돌이 신자가 되고 마는 것이다. 이것이 인위적 부흥관이 양산하는 구원받는 자의 모습인 것이다.
그렇다면 성경적 부흥관에 한 가지 질문이 주어진다. 부흥을 위해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말인가? 그렇지 않다. 초대교회 성도들이 성령강림을 위해 기도했듯이, 성도 개개인의 영적 회복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 부흥의 시작이 될 것이다. 그리고 개개인의 심령이 성령충만하여 질 때, 초대교회 성도들처럼 나누고 구제하고, 교제하면서 흩어져 복음을 전할 때,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로 이 땅에도 부흥은 일어나게 될 것이다. 인간의 욕심이 앞서서 교회를 가득 채울 욕심으로 인위적 부흥관을 계속 사용한다면, 성도들도 변화가 없고, 교회 안으로 들어 온 사람들도 거짓 구원을 받은 사람일 확률이 높고, 그들을 관리하느라 교회도 힘들어지게 될 것이다. 하나님이 성경을 통해 보여주신 성경적 부흥관에 충실하여, 교회 안에 알곡 신자를 남기고 든든한 교회를 세워 나간다면, 하나님께서는 그 모습을 보시고 반드시 부흥을 허락해 주실 것이다. 하나님의 부흥을 기대하며, 인위적 부흥관을 내려놓고 성경적 부흥관을 실천하는 교회와 목회자, 성도들이 되기를 바란다.
-끝-
참고문헌
영문서적
Bready, J.W. Before and After Wesley. London: The Epworth press, 1938.
Drummond, Lewis A. The Life and Ministry of Charles G. Finney. Minneapolis: Bethany HousePublisher, 1985.
Edwards, Jonathan. The Works of Jonathan Edwards. VOL Ⅰ Pensylvania: The Banner of Truth Trust, 1976.
______. Charity and Fruits. Pennsylvania. The Banner of Truth Trust, 1969.
Fant, C. E. & W. M. Pinson. 20Centuries of Great Preaching. Texas: Word Book Publisher, 1971.
Finney, Charles G. Memoirs of Rev. Charles G. Finney. New York: A.S. Barnes&Company, 1876.
Fitt, A.P. The life of D.L. Moody. Chicago: Moody Press, 1900.
Hofstadter, Richard. 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n Life. New York: Random House, 1963.
Mcgiffert, Arther. c. Jonathan Edwards. New York & London: Harper & Brother Publishers, 1932.
Mcneill, John T. Mordern Christian Movements. Philia: Westminster Press, 1954.
Miller, Perry. The New England Mind: 17Century. New York: Macmillan, 1939.
Noll, Mark A., Nathan Hatch, George Marsden. The Search for Christian America. Westchester,Ⅲ: Crossway, 1983.
Renwick, A.M. The Story of the church. Grand Rapids: WMB. Eerdmans, 1973.
Stoeffler, F. Ernest. The Rise of Evangelical Pietism. Leiden: E.J. Brill, 1971.
Sweet, Willliam W. The Story of Religion in America. New York: Harper&Brother Publishers, 1950.
Turnbull, Ralph G. Jonathan Edwards, The Precher. Grand Rapids: Backer Book House, 1958.
Wellman, J. Wanner. The Wesleyan Movement in the Inderstrial Revolution. London: The Epworth press, 1930.
Woodbridge, John D. The Gospel in America. Grand Rapid: Zondervan, 1979.
번역서적
Barnaby, George. Marketing the Church. 김광석 역. ?마케팅이 뛰어난 교회가 더 성장한다? 서울: 베다니출판사, 2002.
Carson, D.A. Becoming Coversant with the Emerging Church. 이용중 역. ?이머징 교회 바로 알기? 서울: 부흥과 개혁사.
Clark, Gordon Haddon. What do presbyterians believe?. 나용화 역. ?장로교인들은 무엇을 믿는가? 서울: 개혁주의신행협의회, 1990.
Edwards, Jonathan. Some thoughts concerning the Revival. 양낙흥 역. ?균형잡힌 부흥론? 서울: 부흥과 개혁사, 1999.
Finney, Charles G. Memoirs. 양낙흥 역. ?찰스피니의 자서전?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4.
______. Lectures on revival. 김원주 역. ?찰스피니의 부흥론?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8.
Gorge, Cell. The Rediscovery of John Wesley. 송흥국 역. ?존 웨슬레의 발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Gonzalez, Justo L.The Story of Christianity. 서영일 역. ?종교개혁사?. 서울: 은성출판사, 1988.
H Eveson, Philip.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 the great exchange : in the light of modern thought. 석기신, 신호섭 역., ?칭의론 논쟁?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1.
Hoekema, Anthony A. Created in God's image. 류호준 역. ?개혁주의 인간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5.
______. Saved by grace. 류호준 역. ?개혁주의 구원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1.
Horton, Michael Scott. Made in America. 김재영 역. ?미국제 복음주의를 경계하라? 서울: 나침반, 1996.
Kane, J. Herbert. A Concise history of the Christian world mission, 박광철 역. ?基督敎 世界 宣敎史?.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1.
Kuiper, B.K. The Church in History. 김해연 역. ?세계기독교회사? 서울: 성광문화사, 1980.
Latourette, Kenneth Scott. A History of Christianity. 윤두혁 역. ?기독교사 3권?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3.
Lioyd-Jones, D.M. Revival. 정상윤 역. ?부흥? 서울: 복 있는 사람, 2006.
______. The Puritans. 서문강 역. ?청교도 신앙?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MacArthur, John F. Our sufficiency in Christ. 이용중 역. ?그리스도만으로 충분한 기독교?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8.
Moyer, S.E. Great Leaders of the Christion Church. 곽안전심재원 공역. ?인물중심의 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1.
Murray., Iain Hamish. David Martyn Lloyd-Jones : the first forty years, 1899-1939. 서문강 역. ?마틴 로이드 존스의 초기 40년? 서울: 청교도 신앙사, 1999.
______. Pentecost-Today?. 서창원 역. ?성경적 부흥관 바로 세우기?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1.
Olford, S.F. Heart Cry for Revival. 홍성철 역. ?주여 부흥을 주옵소서?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6.
Packer, J. I. Evangelism and the sovereignty of God. 이장림 역. ?복음전도와 하나님의 주권?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7.
______. Among God's giants. 박영호 역. ?청교도사상?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Peace, Richard. Conversion in the New Testament : Paul and the Twelve. 김태곤 역. ?신약이 말하는 회심: 바울과 열두 제자들의 회심? 서울: 좋은 씨앗, 2001.
Sargent, Tony. The Sacred anointing. 황영철 역. ?위대한 설교자 로이드 존스? 서울: IVP, 1997).
Sweet, Willliam W. The History of America. 김기달 역. ?미국 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8.
Walker, Williston. A History of Christian Church. 류형기 역. ?기독교회사?. 서울: 한국기독교문화원, 1980.
Wand, J.W.C. A History of Modern Church. 이장식 역. ?교회사: 근세편?. 서울: 대한기독교서원, 1977.
Wells, David F. Reformed theology in America: Chapter 1. The Princeton theology. 박용규 역. ?개혁주의 신학시리즈1: 프린스톤 신학? 서울: 엠마오, 1992.
______. God in the wasteland : the reality of truth in a world of fading dreams. 윤석인 역. ?거룩하신 하나님?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7.
Wodbridhe, John D., Mark A. Noll, Nathan Hatch. The Gospel in America: themes in the story of America's evangelicals. 박용규 역. ?기독교와 미국?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92.
Yungen, Ray. A Time of departing. 김성웅 역. ?신비주의와 손잡은 기독교?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9.
국내서적
강병도 엮음. ?호크마 주석 5 사도행전? 서울: 기독지혜사, 1991.
강정규. ?한국교회 100년사에 뿌리를 둔 한국의 7대교회-그 성장과 현황? 서울: 종로서적, 1983.
기독지혜사 엮음. ?엑스포지터스 성경연구주석 고린도후서? 서울: 기독지혜사, 2002.
김의환. ?기독교회사?. 서울: 성광문화사, 1990.
김진환. ?한국교회 부흥운동사? 서울: 크리스챤 비전사, 1976.
대한성서공회 엮음. ?개정개역판 큰글자 성경전서?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8.
목회와 신학 편집부 엮음. ?사도행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서울: 두란노아카데미, 2007.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2.
박순용. ?기독교, 세상의 함정에 빠지다?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9.
박윤선. ?성경주석 사도행전? 서울: 영음사, 1981.
박종구. ?무디선생의 생애? 서울: 신망애출판사, 1976.
변종호. ?이용도 목사 서간집? 서울: 심우원, 1934.
백낙준. ?한국교회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9.
백금산. ?조나단 에드워즈처럼 살 수는 없을까?? 서울: 부흥과 개혁사, 1999.
송흥국. ?요한 웨슬레의 생애? 서울: 한국교육도서출판사.
심재원. ?교파의 유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2.
심창섭 채천석 편. ?근현대교회사?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1999.
옥성호. ?마케팅에 물든 부족한 기독교?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8.
유해무. ?개혁교의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8.
이성림. ?감리교와 신학대학사? 서울: 한국교육도서출판사, 1977.
이성삼. ?한국 감리교사 조선 감리회, 1930-45? 서울: 대한기독교본부, 1980.
이영헌. ?한국기독교사? 서울: 컨콜디아사, 1982.
이장식. ?한국교회의 어제와 오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7.
이천영. ?성결교회사? 서울: 기독교 대한성결교회 출판부, 1970.
정근두. ?로이드 존스의 설교론: 그의 설교의 원리와 방법? 서울: 여수룬, 1999.
조종남. ?웨슬레 신학연구? 부천: 서울신학대학, 1977.
______. ?웨슬레 신학강의 개요? 부천: 서울신학대학, 1978.
제자원 엮음. ?옥스포드 원어성경대전 사도행전 1-7장? 서울: 제자원, 2001.
학위논문 및 간행물
김명혁. “독일 경건주의 운동소고.” 「신학지남」 185호 (1979): 38.
김병서. “한국교회 현상의 사상적 이해.” 「신하사상」 제35집 (1918): 711.
민경배. “영국의 경건주의.” 「복된 말씀」 21권41호 (1974): 11.
박경림. “독일 경건주의 운동이 현대선교회 미친 영향.” 신학석사학위, 총신대학교대학원, 1984.
박용규. “19세기와 찰스 피니의 부흥운동.” 「그말씀」 11월호 (1996): 121.
백금산. “로이든 존스에게서 배운다.” 「그말씀」 10월호 (1998): 47.
배성현. “로이드 존스 연구, 그의 설교와 부흥을 중심으로.” 신학석사학위, 총신대학교대학원, 1999.
서순영. “조나단 에드워즈의 영적각성운동.” 신학석사학위, 총신대학교대학원, 1999.
송기섭. “근대부흥운동이 교회와 사회에 미친 영향연구.” 신학석사학위, 총신대학교대학원,1991.
송흥국. “웨슬레와 부흥운동.” 「기독교 사상」 9월호 (1978): 52.
양낙흥. “찰스 피니의 생애와 사상.” 「그말씀」 11월호 (1996): 99.
유동식. “이용도 목사와 그의 주변.” 「기독교 사상」 5월호 (1967): 25.
윤요희.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학사사에 대한 고찰.” 신학석사학위, 총신대학교대학원, 1996.
이종진. “찰스피니 연구.” 신학석사학위, 장로회신학대학교대학원, 1987.
이천영. “웨슬레 복음운동의 사적 고찰.” 「신학과 선교」. 1권 (1972): 11-13.
채천석. “조나단 에드워즈의 복음주의 부흥운동과 그 특징에 대한 고찰.” 신학석사학위, 총신대학교대학원, 1998.
피영민. “찰스 피니의 설교분석.” 「그말씀」 11월호 (1996): 120.
허 긴.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에 대한 고찰.” 「침신논집」 4집 (1981): 167.
Henry, Carl F. H. “장차 다가올 진노를 피하라.” 「그말씀」 10월호 (1998): 9.
LewisA.Drummond. “설교는 행동하게 만드는 것.” 「그말씀」 11월호 (1996): 109.
기타
그리스도교 대사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2.
기독교 대백과 사전. 11권. 서울: 기독교문사, 1980.
http://kr.blog.yahoo.com/cho4890kr/396
http://news.kukinews.com/article/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사 논문] 자유주의 신학의 인식론적 전제에 대한 개혁신학적 비판 (0) | 2011.07.08 |
---|---|
[소논문] 개혁주의신학과 카톨릭신학 비교 연구 (0) | 2010.07.11 |
[소논문] 존스토트의 총체적 복음사역 (0) | 2010.07.10 |
[소논문] 개혁신학의 인식론적 전제와 신앙생활 (0) | 2010.07.10 |
[논설] '성령사역'에 대한 16가지 묵상 (0) | 2008.06.09 |